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17:11:39

유아용 카시트

파일:f6d7c68712c18ccacc7a592bd814d231.jpg
파일:ca9dead8ad6b1915dd52ead583b74859.jpg
신생아용 바구니형 카시트 유아용 카시트
파일:67a3a845df1ff1366249b9a1d0068f2a.jpg
파일:59bc2c0d2f2d02bd71d4fec17096c04e.jpg
어린이용 주니어 카시트 청소년용 부스터 카시트
[clearfix]
1. 개요2. 역사와 필요성3. 구분
3.1. 탑승 대상에 따라
3.1.1. 신생아용 카시트 3.1.2. 영유아용 카시트3.1.3. 어린이용 카시트
3.2. 장착방식에 따라
4. 참고사항
4.1. 구입4.2. 장착
5. 여담

1. 개요

유아용 카시트, 어린이용 카시트는 체구가 작아 안전벨트를 올바른 형태로 착용하기 힘든 어린이의 안전을 위해 신체를 좌석에 고정하는 장치이다. 한국도로교통법에서는 '유아보호용 장구'로 명기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어린이용 카시트라고 불리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6년 도로교통법의 개정으로 의무화되어, 6세 미만의 아이는 카시트를 장착하여야 한다. 만 6세가 넘었더라도 일반 안전벨트 착용시 목에 닿는 등 제대로 착용이 안 된다면 카시트 사용을 권장한다.
도로교통법 제50조 1항 : 자동차(이륜자동차는 제외한다)의 운전자는 자동차를 운전할 때에는 좌석안전띠를 매어야 하며, 모든 좌석의 동승자에게도 좌석안전띠(영유아(제11조 참조, 6세 미만인 사람)인 경우에는 유아보호용 장구를 장착한 후의 좌석안전띠)를 말한다.

2. 역사와 필요성

1963년 독일RECARO[1]가 발매한 것이 세계 최초의 어린이용 카시트로 기록되어있다. 또한 카시트의 착용을 법적으로 의무화한 것은 1976년 호주가 최초이다.

교통사고 발생시 어린이의 안전확보뿐만이 아니라, 차내에서 뛰노는 아이들이 운전자에게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안전운전을 위해서도 필히 장착하여야 한다.

대다수의 나라에서 차량의 탑승인원은 보통 60-70kg의 성인으로 정해져있어서 처음 차를 만들 때도 거기에 맞춰서 안전장치를 만들어둔다. 그러다보니 가장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안전장치인 안전벨트는 대체로 청소년 - 성인에게 적합한 물건이지 영유아나 어린이들에게 맞는 물건이 아니다. 어린이용 안전벨트 클립의 사진을 보면, 안전벨트를 채웠을 때 안전벨트가 을 관통해서 채워지는 걸 볼 수 있다.[2] 당연히 저 상태에서 사고가 나면 안전벨트는 바로 잠겨버리는데, 그 상태로 목이 잡혀버리면 그냥 끔살이다.

그만큼 어린이에게 안전벨트는, 특히 목을 관통하는 안전벨트는 오히려 독이 된다. 그래서 카시트를 통해 꽉 붙잡아서 사고가 났어도 방지해주는 것이다.

3. 구분

3.1. 탑승 대상에 따라

3.1.1. 신생아용 카시트

infant car seat, 인펀트 카시트

국내에서 흔히 바구니 카시트, 베이비 카시트라고도 불리며, 일반적으로 체중 10kg 또는 13kg 미만, 신장 40~70cm 또는 40~85cm 정도의 신생아 또는 영유아용 뒤보기 전용 카시트이다. 전방 충돌시 어린이에게 가해지는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뒤를 보는 형태(뒤보기)로 장착한다.[3] 하지만 현실에선 대부분 편의와 아이 얼굴을 룸미러로 보겠다는 생각으로 정면 배치하는 경우가 흔하다. 특히 나이 드신 할머니들이 참견해서 배치를 바꾸는 게 일상사. 엄밀히 말하면 돌을 지나지 못한 아기들이나 10Kg 미만일 경우, 어리면 어릴수록 머리가 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 사고시 목이 부러질 확률이 높으며, 목뼈만이 아니라 뇌와 척추도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가장 충격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역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이 권장이나 그냥 생까고 첫 해부터 정방향 배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부 카시트의 경우 유모차에 어댑터를 달아 카시트 그대로 유모차에 장착할 수 있는 제품도 있으므로 이쪽을 알아보는것도 좋은 방법. 부모가 매우 편해진다.

