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6:32:34

우추향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77918>
파일:진먼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77918>
현청
진청진
진사진 진후진
진닝향 례위향 우추향 }}}}}}}}}



우추향
烏坵鄉[1] | Wuqiu Township
파일:진먼현 휘장.svg
향청 소재지 다추촌
면적 1.2㎢
하위 행정구역 2촌
시간대 UTC+8
인구 685명
인구 밀도 570명/㎢
향장 차이융푸(蔡永富)

1. 개요2. 교통3. 주민4. 시설5. 관광6. 여담

1. 개요

파일:우추향등대.jpg
파일:우추장제스.jpg

대만 푸젠성 진먼현의 북동쪽에 있는 .

다추섬(大坵嶼)과 샤오추섬(小坵嶼) 두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위 행정구역도 다추촌과 샤오추촌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래 푸젠성의 푸톈현 소속이나 1954년부터 진먼현에서 행정 업무를 대리하고 있다.[2] 방어는 해군육전대가 담당하고 있다.

2. 교통

군함을 이용해 타이중시를 오가는 배편이 15일에 한 번 있다. 낙도인 데다 군사지역인 관계로 관광은 거의 불가능하며 외지인은 사전 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입도가 가능하다. 헬리콥터 착륙장이 다추섬과 샤오추섬에 있으나 정기 항공편은 없다. 두 섬 사이를 오가는 교통편은 없고 개인 보트에 의존해야 한다.

3. 주민

인구는 약 600명이다. 주민들은 대부분 서쪽으로 30km 가량 떨어진 해상에 있는 메이저우섬에서 이주한 어민들이며 주로 어업에 종사한다. 청장년층은 대부분 취업이나 교육, 생활 여건상의 이유로 타지로 이주하였기 때문에 현재 이곳에 실제 거주하는 민간인은 대부분 노년층이며 청장년층은 명절이나 선거 기간에만 일시적으로 입도한다. 향시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이 낮아 투표에 참여하는 인구가 적기 때문에 각종 선거에서 이 지역의 투표율이 낮게 집계된다.

본래는 푸톈 지역의 방언인 보선어가 사용되던 지역이었지만 본토와의 교류가 끊어지면서 현재는 대만의 다른 지역들처럼 표준 중국어대만어가 주류 언어가 되었다.

4. 시설

1966년 개교한 소학교가 있었으나 1987년에 폐교하여 교육기관은 전무하다. 외지와 연결되는 송전망이나 수도 설비가 없기 때문에 전력은 발전기에 의존하고 있으며 식수는 선박을 통해 공급받는 식수와 빗물, 해수담수화 설비를 통해 얻고 있다. 의료시설은 군 의료기관이 유일하며 응급 환자는 헬리콥터를 통해 외지로 이송해야 한다.

5. 관광

1874년에 지어진 등대인 우추등대가 그나마 유명하다.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데 점등은 국공내전국부천대에 따른 군사적 대치 상황으로 인해 1951년 이래 장기간 중단되었고 이후에도 유지보수와 명목상의 운영은 계속되었으나 2001년부터는 등대 관리 업무가 재정부 관무서에서 군으로 이관되면서 공식적으로 사용이 중단된 상태였다가 2017년에 등대 관리 업무가 교통부 항항국으로 이관되면서 66년 만에 점등이 재개되었다.

6. 여담


[1] 오구향, 중국어 정체자: 烏坵鄉, 한어병음: Wūqiū Xiāng[2] 1965년 각 섬들의 행정구역을 조정한 롄장현과 달리 우추향의 행정구역은 조정하지 않은 채 행정권만 진먼현에 넘겼다. 각종 통계에서 푸톈현을 따로 집계하지 않다 보니 대만 내에서도 우추향이 진먼현 소속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거의 대다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