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
피겨 스케이팅 선수 시절 |
2. 시즌별 활동
2.1. 2010-11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 참가하여 3명 중 3위를 기록하여 상위 2명에게만 주어지는 주니어 그랑프리 출전권을 얻지 못하였다. |
2011 종합선수권 |
2.2. 2011-12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서 2위를 하며 2개 대회 출전권을 따는 데 성공하였다. 시즌 첫 대회로 아시안 오픈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 은메달을 땄다. | |
2011 JGP 이탈리아 | 2012 종합선수권 |
2012 종합선수권에서 은메달을 땄고, 2012 인스브루크 동계청소년올림픽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단체전에서는 개인 6위, 팀 7위를 했다. 2012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18위를 했다.
2.3. 2012-13 시즌
시니어 가능 연령이 되어 아시안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땄으며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는 2012 JGP 미국에서 5위, 2012 JGP 튀르키예에선 9위를 기록했다. |
2013 종합선수권 |
2.4. 2013-14 시즌
지난 시즌에 이어 아시안 오픈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따며 시즌을 시작했다. 2013 JGP 멕시코 6위, 2013 JGP 벨라루스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
2014 종합선수권 |
2.5. 2014-15 시즌
아시안 오픈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따며 시즌을 시작했다. | | |
2014 JGP 프랑스 | 2014 JGP 크로아티아 | 2015 종합선수권 |
이러한 성과를 가지고 돌아와서, 2015 종합선수권에서 두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 2015 사대륙선수권에서 18위를 기록했고, 2015 세계선수권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프리컷 통과에 성공하면서 종합 19위를 기록했다. 트리글라브 트로피에서 2위에 오르며 시즌을 마감했다.
2.6. 2015-16 시즌
지난 시즌의 활약으로 스케이트 캐나다에 초청받으며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하게 되었다. 2015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10위, 2015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12위를 했다. |
2016 종합선수권 |
2.7. 2016-17 시즌
이 시즌 허리 부상에 시달리며 성적이 좋지 않았다. 아시안 오픈 트로피에 참가하여 4위를 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이후 2016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 참가하였으나 쇼트 경기 후 상태가 좋지 않아 기권했다.이후 2017 종합선수권에서 처음으로 포디움에 실패하며 5위를 했다. 그래도 2017 알마티 동계 유니버시아드, 2017 사대륙선수권,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대표로 선발되어 각각 16위, 18위, 13위를 기록했다.
2.8. 2017-18 시즌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시즌으로, 남자 싱글 출전권의 경우 지난 2017 세계선수권에서 김진서가 프리컷 통과에 실패하면서 자력으로 출전권 1장을 얻는 데 실패하였으므로, 2017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6위 안에 들어야 출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상태였다. 따라서 조금 이른 7월 말, 올림픽 1차 선발전 겸 네벨혼 트로피 파견 선발전이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쇼트에선 트리플 악셀에 한차례 스텝 아웃을 하며 77.72점, 프리도 준수한 경기력으로 151.00점을 기록하여 총점 228.72점으로 1위를 했다. 덕분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대표 선발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되었으며 네벨혼 트로피 출전 자격을 얻었다.이후 필라델피아 서머 인터내셔널 대회에 출전하여 7위를 하며 상태를 점검했다. 이후 2017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부담감을 이겨내고 쇼트 74.37점, 프리 148.52점, 총점 222.89점으로 모두 개인 베스트를 기록하며 5위에 올랐다! 따라서 한국에 남자 싱글 올림픽 출전권 1장을 가져오는 성과를 이뤄냈다.
이어 12월 열린 올림픽 2차 선발전 겸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또다시 1위에 등극했다. 경쟁자 차준환이 부츠 문제와 부상으로 인해 1차 선발전에서 몹시 부진하여 점수차가 많이 벌어져 있는 상황이었다가, 2차 선발전에서 조금 만회를 했으나 아직 완전하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이번 선발전까지의 두 선수의 합산 점수차는 약 27점으로, 3차 선발전에서 이변이 없는 한 이준형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가는 것은 거의 확실해 보였다.
