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20:18:33

울릉 버스 3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1a9d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울릉군 CI_White.svg
}}}
<rowcolor=#fff> 섬 일주 노선 도동버스승강장 출발 천부정류장 출발
1, 2, 11, 22
(정류소 목록)
3 4 · 5
파일:울릉 3번.jpg

1. 개요2. 노선 정보3. 특징
3.1. 시간표
4. 정류장 목록
4.1. 동광교회4.2. 봉래교4.3. 저동초등학교4.4. 저동휴먼시아4.5. 봉래폭포

[clearfix]

1. 개요

무릉교통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 도동버스승강장저동, 봉래폭포를 잇는다.

2. 노선 정보

파일:울릉군 CI_White.svg 울릉군 농어촌버스 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울릉 3 노선도.png
기점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도동정류소) 종점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봉래폭포)
종점행 첫차 06:45 기점행 첫차 07:00
막차 19:00 막차 19:15(저동휴먼시아종착)
운수사명 무릉교통 배차간격 35~80분 (1일 14~15회[1])
노선 울릉군도동정류소 - 도동파출소 - 울릉읍사무소 - 도동 천년나무아파트 - 한마음회관 - 고등학교 - 저동(약국) - 저동사우나 - 봉래교 - 공무원아파트(저동초교) - 저동휴먼시아 - 봉래폭포[추가요금]
중간 종료 정류장
봉래폭포 방향 저동휴먼시아 19:15
도동정류소 방향 없음

3. 특징

기존에는 2번이었으나, 2019년 1월 14일 개편 때 번호만 3번으로 바뀌었다. 다만 저동휴먼시아까지 운행하던 막차가 저동까지만 운행하는 걸로 단축되었다가 2019년 5월 10일 개편으로 다시 연장되었다.

표면상으로는 봉래폭포로 가는 관광지행 버스지만 실질적으로는 도동-저동 간 정기셔틀, 그리고 저동의 인구밀집지인 큰모시개(도동3리[3])와 중간모시개(저동1리)의 마을버스 역할도 겸한다. 운행 횟수가 비교적 많은 건 이 때문.

의외로 울릉도에서 가장 많이 운행하는 버스 노선으로, 도동행 15회, 봉래폭포행 14회다.[4]

관광지행 버스의 특성상 울릉공항이 개항하면 공항까지 연장되거나 적어도 일부 시간대에 공항까지 운행할 가능성이 높다. 저동의 경우 현재 노선망으로는 공항으로 바로 가려면 11번[5]을 타야 하므로 저동의 공항행 셔틀버스 역할도 겸할 것으로 보인다.

3.1. 시간표

울릉군 홈페이지
파일:울릉 버스 3, 4, 5 시간표.png

4. 정류장 목록

도동버스승강장부터 저동까지는 일주노선과 완전히 일치하므로 울릉 버스 1, 2, 11, 22/정류소 목록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4.1. 동광교회

울릉읍 봉래길 52. 폴사인이 설치된 정류장이다. 이름의 유래가 된 동광교회, 한의원과 폐교된 우산중학교가 있다.

4.2. 봉래교

울릉읍 봉래길 94. 폴사인이 설치된 정류장이다. 딱히 특별한 점은 없다.

4.3. 저동초등학교

울릉읍 봉래길 123. 폴사인이 설치된 정류장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저동초등학교와 정류장 바로 앞에 빌라(?)가 있다.

4.4. 저동휴먼시아

울릉읍 봉래길 190. 폴사인이 설치된 정류장이다. 울릉도의 유일한 휴먼시아인 저동휴먼시아가 있다.

4.5. 봉래폭포

울릉읍 봉래길 345. 주차장 1층에 공영버스 주차장이라고 표시된 자리가 있는데 그곳에 선다. 주변에 봉래폭포 외에 별다른 시설은 없다. 봉래폭포까지 도보가 왕복 40분 소요되고 버스 배차간격이 60분 가량이므로 봉래폭포를 여유롭게 볼 수 있다.


[1] 도동정류소행 15회, 봉래폭포행 14회[추가요금] 봉래폭포 승하차 시 500원을 추가해서 1,500원을 내야 한다.[3] 저동항 번화가는 관해정 만남의광장의 350년 묵은 후박나무를 기준으로 남쪽의 큰모시개와 북쪽의 중간모시개로 나뉘는데, 버스정류장과 고등학교· 식당가· 숙박업소가 밀집하여 가장 붐비는 큰모시개는 "대저"라는 한자 이름이 무색하게도 저동리가 아니라 도동리 소속이다. 여담이지만 이 대저(大苧)와 울릉도 여객선을 운영하는 대저해운(大渚海運)의 이름은 서로 관련이 없다.[4] 다만 일주노선은 1, 11번이 중첩되고 2, 22번이 중첩되므로 체감상 일주노선이 더 많이 다닐 뿐이다.[5] 돌아올 때는 22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3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