3.1.2. 영유아용 카시트

converible car seat, 컨버터블 카시트

카시트에 전용의 안전벨트가 달린 앞뒤보기 겸용 카시트이다. 크게 고정형과 회전형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신생아부터 100~105cm, 18~19kg(대개 아이소픽스 고정시) 또는 93~110cm, 22.7~25kg(대개 차량 안전벨트로 고정시)까지 뒤보기가 가능하며, 100~105cm, 18~19kg(대부분의 제품) 또는 안전벨트 고정형 중 일부 제품이 124cm, 29.4kg까지 앞보기가 가능하다.

고정형 컨버터블 카시트가 최초의 형태이며 차량의 2점식 수동 벨트, 3점식 벨트(ELR, ALR, ELR/ALR), 아이소픽스 앵커[4]를 이용해 차량 좌석에 고정한다. 회전이 되지 않아 뒤보기에서 앞보기로 전환할 때 결합 부위를 해제하여 방향을 전환해 재설치해야 한다.

회전형 컨버터블 카시트는 아이소픽스 앵커로 고정하거나 2점식 벨트 혹은 3점식 벨트로 고정하는데 전자가 압도적으로 많다. 후자는 극히 일부분이지만 일본에서 먼저 개발된 제품이 있었고, 최근 2020년 5월 미국에서 회전형 카시트가 출시되어 향후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제품의 최초 개발 의도는 카시트를 옆으로 돌려 아이를 쉽게 승하차할 수 있게 하여 부모의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앞보기보다 5배 더 안전한 뒤보기를 최대한 오래[5] 아이에게 해주고자 함이었으나, 국내에서는 궁극적인 목표는 빠지고 오히려 앞보기로 쉽게 돌리라는 건 줄 아는 부모들이 많다.

3.1.3. 어린이용 카시트

booster seat, 부스터 시트

주니어 카시트라 불리는 앞보기 전용 카시트이다. 크게 자체 벨트(하네스, 하니스)가 있는 하이백 부스터인 콤비네이션 카시트(combination car seat, 국내에서는 토들러 카시트라고 부름), 등받이가 있는 하이백 부스터(highback booster, 국내에서는 주니어 카시트라고 부름)와 등받이가 없는 백리스 부스터(backless booster, 국내에서는 부스터라고 부른다)로 나뉜다. 콤비네이션 카시트 외에는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해 아이와 카시트를 함께 고정하는 방식이라 아이소픽스 앵커 사용이 필수는 아니지만, 사용하면 머리 수평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어 더 안전하다.

콤비네이션 카시트는 3점식 안전벨트, 아이소픽스 앵커를 이용해 고정할 수 있으나 아이소픽스 전용 제품이 압도적으로 많다. 스스로 앉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는 9개월부터를 기준으로[6] 75~105cm, 9~18kg까지 카시트 자체 벨트를 사용 가능한 경우가 많고, 15~25kg 또는 15~36kg까지는 차량 안전벨트를 사용한다. 15~18kg 사이는 카시트 자체 벨트와 차량 안전 벨트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18kg가 넘으면 아이소픽스 앵커가 아이와 카시트를 포함한 무게를 견디지 못하므로 차량 안전벨트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동생을 보게 되는 아이들이 자신의 영유아용 카시트를 물려주고 이 카시트로 쫓겨(!!)나는 경우가 많은데, 뒤보기가 앞보기보다 5배 더 안전하므로 경제적으로는 좋은 방법일지 모르나, 안전상으로는 추천하기 어렵다.

하이백 부스터 카시트는 대개 95~150cm, 15~54kg까지[7] 차량의 3점식 안전벨트(ELR만 가능하다. ALR은 절대 사용하면 안 된다)를 사용해 카시트와 아이를 함께 고정한다. 아이소픽스 앵커 사용은 선택이지만, 특히 카시트 상부를 고정해주는 테더벨트를 사용하면 머리수평이동거리를 10~20cm 정도 줄일 수 있어 앞좌석에 부딪힐 확률을 낮춰줘 더 안전하다.

