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0 19:27:49

빅 이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The Big-O의 등장 인물}}}에 대한 내용은 [[빅 이어(The Big-O)]]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빅 이어(The Big-O)#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빅 이어(The Big-O)#|]]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The Big-O의 등장 인물: }}}[[빅 이어(The Big-O)]]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빅 이어(The Big-O)#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빅 이어(The Big-O)#|]]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8b,#00008b><colcolor=#fff> 상징 <colbgcolor=#00008b,#00008b><colcolor=#fff> 주제곡 Ligue Des Champions
공인구 피날레(Finale)
우승컵 빅 이어
역사 구단, 감독 원년 초청 멤버 · 우승팀 목록 · 역대 우승 감독 · 역대 준우승 감독
시즌 역대 시즌 · 역대 결승전
개최지 역대 결승 개최지
기타 기록 UEFA 챔피언스 리그/기록 · UEFA 챔피언스 리그/대한민국
주관 UEFA
하위 대회 UEFA 유로파 리그 · UEFA 컨퍼런스 리그
유러피언컵+UEFA 챔피언스 리그 통계
UEFA 챔피언스리그 통계
}}}}}}}}}}}}}}} ||


1. 개요2. 내용3. 디자인
3.1. 이전 디자인3.2. 현재 디자인
4. 영구 수여
4.1. 영구 소장 클럽

1. 개요

UEFA 챔피언스 리그의 우승 트로피를 이르는 말. 공식 명칭은 '쿠프 데 클뤼브 샹피옹 에우로페앙(Coupes des Clubes Champions Européens)'이고, '빅 이어(Big Ears)'는 트로피의 별명인 'The Big Ears Cup'을 한 번 더 줄인 것이다.[1] 이는 현행 트로피의 손잡이가 사람의 귓바퀴같이 생겼는데 그 크기가 커서 생긴 별명으로, 아예 공식 별명이자 이명이 되었다.

2. 내용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한 팀은 트로피 수여식 때 트로피를 수여받아 다음 시즌 결승전 두 달 전까지 소유할 수 있다. UEFA는 우승팀에 영구 소유 가능한 트로피의 축소 모형을 수여하며, 우승팀은 원래 크기의 80%를 넘어가지 않고 실제 트로피의 복제품임을 표시한다는 조건하에 복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즉 원본의 80%까지의 크기가 허용되며 반드시 복제품이라고 표시해야 한다.

유럽의 축구 클럽에서 뛰고 있는 모든 선수들에게는 그야말로 꿈의 트로피이며, 그 권위와 가치는 FIFA 월드컵 트로피와 함께 축구계 최고라 봐도 무방하다. 국가대표 축구에서는 월드컵 트로피가, 클럽 축구에서는 빅 이어가 최상단에 위치한다 볼 수 있다.[2][3] 또한 국내 해외 축구 커뮤니티에서는 팀의 근본을 따지는 중요 척도가 된다.

현재 일부 클럽들이 영구 소장 중인 것들을 제외한 진품 빅 이어는 UEFA에서 보관 중이며, 그 외 챔스 우승팀 구장에는 복제품 빅 이어가 전시되어 있다.

스털링 실버로 만들어졌으며 높이 73.5cm, 무게는 7.5kg으로 다른 우승 트로피들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무거운 것은 아니다.[4]

챔스 우승 팀의 주장이 빅 이어를 번쩍 들어올리는 모습은 축구팬들의 즐거움이자 낭만 중 하나이다. 그 팀이 역전을 하여 승리한 팀이라면 더더욱.

3. 디자인

3.1. 이전 디자인

파일:gettyimages-1237961924-2048x2048.jpg
유러피언컵 우승 트로피

빅 이어가 만들어지기 전 챔피언스 리그 우승 트로피는 따로 있었다. 첫 대회였던 1955년부터 1966년까지 11년간 레키프[5]에서 우승컵을 제작해왔다. 위 사진은 빅 이어 이전에 쓰던 오리지널 유러피언 컵으로, 순서대로 레알 마드리드, 벤피카, AC 밀란, 인테르만이 소장한 적 있다. 이 중에서 벤피카만이 유일하게 리디자인된 빅 이어를 가져보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1960-61 시즌, 1961-62 시즌 우승한 이래로 단 한 번도 우승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오리지널 유러피언컵은 1965-66 시즌 결승까지 사용되었다. 이후 1967년 3월에 UEFA는 집행 위원회를 소집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트로피를 영구히 소유하도록 하고 새 트로피를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 참고로 1965-66 시즌 우승팀은 레알 마드리드였으므로, 구형 트로피가 퇴역하기 전 마지막으로 수여된 클럽도 레알 마드리드이다.

3.2. 현재 디자인

파일:UCL Trophy.png
빅 이어
UEFA 3대 사무총장인 한스 방게르터(Hans Bangerter)는 스위스 베른세공 전문가 위르그 스타델만(Jürg Stadelmann)에게 새로운 우승 트로피 제작을 의뢰했다.[6] 스타델만은 340시간의 작업을 거쳐 새로운 트로피를 완성했고, 그렇게 우리가 아는 현 디자인이자 빅 이어라는 별명이 붙여진 이 우승컵이 1966-67 시즌부터 채택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빅 이어를 최초로 들어본 팀은 스코틀랜드셀틱이다.