|
2018 종합선수권 |
2.9. 2018-19 시즌
지난 시즌 네벨혼 트로피에서의 활약 덕분에 NHK 트로피에 배정받았다. 2018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 출전하여 11위를 기록했다. 2018 NHK 트로피에서는 종합 9위를 하며 아쉽게 랭킹 포인트는 획득하지 못했다. 회장배 랭킹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따며 2019 사대륙선수권 출전권을 확보하였다. |
2019 종합선수권 |
2.10. 2019-20 시즌
2019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8위, 2019 상하이 트로피 6위, 2019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 7위를 기록했다. | |
2019 CS 바르샤바 컵 | 2020 종합선수권 |
2020-21 시즌 국내 대회들에 참가하지 않음에 따라, 국가대표의 자격을 잃었다. 한동안 근황이 없었다가, 2021년 3월 28일 뮤지컬 배우로 전향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3. 기록
- 한국 남자 싱글 최초로 ISU 공인 대회 메달을 획득한 선수(2011 JGP 이탈리아)
- 한국 남자 싱글 최초로 ISU 공인 대회 금메달을 딴 선수(2014 JGP 프랑스)
- 한국 남자 싱글 최초로 ISU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선수
- ISU 챌린저 시리즈에서 메달을 딴 네번째 한국 남자 선수[1]
4. ISU 공인 최고 점수
<colbgcolor=#c0c0c0><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 점수 | |
쇼트 | 72.74(2020 사대륙선수권) |
프리 | 139.17(2019 CS 바르샤바 컵) |
총점 | 205.20(2019 CS 바르샤바 컵) |
5. 커리어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06–07 | 07–08 | 08–09 | 09–10 | 10–11 | 11–12 | 12–13 | 13–14 | 14–15 | 15–16 | 16–17 | 17–18 | 18–19 | 19–20 |
세계선수권 | 19th | 24th | ||||||||||||
사대륙선수권 | 17th | 14th | 18th | 16th | 18th | 14th | 14th | 17th | ||||||
GP NHK 트로피 | 9th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12th | |||||||||||||
CS 바르샤바 컵 | 3rd | |||||||||||||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 11th | |||||||||||||
CS 네벨혼 트로피 | 5th | |||||||||||||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 WD | 8th | ||||||||||||
CS 핀란디아 트로피 | 10th | |||||||||||||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 | 7th | |||||||||||||
상하이 트로피 | 6th | |||||||||||||
필라델피아 서머 인터내셔널 | 7th | |||||||||||||
아시안 게임 | 13th | |||||||||||||
유니버시아드 | 16th | 13th | ||||||||||||
트리글라브 트로피 | 5th | 2nd | ||||||||||||
아시안 오픈 트로피 | 3rd | 3rd | 3rd | |||||||||||
국제대회:주니어 | ||||||||||||||
청소년올림픽 | 4th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18th | 13th | 16th | |||||||||||
JGP 파이널 | 6th | |||||||||||||
JGP 크로아티아 | 3rd | |||||||||||||
JGP 프랑스 | 1st | |||||||||||||
JGP 벨라루스 | 5th | |||||||||||||
JGP 멕시코 | 6th | |||||||||||||
JGP 튀르키예 | 9th | |||||||||||||
JGP 미국 | 5th | |||||||||||||
JGP 이탈리아 | 3rd | |||||||||||||
JGP 라트비아 | 4th | |||||||||||||
아시안 오픈 트로피 | 2nd J | |||||||||||||
국내대회 | ||||||||||||||
종합선수권 | 1st N | 1st N | 2nd J | 1st J | 3rd | 2nd | 1st | 2nd | 1st | 1st | 5th | 3rd | 2nd | 3rd |
회장배 랭킹대회 | 3rd | 1st | 3rd | 1st | 1st | 3rd | 3rd | 1st | 2nd | 3rd | ||||
동계체전 | 1st | 1st | 2nd | 1st | 1st | 1st | 1st | 1st | ||||||
종별선수권 | 1st J | 1st | ||||||||||||
JGP 선발전 | 3rd | 2nd | 2nd | 1st | 1st | |||||||||
단체전 | ||||||||||||||
청소년 올림픽 | 7th T 6th P | |||||||||||||
GP= 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J=주니어 |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50회(1996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955 | 1955 화천 | 이명 | ||
1956 | 1956 연천 | 이해정 | 1957 | 1957 서울 | 오경학 | |
1958 | 1958 철원 | 오경학 | 1959 | 1959 연천 | 양두식 | |
15회 | 1960 서울 | 양두식 | 16회 | 1961 서울 | 지절언 | |
18회 | 1963 서울 | 지절언 | 19회 | 1964 서울 | 고영흠 | |
1965 | 1965 서울 | 고영흠 | 22회 | 1967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23회 | 1968 서울 | 이광영 | 24회 | 1969 서울 | 이광영 | |
26회 | 1971 서울 | 김훈 | 27회 | 1972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28회 | 1974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29회 | 1975 서울 | 한수봉 | |
30회 | 1976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31회 | 1977 서울 | 한수봉 | |
32회 | 1978 서울 | 한수봉 | 33회 | 1979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34회 | 1979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35회 | 1981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36회 | 1982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37회 | 1983 서울 | 조재영 | |
38회 | 1983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40회 | 1986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41회 | 1987 서울 | 정성일 | 42회 | 1988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
43회 | 1989 서울 | 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 44회 | 1990 서울 | 정성일 | |
46회 | 1992 서울 | 정성일 | 48회 | 1994 서울 | 정성일 | |
49회 | 1995 서울 | 정성일 | 50회 | 1996 서울 | 이규현 | }}}}}}}}} |
51회(1997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 1997 서울 | 이규현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 1998 서울 | 이규현 |
53회 | 1999 서울 | 이규현 | 54회 | 2000 서울 | 이규현 | |
55회 | 2001 서울 | 이규현 | 56회 | 2002 서울 | 이규현 | |
57회 | 2003 서울 | 이규현 | 58회 | 2004 서울 | 이동훈 | |
59회 | 2005 서울 | 이동훈 | 60회 | 2006 서울 | 이동훈 | |
61회 | 2007 서울 | 이동훈 | 62회 | 2008 고양 | 이동훈 | |
63회 | 2009 고양 | 김민석 | 64회 | 2010 서울 | 김민석 | |
65회 | 2011 서울 | 이동원 | 66회 | 2012 서울 | 김진서 | |
67회 | 2013 서울 | 이준형 | 68회 | 2014 고양 | 김진서 | |
69회 | 2015 서울 | 이준형 | 70회 | 2016 서울 | 이준형 | |
71회 | 2017 강릉 | 차준환 | 72회 | 2018 서울 | 차준환 | |
73회 | 2019 서울 | 차준환 | 74회 | 2020 의정부 | 차준환 | |
75회 | 2021 의정부 | 차준환 | 76회 | 2022 의정부 | 차준환 | |
77회 | 2023 의정부 | 차준환 | 78회 | 2024 의정부 | 차준환 | |
79회 | 2025 의정부 | 차준환 | 80회 | 2026 | ? | }}}}}}}}}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 |
<rowcolor=#ffffff> 남자 싱글 | 여자 싱글 |
이준형 | 박소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