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7dc5>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007dc5> 송정1, 2동 | 구청 송정동 | ||
도산동 | 도산동 | 황룡동 | ||
도호동 | 도호동 | 신촌동 | 우산동 | ||
어룡동 | 박호동 | 서봉동 | 선암동 | 소촌동 | 운수동 | ||
우산동 | 우산동 | ||
월곡1동 | 월곡동 | ||
월곡2동 | 월곡동 | 산정동 | 하남동 | ||
하남동 | 하남동 | 산정동 | 안청동 | 오선동 | 장덕동 | 장수동 | 진곡동 | 흑석동 | ||
비아동 | 비아동 | 도천동 | 수완동 | ||
첨단1동 | 비아동 | 쌍암동 | 월계동 | ||
첨단2동 | 산월동 | 쌍암동 | 월계동 | ||
신가동 | 신가동 | 신창동 | ||
운남동 | 신가동 | ||
수완동 | 수완동 | 신가동 | 장덕동 | 흑석동 | ||
신창동 | 신창동 | 수완동 | ||
임곡동 | 임곡동 | 고룡동 | 광산동 | 두정동 | 등임동 | 사호동 | 산막동 | 신룡동 | 오산동 | ||
동곡동 | 복룡동 | 본덕동 | 송대동 | 요기동 | 용봉동 | 유계동 | 하산동 | ||
평동 | 동산동 | 명화동 | 송촌동 | 연산동 | 옥동 | 용동 | 용곡동 | 월전동 | 장록동 | 지정동 | 지죽동 | ||
삼도동 | 내산동 | 대산동 | 도덕동 | 삼거동 | 삼도동 | 송산동 | 송학동 | 신동 | 양동 | 오운동 | 지평동 | ||
본량동 | 남산동 | 덕림동 | 동림동 | 동호동 | 명도동 | 북산동 | 산수동 | 선동 | 송산동 | 송치동 | 양산동 | 왕동 | 지산동 | }}}}}}}}} |
광산구의 법정동 월곡동 月谷洞 | Wolgok-dong | |
<colbgcolor=#007dc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행정표준코드 | 2920012800 |
관할 행정동 | 월곡1동, 월곡2동 |
면적 | 1.33㎢ |
[clearfix]
1. 개요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부에 위치한 법정동. 동쪽으로는 운남동, 서쪽으로는 산정동, 하남동 남쪽으로는 우산동, 북쪽으로는 흑석동에 접해 있다.우산동과 산정동 일부와 합쳐 광주시민들에게 하남으로 알려진 지역이다. 광산구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행정동이며, 광산구 내에서 단일 법정동이 분리된 지역은 송정동과 여기 둘 뿐이다.
1993년에 하남출장소에서 분리되었으며 2년 뒤 분동되었다.[1] 1987년부터 하남공단의 배후 주택단지로 개발되었고[2], 하남농협 본점 및 하나로마트 월곡점도 이 곳에 있다. 한때는 우산동과 함께 꽤 많은 인구수를 자랑했으며[3], 수완지구와 하남2지구가 생긴 지금은 아래와 같이 버스노선도 많은 편이다. 근처에 신도시에나 있는 영화관(우산동, 수완동)도 있는 곳으로 하남권의 상업중심지 역할을 하고는 있지만 택지개발이 된 지 오래되어 주거환경은 좋지 않은 편. 저렴한 집값이나 좁은 평수의 주택, 사택[4] 등의 이유로 하남공단에 근무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이 모여산다.[5][6] 그리고 대형 할인마트까지 입점한 축복받은 지역. 게다가 홈플러스와 우산동에 있는 이마트, 수완지구에 있는 롯데마트까지 자차 및 대중교통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현재 광주 고려인마을에서 고려인들이 구 소련 국가에서 귀환하여 7천명이 살고 있다. 현재 정착이 쉽지 않은데다가 한국어와 현지 사정에 익숙하지 않아서 고생 중이라고 한다. 이들이 앞으로 적응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고려인과 동구권 외국인들도 모여드는 러시안 타운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2. 교통
2.1. 시내버스
- 광주 버스 일곡10
- 광주 버스 수완12
- 광주 버스 문흥18
- 광주 버스 첨단20
- 광주 버스 송정29
- 광주 버스 봉선37
- 광주 버스 첨단40
- 광주 버스 금호46
- 광주 버스 상무62
- 광주 버스 임곡89
- 광주 버스 첨단92
- 광주 버스 첨단94
- 광주 버스 송정98
- 광주 버스 진곡196
- 광주 버스 송정700
- 광주 버스 평동701
- 광주 버스 광산720
3. 관할 행정동
3.1. 월곡1동
광산구의 행정동 월곡1동 月谷一洞 | Wolgok 1(il)-dong | |||
