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23:01:52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특성



1. 개요
1.1. 장점 특성1.2. 단점 특성1.3. 복합 특성

1. 개요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의 특성 일람

월드 오브 워쉽 레전드에서 한 선박의 특징을 크게 2~3개를 추려서 아이콘으로 소개를 하는데. 이 특성이 얼추 맞다 보니 선박을 연구하기 전 대강 어떤 선박인지 알 수 있는 도표라고 볼 수 있다.

총 세가지로 그려지는데, 해당 선박의 강력한 특기임을 표기하는 녹색원의 장점 특성, 해당 선박의 큰 결점임을 표기하는 빨간원의 단점 특성, 강력한점이 있으나 단점도 상당한 부분인 복합 특성 세가지이다.

1.1. 장점 특성


파일:특성 재장전 전문가.png
재장전 전문가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주함포 재장전 시간이 짧습니다.
}}}


파일:특성 고성능 조타 장치.png
고성능 조타 장치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방향 전환 능력이 우수합니다.
}}}


파일:특성 다수의 함포.png
다수의 함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함포가 많아 강력한 일제 사격을 가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고속 기동.png
고속 기동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최고 속도가 높습니다.
}}}


파일:특성 저도탄율 포탄.png
저도탄율 포탄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철갑탄은 도탄 확률이 낮아 예각에서 적 군함 장갑을 관통할 확률이 높습니다.
}}}


파일:특성 은폐.png
은폐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피탐지율이 준수하여 탐지되지 않은 상태로 적에게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고내구성.png
고내구성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기본 내구도가 높습니다
}}}


파일:특성 강력한 대공 성능.png
강력한 대공 성능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대공포 화력이 우수합니다.
}}}


파일:특성 정밀 타격 포탄.png
정밀 타격 포탄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철갑탄은 신관 작동 시간이 짧아 과관통 확률이 낮습니다.
}}}


파일:특성 신속한 조준.png
신속한 조준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주함포 회전 속도가 우수합니다. 근접 전투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높은 철갑탄 공격력.png
높은 철갑탄 공격력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철갑탄 공격력이 높습니다.
}}}


파일:특성 확장 연막.png
확장 연막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연막 지속시간이 깁니다.
}}}


파일:특성 철옹성.png
철옹성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장갑 두께가 우수하며, 모든 장갑 관통에 대한 저항값이 높습니다.
}}}


파일:특성 대구경 함포.png
대구경 함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대구경 주함포를 장착하였습니다.
}}}


파일:특성 긴 사거리.png
긴 사거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주함포 사거리가 우수합니다. 적에게 선제공격을 가해 보십시오!
}}}


파일:특성 고내구성 함재기.png
고내구성 함재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함재기들은 내구도가 높습니다.
}}}


파일:특성 진입점.png
진입점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폭격기 고폭 폭탄이 더 두꺼운 장갑을 관통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이중 어뢰.png
이중 어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뇌격기가 어뢰를 두발씩 투하합니다.
}}}


파일:특성 대규모 갑판.png
대규모 갑판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은 갑판 함재기 수용량이 우수합니다.
}}}


파일:특성 고속 함재기.png
고속 함재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함재기들은 속력이 높습니다.
}}}


파일:특성 자체 정비소 탑재.png
자체 정비소 탑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이 함선은 함재기 정비시간이 짧습니다.
}}}


파일:특성 잠행 함재기.png
잠행 함재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함재기들은 피탐지율이 준수합니다.
}}}


파일:특성 높은 고폭탄 공격력.png
높은 고폭탄 공격력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고폭탄 공격력이 높습니다.
}}}


파일:특성 높은 고폭탄 관통력.png
높은 고폭탄 관통력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고폭탄 관통력이 높습니다.
}}}


파일:특성 정밀 사격.png
정밀 사격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포탄의 탄도가 준수하여 탄속이 잘 유지되며, 표적을 더욱 수월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긴 부함포 사거리.png
긴 부함포 사거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부함포 사거리가 우수합니다.
}}}


