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5bbb> 고대 | 슬라브 / 루스 | |||||
루스 카간국 | |||||||
키예프 루스 | |||||||
페레야슬라우 공국 | 체르니히우 공국 | 키예프 공국 | |||||
중세 | 루테니아 왕국 | 킵차크 칸국 (몽골-타타르의 멍에) | |||||
근세 | 폴란드-리투아니아 자포리자 코자키 / 코자키 헤트만국 | 오스만 제국 크림 칸국 | |||||
근대 | 오스트리아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부코비나 공국 | 러시아 제국 남러시아 정부 |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국/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마흐노우슈치나/오데사 SSR/도네츠크-크리보이로크 SR 베사라비아 SSR/갈리치아 SSR/크림 인민 공화국/타브리다 SSR 크림 SSR/홀로드니야르 공화국 | |||||||
현대 | 소련 우크라이나 SSR/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 ||||||
나치 독일 우크라이나 국가정부/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소련 군정청 | |||||||
소련 우크라이나 SSR | |||||||
우크라이나 노보로시야 연방국(도네츠크·루간스크)/크림 | |||||||
우크라이나 | 러시아 도네츠크/루간스크/자포로지예/헤르손/크림 | }}}}}}}}} |
우크라이나국 Українська Держава 우크라이나 국가정부 Українське Державне Правління | ||
| | |
국기 | 국장 | |
1941년 6월 30일 ~ 1941년 7월 | ||
위치 | 우크라이나 | |
수도 | 리비우(사실상) 키이우(명목상) | |
정치체제 | 공화제 | |
수상 | 야로슬라브 스테츠코 | |
성립 이전 | 소련,(우크라이나 SSR), | |
멸망 이후 |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 |
1. 개요
1941년 6월 30일부터 그해 7월까지 짧게 존재한 정부.2. 상세
나치 독일이 바르바로사 작전을 실행에 옮기자, 스테판 반데라를 비롯한 우크라이나의 민족주의자들과 혁명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OUN-B) 등의 민족주의 단체들은 나치 독일이 자신들을 지지해줄 것이라 생각하여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고, 야로슬라우 스테츠코(Ярослав Семенович Стецько, 1912–1986)를 수상으로 한 우크라이나국을 수립한다. 그러나 이들은 극우적인 민족주의 세력이였고, 이에 따라 폴란드인, 유대인 등을 학살했다. 심지어 독일의 말도 잘 듣지 않았다. 그해 7월, 나치 독일은 그들의 정부를 해산시키고, 8월에 수립된 우크라이나 국가판무관부에 우크라이나국을 합병해버린다.3. 여담
수상 야로슬라우 스테츠코는 종전 후 서독으로 망명하여 거기서 사망한다. 1966년 11월 서울 워커힐에서 열린 '아시아 민족 반공연맹(APACL)'에 참석하기 위해 무려 방한까지 한다.[1] 당시 한국 언론에서는 반공 투사로 포장되었지만... #1 #2[1] 1966년 11월 5일 동아일보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