4. 영구 수여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거나 통산 5회 우승을 달성하면 UEFA 배지 오브 오너[7] 부착 자격 획득과 동시에 실제 빅 이어를 영구히 수여받을 수 있었다. 현재까지 챔피언스 리그 우승컵의 진품들은 총 6개이다. 이 중 첫 번째는 초창기 오리지널 진품 우승컵으로, 1956~1960년 5연패로 3연패와 통산 5회 우승을 단번에 달성한 레알 마드리드가 영구 소장 중이다. 1967년 3월에 UEFA 집행 위원회의 의결에 따라 영구 수여가 결정되었으며 두 번째부터가 현재의 빅 이어 디자인으로 제작된 우승컵인데, 1967년에 제조된 빅 이어는 Coupe des Clubs Champions Européens라는 글귀가 새겨진 우승컵으로 아약스가 1973년에 3연패로 자격을 충족하여 진품 우승컵을 영구 소장하고 있고, 이와 동일한 글귀로 제조된 세 번째 진품 우승컵은 1976년 바이에른 뮌헨이 아약스와 마찬가지로 3연패로 자격을 충족하여 영구 소장, 그리고 네 번째 진품 빅 이어 우승컵은 1994년 AC 밀란이 5회 우승을 달성하여 영구 소장하고 있다. 그리고 1995년, 다섯 번째로 제조된 빅 이어부터는 글귀가 대문자인 COUPE DES CLUBS CHAMPIONS EUROPÉENS로 바뀌었으며 이 우승컵은 2005년 리버풀이 5회 우승을 달성하여 영구 소장 중이다. 그리고 여섯 번째로 제조된 진품 빅 이어는 UEFA가 보관 중이다.

한편, 2009년 UEFA는 챔스 트로피 진품의 구단 영구 소장 제도를 6년의 유예 기간을 두고 폐지하는 것으로 결정하였으며[8] 바르셀로나를 비롯해서 그 이후에 영구 소장 자격을 획득한 구단은 UEFA 영예의 배지만 부착하도록 정해졌다. 이렇게 총 5개의 클럽만이 진품 빅 이어를 영구히 소장하게 되었다.

4.1. 영구 소장 클럽

<rowcolor=#fff> 클럽 수여 연도 달성 조건 이후 우승
레알 마드리드 CF 1967년[9] 3연패(1956~1958) 12회[10]
AFC 아약스 1973년 3연패(1971~1973) 1회[11]
FC 바이에른 뮌헨 1976년 3연패(1974~1976) 3회[12]
AC 밀란 1994년 5회 우승(1963, 1969, 1989, 1990, 1994) 2회[13]
리버풀 FC 2005년 5회 우승(1977, 1978, 1981, 1984, 2005) 1회[14]

[1] 그러니까 사실은 빅 이어'즈'가 맞다.[2] 그 아래로는 국가 대항전의 경우 축구계 양대 산맥인 유럽과 남미의 대륙 대항전 트로피인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 트로피 앙리 들로네, 코파 아메리카 우승 트로피 트로페오 데 라 코파 아메리카를, 클럽 축구의 경우 5대 리그 우승, 그 아래로 UEFA 유로파리그 트로피 또는 각 국가별 FA컵을 쳐 주는 편이다.[3] FIFA 클럽 월드컵의 경우 이벤트성 대회로 진행된 역사가 길며 2025년부터 32개국 체제로 확대되었기에 가치가 아직 높지 않고, 빅 이어나 월드컵 트로피 수준의 위상을 갖추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림픽 축구 금메달의 경우 참가국도 16개국이고 무엇보다 U23 레벨에 국한된 대회이기에 올림픽이라는 이름값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냉정히 상술된 트로피들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가치의 우승으로 평가받는다.[4] 유로파 리그 컵은 15kg이고,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컵, 마이스터샬레는 11kg으로 빅 이어보다 더 무겁다.[5] 유러피언컵 초창기에 대회를 주최했던 언론사.[6] 스타델만은 1972년부터 베른에서 비주 스타델만(BIJOUX STADELMANN)이라는 이름의 보석, 금 세공소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그 후로도 이 세공소에서 계속 빅 이어가 제작되다가 2005년 리버풀에 진품이 영구 수여되고 나서부터는 UEFA가 비주 스타델만이 아닌 다른 세공소에 새로운 우승컵 제작을 맡기기 시작했다.[7] 배지 오브 오너는 2000-01 시즌에 도입되었다.[8] 바르셀로나가 마지막으로 영구 소장 자격을 얻었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 UEFA 공식 홈, 영어 위키백과와 스페인어 위키백과, 그 외 기사들을 보면 바르셀로나는 영구 소장한 적이 없고 UEFA 영예의 배지 부착 자격만 얻었다고 나와 있다.[9] 유일하게 구형 트로피를 영구 소장하고 있다. 1966년 이전에는 영구 소장 규정이 없어서 조건은 1958년에 이뤘지만 수여는 9년이 지나서 이뤄졌다.[10] 1959~1960, 1966, 1998, 2000, 2002, 2014, 2016~2018, 2022, 2024. 총 15회.[11] 1995. 총 4회.[12] 2001, 2013, 2020. 총 6회.[13] 2003, 2007. 총 7회.[14] 2019. 총 6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