<colbgcolor=#007dc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3630027 | ||
관할 법정동 | 월곡동 | ||
하위 행정구역 | 29통 164반 | ||
면적 | 0.86㎢ | ||
인구 | 10,190명[A] | ||
인구 밀도 | 11,848.84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산구 갑 | |
| 박균택 (초선) | ||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 정무창 (재선) | ||
광산구의원 | 나 선거구 | |||
| 공병철 (재선) | ||
| 김명수 (3선) | ||
| 윤혜영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사암로 306 (월곡동 687-1) | ||
월곡1동 행정복지센터 |
월곡시장 사거리를 기준으로 4사분면에 위치한 곳이다. 하남농협 및 하나로마트 월곡점, 월곡파출소, 월곡119안전센터가 위치한 월곡동의 행정적 중심지이며, 월곡시장과 사암로 주변의 상가들이 있어 하남권의 실질적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남쪽 끝에 금호, 한성아파트가 있으며, 그 외에는 단독주택단지로 이루어져 있다. 관내에 월곡초등학교, 월곡중학교의 2개 학교가 있다.
광산구의 모든 행정동 중 가장 좁은 행정동이다.
[clearfix]
3.2. 월곡2동
광산구의 행정동 월곡2동 月谷二洞 | Wolgok 2(i)-dong | |||
<colbgcolor=#007dc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광주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광산구 | ||
행정표준코드 | 3630028 | ||
관할 법정동 | 산정동, 월곡동 | ||
하위 행정구역 | 30통 167반 | ||
면적 | 1.12㎢ | ||
인구 | 14,698명[A] | ||
인구 밀도 | 13,123.21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광산구 갑 | |
| 박균택 (초선) | ||
광주광역시의원 | 제2선거구 | |||
| 정무창 (재선) | ||
광산구의원 | 나 선거구 | |||
| 공병철 (재선) | ||
| 김명수 (3선) | ||
| 윤혜영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산정공원로72번길 21-12[9] | ||
월곡2동 행정복지센터 |
산정공원이 관내에 있으며, 학교는 대반초등학교, 영천초등학교, 하남중앙초등학교, 영천중학교, 하남중학교, 광주여자대학교가 있다.
[clearfix]
4. 역사
1935. 전라남도 광산군 하남면 월곡리1988. 1. 1. 광주직할시 광산구 월곡동(하남출장소 관할)
1993. 12. 1. 하남출장소에서 분리(월곡동 관할)
1995. 1. 1.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동
1995. 3. 1. 1동과 2동으로 분리
5. 기타
[1] 지금도 택시기사에게 "하남 갑시다." 하면 월곡동이나 북쪽 우산동으로 데려다 준다.[2] 잘 안알려졌지만 여기가 하남1지구다.[3] 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우산동, 산정동, 월곡동 인구를 다 합쳐서 7만명이 넘었다. 93년에 동국교, 남국교가 생기기 전까지 하남중앙국교는 2부제 수업을 해야할 정도로 콩나물 시루였다.[4] 하남공단에 입주한 중소기업들은 인근의 주택이나 아파트 몇 가구를 구입하여 사택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5] 특히 근처에 신시가지들이 많이 개발되면서 여유가 생긴 내국인들은 다들 신시가지로 이사를 가버렸기 때문이다. 신시가지들이 일터와의 거리에 있어 구시가지와 큰 차이가 없으면서도 생활여건이 상대적으로 풍족한 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남은 빈집에는 막 자립한 젊은 내국인 부부나 외국인들이 채우게 된다. 이건 비아동이나 신가동같이 개발된 지 오래된 지역들의 공통사항이기도 하다.[6] 월곡시장 주변 건물에 키릴 문자나 태국 문자로 쓰인 간판도 볼 수 있다.[A]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A] [9] 월곡동 490-7.[10] 그래서 영천마을 9~10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