파일:특성 확대 발사.png
확대 발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어뢰 발사관의 최대 발사각이 넓습니다.
}}}


파일:특성 고효율 탄두.png
고효율 탄두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어뢰 공격력이 높습니다.
}}}


파일:특성 방화광.png
방화광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평균 이상의 화재 유발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파일:특성 360도 회전.png
360도 회전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주함포 포탑은 360도 회전을 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높은 철갑탄 관통력.png
높은 철갑탄 관통력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철갑탄 관통력이 높습니다.
}}}


파일:특성 복구 극대화.png
복구 극대화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군함 수리반 소모품이 아주 큰 피해도 쉽게 복구 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포탄 세례.png
포탄 세례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주함포 재장전 가속기를 장착하고 있거나 장착 선택이 가능합니다.
}}}


파일:특성 어뢰 연발.png
어뢰 연발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어뢰 재장전 가속기를 장착하고 있거나 선택 장착이 가능합니다.
}}}


파일:특성 빠른 재장전.png
빠른 재장전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어뢰 재장전 시간이 짧습니다.
}}}


파일:특성 정밀 폭격.png
정밀 폭격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폭격기 폭탄 명중률이 높습니다
}}}


파일:특성 순차적 발사.png
순차적 발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어뢰를 한발씩 발사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확장 소나.png
확장 소나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에 장착된 소나가 범위가 더 넓고 파장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됩니다.
}}}


파일:특성 복구용 소모품.png
복구용 소모품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구축함은 군함 수리반을 장착한 선박입니다
}}}


파일:특성 전속 전진.png
전속 전진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엔진 가속기를 장착하고 있거나 장착 선택이 가능합니다.
}}}


파일:특성 융단 폭격.png
융단 폭격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폭격기가 공격시 일제히 다량의 폭탄을 투하합니다.
}}}


파일:특성 무장 준비 완료.png
무장 준비 완료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뇌격기 어뢰는 어뢰의 작동 거리가 짧습니다.
}}}


파일:특성 고옥탄가 연료.png
고옥탄가 연료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함재기는 더욱 강력한 엔진 가속기 소모품을 사용합니다.
}}}


파일:특성 동료애.png
동료애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함재기들은 표적 공격시 공격 편대의 모든 함재기가 일제히 무장을 투하합니다.
}}}


파일:특성 배기식 연막 생성기.png
배기식 연막 생성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연막 확산 중 최고 속력을 유지하며 숨을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잠행 어뢰.png
잠행 어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어뢰 피탐지율이 준수하여 적이 어뢰에 대응할 시간을 주지 않습니다.
}}}


파일:특성 고속 어뢰.png
고속 어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속력이 높은 어뢰를 사용합니다.
}}}


파일:특성 접근 금지.png
접근 금지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어뢰 발사관 수가 많습니다.
}}}


파일:특성 처신술.png
처신술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선체가 작아 명중될 확률이 낮습니다.
}}}


파일:특성 제트 보조 이륙 장치.png
제트 보조 이륙 장치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함재기 초기 이륙 속도가 높습니다.
}}}

1.2. 단점 특성


파일:특성 저속 기동.png
저속 기동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최고 속력이 낮습니다.
}}}


파일:특성 대비책.png
대비책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에 들어오는 대구경 철갑탄이 장갑을 과관통할 가능성이 높더라도 경우에 따라 신관이 작동하여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소구경 함포.png
소구경 함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소구경 주함포를 장착하였습니다.
}}}


파일:특성 짧은 어뢰 사거리.png
짧은 어뢰 사거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어뢰 사거리가 짧습니다.
}}}


파일:특성 대형 표적.png
대형 표적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상부 구조물 크기가 거대합니다.
}}}


파일:특성 저속 함재기.png
저속 함재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함재기 속력이 낮습니다.
}}}


파일:특성 선택적 무장.png
선택적 무장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부함포를 장착하지 않았습니다.
}}}


파일:특성 저속 어뢰.png
저속 어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어뢰 속력이 낮습니다
}}}


