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구스어족 Tungus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북퉁구스어파 | 네기달어 · 오로첸어(어룬춘어) · 어웡키어 · 에벤어 · 오로치어 · 우데게어) |
남퉁구스어파 -남서퉁구스어(여진어군)- | 여진어† · 만주어 · 시버어 | |
남퉁구스어파-남동퉁구스어(나나이어군)- | 나나이어 · 울치어 · 윌타어 | |
| }}}}}}}}} |
1. 개요
윌타어는 윌타인의 언어다. 퉁구스어족에 속해 있다.2. 사용 지역
윌타어는 러시아의 사할린섬, 일본의 홋카이도에 거주하는 윌타인들을 중심으로 쓰이고 있다. 러시아의 사할린섬에서는 윌타어 화자가 소수 남아있으며 홋카이도에서도 윌타어 화자가 예전에 존재했지만, 소멸했다.3. 특징
윌타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한 언어이기 때문에 에벤키어, 나나이어, 만주어, 에벤어, 우데게어와 공통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윌타어는 문법적으로 주어 + 목적어 + 서술어의 순서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어휘에서는 러시아어, 일본어에서 유래된 어휘를 받아들였고 다른 퉁구스어족에 속한 언어와 비슷한 어휘들이 많이 존재한다.문자는 키릴 문자를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