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1-31 15:52:02

우스터 전투



파일:battle of worcester.jpg

1. 개요2. 배경3. 양측의 전력
3.1. 스코틀랜드군3.2. 잉글랜드군
4. 전투 경과5. 결과

1. 개요

잉글랜드 내전 시기인 1651년 9월 3일 올리버 크롬웰이 지휘하는 잉글랜드군과 찰스 2세를 국왕으로 옹립한 스코틀랜드군이 맞붙은 전투. 잉글랜드 내전 최후의 전투였으며, 크롬웰은 이 전투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후 스코틀랜드를 정복하고 왕당파를 영국 전역에서 일소시켰다.

2. 배경

1650년 9월 3일, 올리버 크롬웰은 던바 전투에서 스코틀랜드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뒀다. 그러나 그는 전력 손실이 워낙 컸기에 스코틀랜드 원정을 중단하고 잉글랜드로 돌아갔다. 이후 스코틀랜드 지도자들간의 마찰이 벌어졌다. 스코틀랜드군 사령관 데이비드 레슬리는 적이 스코틀랜드 내부로 깊숙히 쳐들어오게 한 뒤 섬멸시키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찰스 2세는 잉글랜드로 쳐들어가서 적을 물리치자고 주장했다. 결국 스코틀랜드 의회는 국왕의 뜻에 따르기로 결의하고, 1651년 8월 5일 14,000명의 스코틀랜드군이 국경을 넘어 잉글랜드로 진입했다. 찰스 2세의 의도는 전통적인 왕당파 지역인 랭커셔와 웨일즈 국경 지역을 행진하면서 군대를 증강시킨 후 런던을 향해 진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잉글랜드 왕당파와 장로교 신자들이 그를 지지하기 위해 일어설 것이라는 그의 믿음은 잘못된 것이었다. 스코틀랜드군이 1648년에 잉글랜드 북부를 침략하면서 보여준 심각한 약탈에 대한 기억은 여전히 잉글랜드인들의 머리에 생생했고, 잉글랜드 의회는 국민들에게 반 스코틀랜드 감정을 더욱 자극하기 위한 효과적인 선전 운동을 펼쳤다. 데이비드 레슬리는 이러한 민심을 읽고 점점 더 침울해지고 비관적인 태도를 취했다. 8월 22일 우스터 (Worcester)를 점령했을 때, 찰스 2세는 왕에게 전폭적으로 지지하는 이 도시에서 최소한 1만 가량의 지원병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했으나 정작 지원한 이는 2천 명도 채 되지 않았다. 또한 더비 백작과 토마스 틸드슬리 경이 이끄는 랭커셔 왕당파 세력은 8월 25일 위건에서 로버트 릴번 대령에게 패배했다. 틸드슬리는 이 전투에서 체포된 직후 처형되었고, 잉글랜드 내 왕당파 세력은 일소되었다.

한편, 크롬웰은 잉글랜드를 경유하는 진로를 택해 런던으로 진격하려는 적의 시도를 막았고 존 램버트 중장은 기병대를 앞세워 적의 후위대를 괴롭혔다. 크롬웰의 의도는 스코틀랜드와 왕당파를 섬멸하기 위한 거대한 병력을 집결시키는 것이었다. 크롬웰이 1650년에 스코틀랜드 침공했을 당시 그를 대신해 잉글랜드의 전반적인 군 통수권자를 맡았던 해리슨 소장은 뉴캐슬에서 진군하여 프레스턴 근처에서 램버트와 합류했다. 플릿우드 소장은 런던 주변의 의회 군대와 민병대를 동원한 후 워윅에서 크롬웰, 램버트, 해리슨과 함께 행진했다. 디브로우 소장은 남서쪽에서 파견된 부대를 소집했다. 마침내 찰스 왕세자의 우스터 주위에 집결하게 된 잉글랜드군은 약 28,000명의 병력을 집결시켰고 3,000명의 민병대 역시 스코틀랜드에 대항하여 동원되었다. 이리하여 찰스 2세의 런던을 향한 진군로는 모두 차단되었고, 릴번 대령의 군대는 적이 스코틀랜드로 돌아가는 길을 봉쇄했다.

이에 찰스 2세는 웨일스와 잉글랜드 남서쪽 지역에서 지원군을 모으기를 희망하면서 우스터의 방비를 서둘렀다. 우스터 주위를 흐르는 세번강과 테메 강을 가로지르는 주요 다리들을 부분적으로 파괴했으며 도시 주변의 요새들에 병력을 배치했다. 또한 찰스 2세는 전국 각지의 충신들에게 우스터로 달려와 자신을 구하라는 포고문을 발표했고 우스터에 거주하는 16세에서 60세 사이의 모든 남성들을 동원해 우스터 북쪽에 잇는 피치크로프트 평원에 배치시켰다. 그러나 찰스 2세의 선언에 응한 잉글랜드인이나 웨일스인은 극소수였고, 오직 스코틀랜드군만이 그를 여전히 따랐다. 그러던 9월 3일 크롬웰의 군대가 우스터에 도착하면서, 잉글랜드 내전 최후의 전투가 임박했다.

