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0:50:03

의령 버스 의령-마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9090>
파일:의령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
마을버스
의령군 마을버스
의령터미널 출발
888(의령 - 진주)
- 마산
(신반경유)
- 대구서부
(신반경유)
- 구상곡
- 다현 - 천곡 - 후곡
- 신반(적곡)
(지정경유)
- 신반
(등대경유)
- 신반
(정곡, 오방경유)
- 갑을 - 상촌 - 수도사
- 함안
(정곡경유)
- 군북 - 무상
- 정암 - 산다 칠곡(화정면)
순환
신반터미널 출발
- 남지 낙서면 순환 - 다현
- 월전 - 권혜 - 상곡
- 모두 마장, 등대 순환 - 지정
- 두곡 손오 순환
<rowcolor=#fff>
대구서부 출발
마산 출발
진주 출발
- 의령(신반) - 의령(신반) 888
(의령 - 마산)
※ 옥색은 일부시간 또는 모든시간대 우등차량 투입 노선이다.
※ 바다색은 농촌형교통모델 노선이다.
}}}}}} ||
파일:의령 의령-마산 현대차량.webp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대체수단
4.1.1. 마산이 목적지일때
4.2.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의령군 CI_White.svg 의령군 좌석버스 의령-마산
기점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의령버스터미널) 종점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마산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 첫차 06:50 기점행 첫차 09:20
막차 12:00 막차 18:40
배차간격 1일 2회
운수사명 경전여객 인가대수 1대
노선 의령버스터미널 - 용덕 - 정곡(중교) - 야산 - 세간 - 신반버스합동터미널 - 세간 - 태부 - 지정 - 송도 - 대산 - 칠원 - 자이A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파일:의령군 CI_White.svg 의령군 좌석버스 마산-신반
기점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마산시외버스터미널) 종점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신반버스합동터미널)
종점행 첫차 14:30 기점행 첫차 16:20
막차 - 막차 -
배차간격 1일 1회
운수사명 경전여객 인가대수 1대
노선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자이A - 칠원 - 대산 - 송도 - 지정 - 태부 - 세간 - 신반버스합동터미널

2. 개요

경전여객이 운영하는 농어촌버스 노선.

3. 역사

4. 특징

4.1. 대체수단

역시 배차가 적기 때문에 대체 수단이 존재한다.

4.1.1. 마산이 목적지일때

신반-마산간 이동은 지정행 공공버스나 농어촌버스 탑승 후 지정에서 1일 5회 운행하는 함안 버스 113-1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배차가 적으므로 그냥 의령행 농어촌버스 타서 의령에서 마산행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지정-마산간 이동은 역시 함안 버스 113-1이 있으나, 1일 5회로 적다. 이 경우는 그냥 체념하자.

대산-마산간 이동은 함안 버스 113-1이 진리이며, 칠원-마산은 그냥 113-1번을 이용하는게 운행횟수도 1일 40회 이상으로 많고 좋다.

4.2. 시간표

운행시간표
순번 의령 신반 마산
1 06:50 07:20 09:20
2 12:00 12:30 14:30[3]
3 - 16:20 18:40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 함안군 버스 파일:함안군 CI_White.svg
창원시 시내버스
11
삼칠(내봉촌)
13
삼칠(아산동)
15
삼칠(아산동)
250
삼칠(호곡)
253
삼칠(호곡)
함안군 농어촌버스
113-1
삼칠, 대산
114-1
가야, 군북
250-1
삼칠, 대산
252-2
가야, 군북
72
여항, 가야
777-2번대
가야(함안) - 칠원
의령군 농어촌버스
의령 - 마산
삼칠, 대산
의령-마산노선이용시 용덕까지만 이용가능 의령까지 이용불가

의령군 농어촌버스와는 환승할인 불가

파일:함안군 CI_White.svg 함안군 - 의령군 버스 파일:의령군 CI_White.svg
함안군 농어촌버스
113-1
(득소, 두곡행노선)
1-20
1-90 1-91
의령군 농어촌버스
의령 - 마산 의령(정곡) - 함안
의령 - 군북 의령 - 신반(지정)
(신반방향만 운행)
의령-마산노선이용시 칠원까지만 이용가능 마산까지 이용불가

비수도권 고속도로 경유 시내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부산광역시 1005 1008 2029
울산광역시 1733
충청남도
당진시
9200 9201 9202
전라남도
담양군
311 311-1 311-2
311-3 311-4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고령-대구서부
경상남도
양산시
1100 1200 1300
1500 3000 3100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신반-대구서부 의령,신반-마산
}}}}}}}}} ||


[1] 1회는 신반으로 단축.[2] 초계 연장선이 있었을 시절에는 45인승 일반버스로 운행했다.[3] 신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