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4:07:20

의주비행장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평양시 남포시
국제선
평양(순안)
폐쇄
강동
미림 온천
강원도 함경북도
국제선
원산
강다리 현리 청진
함경남도
리원 선덕 장진
폐쇄
련포
량강도 평안남도
삼지연 황수원 북창 순천
평안남도 평안북도
개천 묘향산 방현 의주
평안북도 황해남도
태천 과일 태탄 해주
황해북도
곡산 황주
}}}}}}}}}

의주비행장(의주공항)
義州飛行場(義州空港)
Uiju Airdrome(Uiju Airplane)
IATA : UJU / ICAO : ZKUJ / K-Site : N/A
개요
위치
[[북한|]][[틀:국기|]][[틀:국기|]] 평안북도 신의주시 고성동
북한명칭의주비행장
종류군용/민용
관할조선인민군 공군 조선민용항공총국
고도32ft / 10m
좌표
지도

1. 개요2. 역사3. 통일 이후에는??

[clearfix]

1. 개요

평안북도 신의주시 고성동(광복 당시 의주군 의주읍 청전동)에 위치한 공항.

2. 역사

1989년에 신의주시에 편입되었다. 신의주 비행장 여성 시체 사건이 일어난 신의주비행장(K-30)과는 다르다. "신의주공항"이나 "의주공항"으로도 불린다. 2016년경부터 외국인을 대상으로 여객 영업을 한다고 한다.#

이름만 봤을때는 평안북도 의주군에 있는거 같지만, 위치 자체는 신의주시와 휠씬 가깝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북한에서 평양순안공항 대신 북중무역 및 교역에 사용하려고 했던 것 같다. 민용공항으로 건설하기 위해서 2020년부터 분주하게 검역소와 관리소를 건설하였던 것 같지만, 건설이 늦어져서 리병철 당 부위원장의 계급이 강등되고, 상무위원직을 잃었다가 다시 복권되는 일도 있었다. 해당 방역 시설의 위성사진 #

2022년 1월, 북중 기차 운행이 재개되자, 의주역에서 하역하기 시작했다. #

2022년 기준 구글 위성사진으로는 부분적으로 방역시설이 확인되며, 동시에 활주로에 버스와 트럭들이 다수 주차된게 보인다.

3. 통일 이후에는??

수요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일단 한반도 북서쪽 끝이기 때문인데다 신의주 지역 자체의 특성 때문에 수요가 늘어날 것이다.

아울러 한국에서 단둥으로 갈때는 단둥공항보다 신의주의 공항을 더 많이 이용할 것이다. 서울에서 중국을 가려면 보통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하지만, 국내선 항공편이면 김포국제공항에서도 출발할 것이며, 지방 공항에서도 단둥행 국제선을 운영하는 것보다 의주행 국내선을 취항하는 게 국제선 항로 개설 및 증회에 필요한 외교 협의가 없기 때문에 편리하다.[1]

다만 국제선 개설 가능성이 아예 없는 건 아닌데, 이 과정에서 아이슬란드가 우선순위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아이슬란드항공이 계속해서 협동체 운영을 고수하고, 이 과정에서 A321XLR을 도입한다면, 케플라비크 ~ 신의주 혹은 케플라비크 ~ 평양 직항으로 통일 한국 직항노선을 개설할 것으로 보인다. 평양 밑으로는 항속거리 문제가 걸리기 때문이다. 다만 단둥 등 동북3성 수요를 보고 단둥이나 청춘 혹은 선양으로 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리고 통일 한국이 일본과 무비자 정책 및 항공 자유화를 고수할 경우, 중-일 직항 개설 요건이 까다로워 단둥 직항 대신 도쿄, 오사카 등지에서 신의주로 가는 노선을 개설할 수도 있다. 역시 외교적 부담이 덜 들기 때문이며, 구내열차 혹은 페리 등을 통해 단둥으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1] 멕시코 티후아나티후아나 국제공항 등 국경 근처에 있는 공항들은 특성상 옆 나라로 가는 국제선이 많지 않거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국경 근처 공항을 통해 옆 나라로 넘어가려면 거기까지 가는 교통수단은 여행객이 알아서 구해야 한다. 다만 티후아나 국제공항의 경우 국경 옆에 건설되어 있어 걸어서 미국으로 넘어갈 수 있는 육교 (CROOS BORDER Xpress)를 만들어 놓았으며, 의주공항도 공항 옆이 압록강이기 때문에 티후아나 공항처럼 압록강을 건너는 다리를 만들어서 중국으로 넘어가게 하는 구상은 할 수 있으나, 티후아나 공항과는 달리 압록강을 건너는 다리를 만들어야 되는데다 거리도 길어서 걸어서 넘어가는 건 불가능한데다 중간에 위화도를 건너야 하므로 인천공항의 셔틀트레인처럼 공항 구내열차 등을 통해 중국으로 넘어가게 하거나, 홍콩 국제공항처럼 압록강 페리나 셔틀버스와 승객 및 수하물 수송을 연계해 신의주에서 비행기 환승하듯이 중국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