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02:44:16

워룽 중화 자이언트판다원 선수핑 기지

워룽 중화 자이언트판다원 선수핑 기지
卧龙中华大熊猫苑神树坪基地
Wolong China Giant Panda Garden
파일:선슈핑기지.jpg
<colbgcolor=#15a98d> 국가
[[중국|]][[틀:국기|]][[틀:국기|]]
이명 중국 자이언트판다 보호 연구 센터 워룽 선수핑 기지
Wolong Shenshuping Base of CCRCGP
개관일 2016년 5월 12일 ([age(2016-05-12)]주년)
위치 쓰촨성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원촨현 워룽
링크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자이언트판다 보호연구센터 공식 웨이보

1. 개요2. 거주 중인 판다3. 상세

[clearfix]

1. 개요

파일:shenshuping base2.gif

워룽 중화 자이언트판다원 선수핑 기지는 2016년 5월 12일 개관한 자이언트판다 보호 연구 센터이다. 약 70여 마리의 판다를 관리 중에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사육판다의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름 그대로 워룽특별행정구(卧龙特别行政区)[1] 산하에 위치한다.

2. 거주 중인 판다

누락 및 오기재 발견 시 수정 바람.

3. 상세


[1] 홍콩이나 마카오와 같은 성급 특별행정구가 아닌 현급 특별행정구로, 중화인민공화국 민정부의 공식 명칭은 특구(特区)이다. 중국의 국립공원인 다슝마오 국가공원(大熊猫国家公园)의 지휘를 받아 운영된다.[2] 미국에서 태어난 암컷 판다. 미국으로 간 바오리의 엄마이다.[3] 白吉는 강어로 판다라는 뜻이다.[4] 2008년 3월 22일 쓰촨성 몐양시 마을 주민들이 부상당한 쉬슈를 발견했고 이후 구조되어 허타오핑 기지로 보내졌다.[5] 야생 출신인 바이양과 하이즈의 딸으로, 야생 판다 순수 2세대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야생성이 강하다고 한다.[6] 2007년 12월 1일 야생에서 구조되었다.[7] 2006년 12월 10일 야생에서 구조되었다.[8] 바오라이(宝来)라고도 불린다.[9] 아기 때 입가가 까맸다. 입가의 까만 털은 성장하면서 점점 사라지고 있다. 입에 짜장을 묻히고 태어난 아기 판다[10] 사육사 피셜로 아크릴로 나무를 감싸는 이유는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푸바오뿐만 아니라 다른 판다의 방사장의 나무도 아크릴로 감싸놓았는데, 간혹 아크릴로 감싸져있지 않은 경우는 나무가 이미 죽은 상태이거나 어린 아기 판다가 방사장을 사용하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