백리스 부스터 카시트는 대개 아이의 키가 124cm 이상 되어야 사용 가능하며, 최소한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아이의 귀 바로 위에 차량 안전벨트의 시작점이 올 때부터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보다 키가 작을 경우 어깨벨트가 올바르게 위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8] 꼭 써야만 한다면 어깨벨트 위치를 조절해주는 장치가 함께 달려있는 백리스 부스터를 선택해 사용해야 한다.

3.2. 장착방식에 따라

크게 차량의 안전벨트를 사용하는 방법과 ISOFIX 방식으로 나뉜다.

ISOFIX[9]는 차량의 모노코크프레임에 용접된 전용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카시트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과 충격분산이라는 측면에서는 훨씬 좋다. 수입차의 경우는 2002년식부터 일부 모델에 한해 조금씩 수입해 들여오기 시작했으나, 국내에서는 2006년도 중순에나 겨우 르노삼성SM5/SM7 최고급 트림과 현대 NF 쏘나타 _엘레강스 스페셜 트림_을 통해 선보였다.[10] 국내에서는 대략 2010년 이후에는 승용차 전차종에 장착되어 있지만,[11][12] 그 이전 연식의 대부분의 국산차는 없다는 게 문제이다.

참고로, 2010년도 이전년식 국산차에도 소수나마 적용된 차량들이 있기는 있는데, 위에 언급한 SM5/7, 쏘나타 일부트림을 비롯하여, 현대제네시스 쿠페2세대 에쿠스, 기아포르테쿱정도만이 있으며, 르노삼성은 SM5/SM7 이외에 QM5에 장착되어 나왔고, 쉐보레윈스톰/캡티바에 장착되어 있다. 쌍용자동차는 2010년 전까지 그런 거 없었다.

안전벨트와 ISOFIX를 비교할 경우 ISOFIX가 허용하는 하중내의(유아의 몸무게와 카시트의 무게를 합산) 경우에는 안전성의 차이는 거의 없다. ISOFIX의 허용하중 내에서는 ISOFIX가 안전벨트에 비하여 유리하지만 ISOFIX 허용하중을 넘어선다면 Booster Seat라는 유아의 앉은 키를 높여서 안전벨트가 유아의 앉은 키에 맞도록 하는 장치의 사용을 추천한다. ISOFIX는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안전벨트는 성인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허용하중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카시트는 ISOFIX 와 안전벨트를 사용해서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ISOFIX 사용을 일부러 고집할 이유는 없다는걸 유의해야 한다
ISOFIX 는 편리한 장착과 오장착을 막아주는데 초점이 있기 때문이고 인장강도 허용 하중은 안전벨트가 훨씬 높고 정확하게 설치 하였다면 사고시 안정성은 안전벨트가 더 높다

보통 ISOFIX 허용 하중은(차마다 다르며 하중을 기재 안한 차들도 존재) 33kg 인데 아이 + 카시트의 무게가 33kg을 넘어가면 절대 사용해선 안된다

4. 참고사항

4.1. 구입

4.2. 장착

5. 여담

유명한 메이커로는 폴레드, 악스키드, 브라이텍스, 레카로, Cybex, 마이폴드, 콩코드, Maxi-cosi, 순성, 조이, 비세이프, 다이치[14] 등이 있다. 특히 국내 브랜드 제품으로 폴레드, 순성, 다이치가 있으며 해외 브랜드 제품의 경우 매우 고가에 판매되고 있다.

레이 밴 차종 짐칸에 아이를 태운 상태에서 충돌사고가 나서 아이가 튕겨나가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 # 카시트 미장착 상태에서 사고가 나 아이가 사망하는 등 문제가 생기더라도 그 책임 일부가 부모에게 있다는 판결이 나온 바 있다. 유아용 카시트 없이 교통사고 사망 '부모도 책임'

알람 포 코브라 11스피드에서는 카시트를 헬기의 로프에 매달아 아이를 구출하였다.[15]

2016년 11월 30일부터 도로교통법 개정안 시행으로 13세 이하 어린이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거나 카시트를 장착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가 기존에서 2배로 인상되었다.기사 몇몇 업체에서는 버스에 장착할 수 있는 휴대용 카시트가 출시된 상황이며, 고속버스 예매사이트 측에서도 동부고속 프리미엄에 한해 카시트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반드시 본인 소유 카시트를 준비하라고 설명하고 있다. 최근 출시된 차량의 경우 우등고속과 프리미엄 고속버스에서만 가능하며, 전 좌석 3점식 안전벨트를 선택하지 않는 이상 7번 좌석에서 본인 소유의 카시트를 장착할 수 있고, 초등학생 요금이 부과된다.[16] 최근에 출시되는 차량들은 시외버스 업체를 위시하여 우등석에 한정 모든 좌석에 3점식 안전벨트를 설치하는 업체가 늘고 있으니 참고하는 게 좋다.