파일:특성 조준 지연.png
조준 지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주함포 회전 속도가 느립니다. 근접 전투에서 비효율적입니다.
}}}


파일:특성 좁은 발사각.png
좁은 발사각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어뢰 발사관 최대 발사각이 좁습니다.
}}}


파일:특성 취약한 장치.png
취약한 장치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엔진과 조타 장치에 큰 피해를 입기 쉬운 군함입니다.
}}}


파일:특성 저내구성 함재기.png
저내구성 함재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함재기의 내구도가 낮습니다.
}}}


파일:특성 흩어지는 안개.png
흩어지는 안개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연막 지속시간이 짧습니다.
}}}


파일:특성 낮은 철갑탄 관통력.png
낮은 철갑탄 관통력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철갑탄 관통력이 낮습니다.
}}}


파일:특성 포격 지연.png
포격 지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주함포 재장전 시간이 깁니다.
}}}


파일:특성 저성능 조타 장치.png
저성능 조타 장치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방향 전환 성능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


파일:특성 노출 위험.png
노출 위험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피탐지율이 높아 더욱 먼거리의 적에게도 탐지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낮은 고폭탄 공격력.png
낮은 고폭탄 공격력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고폭탄은 공격력이 낮습니다.
}}}


파일:특성 저내구성.png
저내구성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기본 내구도가 낮습니다.
}}}


파일:특성 금연.png
금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구축함은 연막 생성기 소모품을 장착하지 않았습니다.
}}}


파일:특성 느린 어뢰 활성화.png
느린 어뢰 활성화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뇌격기 어뢰는 어뢰 작동 거리가 길어 더 멀리 예측하여 공격해야 합니다.
}}}


파일:특성 저효율 탄두.png
저효율 탄두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어뢰 공격력이 낮습니다.
}}}

1.3. 복합 특성


파일:특성 저속 포탄.png
저속 포탄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탄도는 먼 거리의 표적을 맞추는 것은 어렵지만, 탄도를 활용하면 지형지물에 숨어서 적을 효율적으로 공격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큰 크기와 높은 가연성.png
큰 크기와 높은 가연성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같은 병종보다 크기가 크고 구경이 큰 함포를 장착한 군함입니다. 같은 병종보다 화재 지속시간이 더 깁니다
}}}


파일:특성 공습.png
공습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자동 비행 편대를 호출 하여 지정된 구역에 폭탄이나 어뢰를 투하할 수 있습니다
}}}


파일:특성 철갑탄 폭탄.png
철갑탄 폭탄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폭격기는 철갑폭탄을 장착합니다. 장갑이 두꺼운 표적에 효율적이나 장갑이 얇은 표적에는 비효율적입니다.
}}}


파일:특성 종잇장.png
종잇장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대구경 포탄이 신관 작동 없이 장갑을 과관통하여 피해량이 최소화됩니다. 소구경탄에 대한 방호는 보장할 수 없습니다.
}}}


파일:특성 관통 특화.png
관통 특화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철갑탄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


파일:특성 화재 유발 특화.png
화재 유발 특화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고폭탄만 탑재하고 있으며. 고폭탄 공격력, 화재 유발 능력, 관통력은 평균 이상입니다.
}}}


파일:특성 반철갑탄.png
반철갑탄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일관된 피해를 입히고 도탄 확률을 감소시기지만 화재를 일으킬 수 없는 반철갑탄을 탑재하거나 탑재 선택이 가능합니다.
}}}


파일:특성 신속 수리.png
신속 수리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의 피해 복구반 소모품은 재사용 대기 시간이 짧지만 사용 횟수가 제한됩니다.
}}}


파일:특성 저공 폭격기.png
저공 폭격기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항공모함의 폭격기는 투타한 폭탄이 수면에서 반동 후 표적에 적중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


파일:특성 심해의 위협.png
심해의 위협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해당 군함은 피탐지율이 낮지만, 구축함을 맞힐 수 없는 심해 어뢰를 사용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