[[작은곰자리|작은곰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1 폴라리스B · N Polaris | 베타성7 코카브 Kochab | 감마성13 페르카드 Pherkad | 델타성23 일둔 Yildun | |
엡실론성22 작은곰자리 엡실론 ε UMi | 제타성16 작은곰자리 제타 ζ UMi | 에타성21 작은곰자리 에타 η UMi | 세타성15 작은곰자리 세타 θ UMi | |
람다성22 작은곰자리 람다 λ UMi | 파이성 작은곰자리 파이1·2 π UMi | - | - | |
B: 가장 밝은 항성, N: 북극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colbgcolor=white,#1c1d1f> 작은곰자리 1B | 작은곰자리 2 | 작은곰자리 3 | 작은곰자리 4 | |
작은곰자리 5 | 작은곰자리 7B | 작은곰자리 8 | 작은곰자리 19 | |
B: 바이어 명칭에 있는 항성, 취소선: 항성이 아닌 것 | ||||
변광성 명칭 순 | ||||
작은곰자리 RR | - | - | - |
그 외 작은곰자리에 속한 항성 | |||
HD 111187 | - | - | - |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작은곰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8 Umi 작은곰자리 8 8 Ursa Minor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4h 56m 48.35230s |
적위 | +74° 54′ 03.3212″ | |
별자리 | 작은곰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적색덩어리거성 | |
분광형 | G8III | |
거리 | 532±1 광년 163.2±0.4 파섹 | |
반지름 | 10.73±0.14 R⊙ | |
질량 | 1.51±0.06 M⊙ | |
평균 온도 | 4,847±100 K | |
나이 | 3억 7,700만년 | |
운동 | 시선속도 | -9.55 km/s |
자전 속도 | 2.68~5.43 km/s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6.835 | |
절대 등급 | 0.82 | |
광도 | 52.9±5.9 L⊙ | |
명칭 | ||
작은곰자리 8: 백두(Baekdu), HD 133086, HIP 73136, BD+75 547, 2MASS J14564834+7454032, WDS J14568+7454A, Gaia DR3 1700658653802527104 |
1. 개요
작은곰자리 8/백두작은곰자리 8은 작은곰자리 방향으로 약 530 광년 떨어져 있는 G8III 분광형의 황색거성[1]으로 백두라는 한국 명칭이 붙여진 것으로 유명하다.
2. 상세
해당 항성이 백두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은 외계행성인 작은곰자리 8b가 보현산 천문대에서 처음 발견되어 한국 천문학자들에게 네이밍 권한이 주어져 한라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 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후 2019년 IAU가 주관한 천체 네이밍 대회인 NameExoWorlds 2019 Edition에서 대한민국 천문학자들에게 할당된 1개의 네이밍 권한을 보현산 천문대에서 발견한 한라의 주성인 작은곰자리 8에게 사용하면서 백두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작은곰자리 8은 비단 백두라는 이름으로 유명해진 것은 아니다. 작은곰자리 8은 현재 적색덩어리거성 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황색거성인데, 원래 적색덩어리거성은 헬륨 섬광 시기에 크기가 일시적으로 확장되는데 작은곰자리 8의 경우 당시 태양의 약 0.7 AU 거리까지 확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문제는 작은곰자리 8b(한라)가 불과 0.5 AU 거리에서 주성을 공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이미 적색거성의 팽창과정에서 흡수되었어야 할 외계행성이 그대로 흡수되지 않고 살아남았다는 것. 이에 대한 문제를 처음 제기한 것은 2023년 논문으로 이 논문에서는 해당 문제를 작은곰자리 8의 이진성 가설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원래 작은곰자리 8은 주계열성과 백색왜성으로 이루어진 쌍성계였지만 백색왜성의 질량 대부분이 주계열성으로 흡수되면서 백색왜성은 헬륨 백색왜성으로, 주계열성은 가스를 흡수하면서 수소가스의 연소과정이 가속화되며 조기에 적색거성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후 헬륨 백색왜성은 팽창하던 적색거성에 의해 흡수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중심 헬륨이 조기에 연소되기 시작하여 급속하게 팽창하던 헬륨 섬광 별의 팽창을 조기에 종료시켜버렸다는 것이다. 또한, 논문에서는 이 과정에서 살아남은 작은곰자리 8b는 항성간 충돌에서도 항성계 밖으로 튕겨져 나가지 않고 살아남았거나 항성간 충돌에서 방출된 다량의 가스가 뭉치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하지만, 최근인 2024년의 논문에서는 작은곰자리 8이 태어난지 불과 2~40억년 된 중년 항성으로 측정되었고 이 수치는 거성-백색왜성간 충돌 가설이 실현되기 위한 최소한의 시간인 약 86억년의 나이보다 훨씬 젊기 때문에 작은곰자리 8의 이진성 가설은 실제와 맞지 않다고 정면으로 반박하였다. 작은곰자리 8 항성계의 이러한 독특한 특징은 발견된지 2년도 되지 않은 따끈따끈한 소식이며 반박된 논문이 1년도 채 되지 않은 2024년 5월의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어떤 과정을 통해 작은곰자리 8b 행성이 살아남게 되었는지는 아직 그 내면이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런 독특한 천체의 과거와 진실을 일개 행성에 사는 생명체에 불과한 인간이 논리적 사고와 증거를 통해서 밝혀내려고 하는 것이 얼마나 놀랍고 아름다운 일인지를 깨닫게 해주는 대표적인 예시라고 볼 수도 있겠다.
2.1. 한라
8 Umi b 한라 Halla | ||
<nopad> 한라의 상상도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가스형 행성 | |
반지름 | 1.22 RJ[추정] | |
질량 | 1.31[3]~1.65±0.06 MJ | |
나이 | -년 | |
운동 | 공전·궤도 | 공전 주기: 93.31±0.06일 |
긴반지름: 0.4477±0.0058 AU | ||
궤도 근점 거리: 0.4334±0.01 AU | ||
궤도 원점 거리: 0.462±0.006 AU | ||
이심률: 0.062±0.18 | ||
자전 | 자전 주기: - | |
자전 속도: - | ||
자전축: - | ||
명칭 | ||
한라(Halla), 작은곰자리 8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