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rowcolor=#ffffff> 초대 | 2대 | 3대 | ||
로란트 (2003~2004) | 감독 대행 장외룡 (2004) | 장외룡* (2005~2006, 2008) | 감독 대행 박이천 (2007) | 페트코비치 (2009~2010) | |
<rowcolor=#ffffff> 3대 | 4대 | 5대 | 6대 | ||
감독 대행 김봉길 (2010) | 허정무 (2010~2012) | 감독 대행 김봉길 (2012) | 김봉길 (2012~2014) | 김도훈 (2015~2016) | |
<rowcolor=#ffffff> 6대 | 7대 | 8대 | |||
감독 대행 이기형 (2016) | 이기형 (2017~2018) | 감독 대행 박성철 (2018) | 안데르센 (2018~2019) | 감독 대행 임중용 (2019) | |
<rowcolor=#ffffff> 9대 | 10대 | 11대 | |||
유상철 (2019) | 임완섭 (2020) | 감독 대행 임중용 (2020) | 조성환 (조성환호) (2020~2024) | 감독 대행 변재섭 (조성환호) (2024) | |
<rowcolor=#ffffff> 12대 | 13대 | ||||
최영근 (최영근호) (2024) | 윤정환 (윤정환호) (2025~ ) | ||||
| |
[[최영근(1972)|]] | |
제12대 감독 최영근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감독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최영근 / 제12대 감독 |
코치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변재섭 (수석 코치)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박용호 (코치)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재성 (코치)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이섭 (골키퍼 코치)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오지우 (피지컬 코치)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김광석 (코치) |
주장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이명주 / 제20대 주장 |
계약 기간 | 2024년 8월 1일 ~ 2024년 12월 22일 (4개월 / 143일) |
계약 종료 (성적 부진에 따른 상호 계약 해지) | |
연봉 | 미상 (감독 / 미상) |
전술 스타일 | |
성적 | 12전 3승 2무 7패 (승률 25.0%) |
[clearfix]
1. 개요
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최영근 제12대 감독 체제를 정리한 문서.2. 선임 과정
2024년 8월 1일, K리그1의 인천 유나이티드 FC는 최영근을 구단의 12대 감독으로 선임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인천 구단은 세 시즌 동안 인천의 수석 코치이자 핵심 전술가로서 선수단에게 두터운 신임을 얻었고 2022시즌 구단 창단 최초의 아시아 무대를 이끌었으며 최근 한국프로축구연맹 TSG(기술연구그룹) 위원 경험을 통해 K리그와 타 구단 전술 분석이 가능한 최영근 감독을 새로운 사령탑으로 낙점하게 됐다. 계약 기간은 2025년까지이다.#3. 코칭스태프
직책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국적 | 생년월일 |
감독 | 최영근 | Choi Young-Keun | 1972년 7월 16일 | |
수석 코치 | 변재섭 | Byun Jae-Sub | 1975년 9월 17일 | |
코치 | 박용호 | Park Yong-Ho | 1981년 3월 25일 | |
코치 | 김재성 | Kim Jae-Sung | 1983년 10월 3일 | |
코치 | 김광석 | Kim Kwang-suk | 1974년 7월 11일 | |
골키퍼 코치 | 김이섭 | Kim Lee-Sub | 1974년 4월 27일 | |
피지컬 코치 | 오지우 | Oh Jee-Woo | 1989년 10월 19일 | |
스카우트 | 김한윤 | Kim Han-Yoon | 1974년 7월 11일 | |
전력 분석관 | 김종민 | Kim Jong-Min | 19년 월 일 | |
장비 담당관 | 조용희 | Cho Yong-Hee | 1991년 12월 20일 | |
수석 피지컬 트레이너 | 황근우 | Hwang Geun-Woo | 1980년 2월 8일 | |
트레이너 | 피민혁 | Pi Min-Hyuk | 19년 월 일 | |
트레이너 | 진도형 | Jin Do-Hyeong | 1995년 5월 2일 | |
물리치료사 | 최재혁 | Choi Jae-Hyeok | 1997년 3월 8일 | |
팀 매니저 | 김민석 | Kim Min-Suk | 1991년 4월 13일 | |
통역관 | 표석환 | Pyo Seok-Hwan | 1998년 2월 4일 |
4. 활동
4.1. 2024 시즌
자세한 내용은 인천 유나이티드 FC/2024년 문서 참고하십시오.5. 평가
일단 기본적으로 최영근 자체가 감독 경력이 없는 초짜 감독이었기에 지금 당장 승점을 많이 획득해서 강등권을 탈출해야만 하는 인천의 상황과는 어울리지 않는 지도자였다.인천은 조성환 감독과 변재석 수석코치 체제에서 줄곧 3백을 사용했는 것에 반해 최영근 본인은 4백을 택했다.
문제는 수년간 인천의 팀 컬러는 3백을 기반으로 한 선수비 후역습이었다는 거고, 선수단도 그에 맞춰 구성되어 있었기에 당연히 4백 이식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고, 기본적인 수비 숫자가 줄면서 수비에 문제가 생겨버렸다.
결국 성적이 통 나오지 않자 최영근 감독은 파이널 라운드 시작 후 다시 기존의 3백으로 돌아가면서 결과적으로 3백과 4백 중 어떤 것도 잡지 못했다.
이렇듯 기존의 조성환 감독이 하던 축구와 팀컬러에 기댄 축구를 하였고, 결국 애매한 축구를 하다가 팀을 2부 리그로 강등시키게 되는 결과를 만들게 되었고, 결국 시즌 종료 이후 최영근은 윤정환한테 자리를 내주고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계약해지 과정에서 인천 구단이 최영근 감독의 거취를 확실히 설명하지 않은 채 차기 감독을 구하는 추태를 벌였음이 드러나면서 많은 이들이 안타까워하고 있다.[1] #
[1] 이러한 인천 구단의 행보는 인천보다 한 시즌 먼저 강등되었던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김병수 경질 사건에 맞먹는 대단히 비신사적인 행위이다.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정말로 최영근 감독을 보험, 고기방패로 악용했다는 사실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