카시트도 엄연한 소모품이다. 제조된 지 7년이 지났거나 사고를 체험한 카시트는 플라스틱이 열화되어 깨지기 쉬우니 과감히 교체해야 한다. 가격대가 애매한 물건이라 대부분의 가정들은 카시트를 주위 이웃이나 친척들에게 몰려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카시트의 내구기한이 지난 경우가 많아 안전성을 장담하기 힘들다.


[1] 과거에 포르쉐의 차체를 만들던 회사였다. 현재는 카시트를 비롯한 다양한 자동차 시트를 제작한다.[2] 사실 해당 제품도 그리 안전한 물건은 아니다. 제품이 플라스틱인데, 차량 사고시 그 충격이 상상을 초월하는 상황에서 저 플라스틱 쪼가리가 과연 버텨줄지 의문이다.[3] 앞을 보는 형태(앞보기)로 장착하고 충돌사고가 나면 관성에 의해 아이는 전진하기 마련이므로 벨트가 아이의 흉부 및 복부를 압박할 가능성이 높지만, 뒤보기 형태로 장착하면 시트에 닿는 등 전체로 압력이 분산된다.[4] 유럽의 고정형 앵커. 북미에서는 래치 앵커라고 부른다. 국내에는 유럽형 일색으로 아이소픽스로 일반적으로 알려있으나, 현기차는 북미시장을 타겟으로 하므로 사실 래치가 훨씬 많이 장착되어 있다.[5] 10kg까지 뒤보기는 고리짝적 이야기니 제한 키 없이 제한 하중이 10kg인 카시트는 제발 쳐다보지도 말자.[6] 앞서 말했듯이 어릴수록 머리가 무거우므로 앞보기는 지양하는 것이 좋다. 최근 유럽에서는 최소 15개월까지 뒤보기를 권장한다. 물론 그 이상 카시트가 지원하는 최대 체중과 신장 둘 중 하나를 꽉 채울 때까지 뒤보기를 유지하는 것이 5배 더 안전하다.[7] 대부분의 제품은 95~145cm, 15~36kg까지의 스펙인데, 이 시기에는 체중보다는 신장이 중요하다. 36kg까지만 쓰는 카시트라도 키 제한을 넘지 않았다면 그 이상 써도 괜찮다. 2020년 최근에 유럽에서 150cm까지 사용을 권장하기 시작했다.[8] 어깨벨트가 어깨 중앙을 지나 쇄골 위에 올바르게 위치하지 못하면 상체를 올바르게 잡아주지 못하므로 머리, 목, 복부 등 중요 부위에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다.[9] 국제표준화기구 표준규격 13216이다. 시트 하단 양쪽 고정구 사이의 거리는 280mm이다.[10] 웃기게도 당시 쏘나타 최고급형 풀옵션 모델에서는 이 ISOFIX가 옵션으로 선택조차 불가능했다.[11] 물론 유럽에서는 훨씬 이전부터 나온 방식이다. 애초에 ISOFIX라는게 유럽 표준이라 유럽에서 생산된 수입차는 이전 연식에서도 확인 가능하다.[12] 볼보는 해당 기능이 없는 차량에 ISOFIX를 추가할 수 있는 부품을 판매한다. 뒷좌석 시트 분리 후 토크렌치로 조립하는 방식이다.[13] 도로교통법 제30조에 의하면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 제11조'에 따른 안전검사기준에 적합한 것을 착용하도록 되어있다.[14] 2011년 소비자고발에서 듀웰이라는 모델이 1위를 했으나, 정작 2015년에는 같은 모델이 벨트 늑장 리콜로 논란이 있었다.[15] 해당 에피소드는 1999년 12월 16일에 방영되었다. 물론 실제로 따라하면 안되며 카시트가 아이에게 안전하다는 것과 이렇게 구출할 수 있다는걸 보여주기 위한 연출일 뿐이다.[16] 물론 일반인도 발권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