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00:20:19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상업은행 로고.png]() | 한국상업은행 역대 은행장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대한천일은행장 |
초대 민병석 | 제2대 영친왕 | 제3대 김기영 | 제4대 이봉래 |
조선상업은행장 |
제5대 조진태 | 제6대 와다 이치로 | 제7대 박영철 | 제8대 호리 타다시 |
제9대 윤호병 | 제10대 이종태 | 제11대 윤호병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상업은행장 |
제12대 윤호병 | 제13대 안명환 | 제14대 신판국 | 제15대 이필석 | 제16대 문종건 |
제17대 전신용 | 제18대 서진수 | 제19대 임석춘 | 제20대 김봉은 | 제21대 배수곤 |
제22대 공덕종 | 제23대 주인기 | 제24대 박종석 | 제25대 이현기 | 제26대 김추규 |
제27대 정지태 | 제28대 배찬병 |
한일은행장 · 우리은행장 |
}}}}}}}}} ||
<colbgcolor=#fce326><colcolor=#d0242c> 이현기 李鉉基 | LEE HYUN KI |
|
출생 | <colbgcolor=#fff>1929년 3월 17일 |
전라남도 거창군 |
사망 | 2024년 4월 28일 (향년 95세) |
국적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직업 | 금융인 |
학력 | 건국대학교 |
약력 | 상업은행 은행장 상업은행 영업부장, 상무, 감사, 전무 |
가족 | 배우자 이종순, 슬하 2녀 이신정·이신혜 |
대한민국의 금융인.
그는 1988년 상업은행장에 선임됐다. 1992년 2월 조순 前 한국은행 총재가 주재했던 은행장 회의에 참가했으며 이후 정치권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1993년 4월 17일 사의를 표명했다.
2024년 4월 28일 사망했다. 향년 95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