3. 양측의 전력

3.1. 스코틀랜드군

3.2. 잉글랜드군

4. 전투 경과

우스터(Worcester) 인근에 도착한 크롬웰은 적의 방비 상태를 살펴본 뒤 도시의 동쪽의 방비가 강력하므로 그곳을 지나쳐서 세번 강 양쪽으로부터 협공하기로 결정했다. 8월 28일, 램버트가 이끄는 기병대와 용기병대가 우스터에서 남쪽으로 10마일 떨어진 업튼 다리를 탈환했다. 또한 플릿우드 소장은 11,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세번 서쪽 둑으로 건너가 남쪽에서 우스터를 공격할 준비를 갖췄다. 또한 크롬웰은 포병대 및 나머지 군대를 레드힐과 페리우드 고지에 주둔시켜서 우스터 동쪽의 적을 견제하기로 했다. 8월 29일 잉글랜드 포병대가 우스터 시가지에 포격을 가하기 시작했다. 이에 스코틀랜드군의 미들턴 중장과 키스 대령은 1,500명의 병사들을 이끌고 포병대를 공격하는 작전을 지휘했으나 실패했다.

9월 3일 새벽, 플릿우드 소장은 세번강의 서쪽 둑으로 진격했다. 하지만 그가 이끈 군대는 폰툰 다리를 수리하기 위해 배 20척을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며 8마일이나 끌고 갔기 때문에 진군 속도는 더뎠다. 그들은 오후에 접어들어서야 세번강에 도착했다. 이후 플릿우드는 병력을 둘로 나눠서 하나는 다리를 수리하는 작업을 맡겼고 다른 하나는 적의 주위를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파워크 다리 공격을 맡았다. 이에 맞서 스코틀랜드군의 몽고메리 소장이 파워크 다리 수비병을 이끌고 맞서 싸웠으나 수적으로 워낙 열세해 결국 패퇴했다. 하지만 플릿우드의 군대는 곧 피츠코티 대령이 이끄는 기병대의 역습으로 인해 진격이 지체되었다.

이런 상황을 언덕 위에서 지켜보고 있던 크롬웰은 직접 세개의 여단을 이끌고 세번 강을 건너 피츠코티 대령의 기병대 측면을 공격했다. 결국 스코틀랜드군 기병대는 패퇴했고, 포윅 다리를 지키던 키스 대령의 부대도 적의 압도적인 공세에 굴복하여 무너졌으며 키스 대령은 생포되었다. 또한 몽고메리 소장도 크게 다쳤고 살아남은 병사들은 우스터 시가지로 도주했다. 우스터 대성당의 탑에서 전투를 지켜보던 찰스 2세는 급히 내려와서 강 동쪽의 잉글랜드군을 공격하기 위해 친히 군대를 집결시켰다. 그는 해밀턴 공작이 플릿우드의 군대를 공격하는 동안 자신은 레드힐을 공격하기로 했다.

이 공격은 처음에는 성공하는 듯했다. 잉글랜드군은 찰스 2세의 갑작스런 공세에 당황해 밀려났고, 한때는 강 동쪽에 배치되었던 잉글랜드군 측면이 무너지는 듯했다. 그러나 크롬웰이 급히 군대를 이끌고 세번강을 건너 찰스 2세가 지휘하고 있던 군대의 측면을 공격하자 상황은 급변했다. 크롬웰이 지휘하는 철기대의 전투력에 밀린 스코틀랜드군은 다시 우스터 시가지로 패주했고 해밀턴 공작은 치명상을 입었다. 이때 데이비드 레슬리 경은 도시 북쪽에 예비 기병대를 이끌고 있었으나 이제 모든 것이 끝났다고 체념했는지 아군을 구하려 하지 않았다.

얼마 후, 에식스 민병대가 로얄 요새를 점령한 후 우스터 시가지에 포격을 가했고 뒤이어 잉글랜드군이 도시로 진입해 시가전을 벌였다. 찰스 2세와 일부 고위 지휘관들이 군 병력을 집결시켜 항전했지만 병사들은 이미 싸울 마음을 잃고 이리저리 도망쳤다. 결국 찰스 2세는 가까스로 몸을 피해 몇몇 측근들과 함께 프랑스로 도주했고 스코틀랜드 및 왕당파 지도자 대부분이 죽거나 포로 신세로 전락했다. 이리하여 전투는 잉글랜드군의 승리로 끝났다.

5. 결과

우스터 전투는 왕당파가 크롬웰에게 대항할 수 있는 여력을 완전히 파괴한 결과를 가져왔다. 최대 3천 명에 달하는 병사들이 전사했고 약 1만 명이 포로가 되었는데, 그 중 다수는 뉴잉글랜드(아메리카)나 바베이도스(대서양)로 이송되어 강제 노동에 시달렸다. 반면 잉글랜드군의 손실은 200~700명에 불과했다. 이후 스코틀랜드는 더이상 저항할 능력과 의지를 상실하고 크롬웰에게 항복했고, 왕당파 인사들은 크롬웰에게 붙잡힌 뒤 반역자로 낙인찍힌 채 처형되었다. 이로써 크롬웰은 명실상부한 영국의 절대 지배자로 군림했고 이후 7년간 청교도 정신에 입각한 엄격한 통제 정치를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