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국의 걸그룹}}}에 대한 내용은 [[육하원칙(걸그룹)]]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육하원칙(걸그룹)#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육하원칙(걸그룹)#|]]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국의 걸그룹: }}}[[육하원칙(걸그룹)]]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육하원칙(걸그룹)#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육하원칙(걸그룹)#|]]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육하원칙 六何原則# | 5W1H[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영어 | Six Ws, Five Ws and How, 5W1H | |
표준 중국어 | Liùhéfǎ(六何法) | ||
일본어 | [ruby(六, ruby=ろっ)][ruby(何, ruby=か)][ruby(原, ruby=げん)][ruby(則,ruby=そく)] | ||
스페인어 | Cinco W | ||
프랑스어 | QQOQCCP[2] | ||
독일어 | Fragetechnik, W-Fragen | ||
튀르키예어 | Beş n, bir k | }}}}}}}}} | |
<colbgcolor=#ddd,#383b40><colcolor=#000,#fff> 구성 요소 | |||
누가 | Who | ||
언제 | When | ||
어디서 | Where | ||
무엇을 | What | ||
어떻게 | How | ||
왜 | Why |
1. 개요
보도 기사 등의 문장을 쓸 때,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6가지 원칙. 한국어를 기준으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에 해당한다.각 요소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의 앞 글자를 따와 5W1H라고 부르기도 한다.[3] 아예 1H를 빼고 Five Ws라고 할 때도 많다.
어떤 면에서는 영어 중심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언어에는 있으나 영어에 없는 의문사가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례로 프랑스어에서는 'QQOQCCP'라고 부르는데, 영어에 없는 의문사 '얼마나(Combien)'가 들어 있어 7개로 구성되어 있다. 사실 한국어 의문사도 그보다 많다.
사실 '사건의 개괄을 최대한 구체적으로'라는 취지에서 강조되는 원칙이지, 실제로 모든 사건의 묘사에 육하원칙을 다 따져서 쓸 수는 없다. 예컨대 방금 갑자기 거리에서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졌다면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까지는 어떻게든 쓸 수 있을지 몰라도[4] '왜'나 '어떻게'는 수 개월 후 법정 공방에서조차도 확실히 가리지 못할 때가 많은데[5] 사건 직후에는 알 수 없을 때가 많은 것이 보통이다.
2. 용도
- 기사 작성
-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을 구상할 때.[6]
- 마인드맵 - 육하원칙의 가장 큰 장점은 전혀 모르는 부분이라도 어느 정도 계획을 잡을 수 있게 하는 점이다.[7]
- 군대 등에서 진술서를 쓰거나 무엇인가를 정식으로 보고할 때 - 육하원칙에 맞게 써야 한다.
[1] How를 제외하면 모두 W로 시작한다.[2] 각각 Qui(누가), Quand(언제), Où(어디서), Quoi(무엇을), Comment(어떻게), Combien(얼마나), Pourquoi(왜)[3] 사실 how 혼자 h로 시작하는 게 튀는데, 역사적으로는 how도 다른 의문사와 마찬가지로 'hw' 계열로 적었다. wh 문서 참고. 인도유럽어계 언어들은 대다수가 의문사 어휘에서 동원어쌍을 이룬다. 독일어의 'w-'[v\]나 로망스어의 'qu-'[k\] 등.[4] 사실 '무엇을', '어디서'조차도 불확실한 상태로 "무언가 중대 사건이 터졌다" 식으로 소문이 퍼질 때도 많다. 기자라면 이 4가지조차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보를 재생산하는 것은 가급적 피해야 하지만, 그런 것을 가릴 여유조차도 없이 빨리 소식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상황에서는 (재난 대피 상황 등) 앞뒤 다 빼고 소식을 전달할 수도 있다. 가령 일본 지진 속보에선 이런 육하원칙을 다 빼고 그냥 "쓰나미! 대피해!"(津波!にげろ!) 라고만 메시지를 전달한다.#[5] 특히 세간의 사건 중에는 아무 이유 없는 '묻지마 사건'이 아주 많다. 그런 사건들은 애초에 '왜'에 대한 답이 없는 것이다. 그리고 숱한 미결 사건들은 결국에 '누가'와 '어떻게'를 풀지 못한 것이다.[6] 이는 문제 상황에 관련한 질문을 육하원칙에 따라 하나하나 만들어 나감으로써, 어떤 정보가 필요하고, 무엇이 중요한지 정리해 볼 수 있어 좋다.[7] 예를 들어, '무중력 환경하에 인간 유전자가 일으키는 변이'에 관해서 마인드맵을 펼치면 전공자가 아닌 이상 의미 있는 청사진을 짜기 힘들다. 하지만 육하원칙에 따라 질문을 먼저 작성하면, '어떤 정보가 필요한가?'에 대한 것들이 명확해져 바로 조사에 나설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