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11:20:00

외뿔소자리 R2 성협

외뿔소자리 R2 성협의 내부천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NGC 천체
NGC 2169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NGC 2170
외뿔소자리의 반사성운
NGC 2171
Unknown[1]
NGC 천체
NGC 2181
황새치자리의 구상성단
NGC 2182
외뿔소자리의 반사성운
NGC 2183
외뿔소자리의 반사성운
NGC 천체
NGC 2182
외뿔소자리의 반사성운
NGC 2183
외뿔소자리의 반사성운
NGC 2184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NGC 천체
NGC 2184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NGC 2185
외뿔소자리의 반사성운
NGC 2186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


1. 개요2. 상세3. 구성 천체
3.1. NGC 2170
3.1.1. 개요3.1.2. 상세
3.2. NGC 2182
3.2.1. 개요3.2.2. 상세
3.3. NGC 2183
3.3.1. 개요3.3.2. 상세
3.4. NGC 2185
3.4.1. 개요3.4.2. 상세
3.5. 기타
4. 찾는 방법5. 관련 문서

1. 개요

외뿔소자리 R2 성협 / Monoceros R2 Association

외뿔소자리 R2 성협은 외뿔소자리 방향으로 약 2,700 광년(830 파섹) 떨어진 성협이다.[2][3]

2. 상세

Mon R2 성협은 직경 240 광년의 거대한 반사성운 광원 성협이며 NGC 목록중에선 NGC 2170과 NGC 2182, NGC 2183, NGC 2185의 4개의 천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Vdb 목록중에서는 7개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NGC 2170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과 NGC 2183, NGC 2185등의 천체가 포함되어 있는 부분, 두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져 있는 Vdb 70으로 나눌 수 있다.

맨눈(가시광선)으로 관측하거나 사진을 촬영하면 밝지도 않은데다 곳곳에 낙서를 해놓은 것만 같은 화려한 성운들만 많다고 생각해서 화려하지도 않고 별 형성이 딱히 일어나지 않는다고 착각할 수 있으나 적외선파장으로 관측할 시엔 성운에 가려 보이지 않던 수많은 원시별들과 전주계열성이 관측된다고 하며 가시광선 파장보다 훨씬 더 화려해 장관을 이룬다고 한다.

성운에서 가장 오래된 별은 1,000만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최대 천만년전부터 별 형성이 시작되었으며 그 형성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한다.

성운 내부의 항성들이 내뿜는 자외선으로 인해 성운들의 스펙트럼에선 화합물[4]이나 포름알데히드등의 복잡한 유기 화합물이 발견된다고 한다.

3. 구성 천체


파일:ngc2170_davis_big.jpg
외뿔소자리 R2 성협의 사진[5]

3.1. NGC 2170

NGC 2170
천사 성운
Angel Nebula
<nopad> 파일:N2170s.jpg
[6]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6h 07m 31,3s
적위 −06° 23′ 53″
별자리 외뿔소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반사성운
거리 2,700 광년
83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9.5
규모
크기 2' X 2'
명칭
천사 성운[7], NGC 2245, Vdb 67, Ced 63, LBN 994

3.1.1. 개요

NGC 2170은 외뿔소자리 R2 성협 내부의 반사성운이다.

3.1.2. 상세

외뿔소자리 R2 성협의 중심에 있는 성운이며 성협 전체에서 가장 별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이다.

성운 중심에는 뜨거운 핵 성단[8]인 Mon R2 IRAS 3로 명명된 산개성단이 존재하며 이 성단은 2개의 하위 성단인 Mon IRAS 3A와 IRAS 3B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중 A 성단이 전체 성단의 80%의 밝기를 차지하며 스펙트럼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분자들은 모두 A 성단 주위에 있는 토러스구조의 성간물질에서 나온다.[9] 예외적으로 시아노아세틸란은 북쪽으로 0.5' 떨어진 곳에서 검출되었으며 이 까닭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IRAS 3 성단은 오리온자리 KL 성운같은 일반적인 뜨거운 핵 성단과 검출되는 분자들이 약간씩 다르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다른 핵 성단과는 달리 IRAS 3 성단이 진화 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있다고 한다.

3.2. NGC 2182

NGC 2182
<nopad> 파일:NGC_2182.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6h 09m 30s
적위 -06° 19’ 35”
별자리 외뿔소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반사성운
거리 2,700 광년
83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9.0
규모
크기 3' X 2'
명칭
NGC 2245, Vdb 72, Ced 68, DG 93, LBN 998

3.2.1. 개요

NGC 2182는 외뿔소자리 R1 성협 내부의 반사성운이다.

3.2.2. 상세

중심에 있는 B형 주계열성 삼중성계인 HD 42261에 의해 빛나고 있는 타원형의 반사성운으로 성협 전체에서 일산화탄소 방출이 가장 많다는 특징이 있다.

3.3. NGC 2183

NGC 2183
<nopad> 파일:noao-n2185jacobstein.jpg
[10][11]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6h 31m 00s
적위 +09° 53’ 50”
별자리 외뿔소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반사성운
전리수소영역
거리 2,800 광년
83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15.15
규모
크기 1' X 1'
명칭
IC 446, IC 2167, Ced 77, LBN 201.31+00.25

3.3.1. 개요

NGC 2183은 외뿔소자리 R2 성협의 반사성운이다.

3.3.2. 상세

중심에 있는 2MASS J06104712-0612507에 의해 빛나고 있으며 성운 물질의 온도는 9 켈빈정도로 매우 냉각화된 것이 밝혀졌다.

성운 자체도 성협 내부의 다른 성운들에 비해 어두운데다 성간물질에 의해 별들이 대부분 가려져 있어 가시광선 파장에선 관측하기 어려우나 적외선 파장으로 관측하면 성운 중심에 있는 항성과 그 항성을 둘러싸고 있는 성운들도 확연하게 관측된다고 한다.

3.4. NGC 2185

NGC 2185
<nopad> 파일:noao-n2185jacobstein.jpg
[12]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6h 10m 59s
적위 -06° 13’ 36”
별자리 외뿔소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반사성운
거리 2,700 광년
83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12.9
규모
크기 2' X 2'
명칭
NGC 2181,Vdb 73, Ced 70, DG 95, LBN 997

3.4.1. 개요

NGC 2185는 외뿔소자리 R2 성협의 구성 성운이다.

3.4.2. 상세

상술한 NGC 2193 바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 NGC 2193, Vdb 74와 함께 성운 복합체를 이룬다고 한다.

성운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별들로 인해 빛나고 있으며 NGC 2193과 동일하게 성간물질로 가려져 있어 가시광선 파장에서는 관측하기 어려우나 가시광선 파장에서 초장노출을 하거나 적외선 파장에서 관측하면 내부의 별들과 성운들을 확연하게 관측할 수 있다.

3.5. 기타


파일:NGC2170_Panorama_1100px_annot.jpg

상술한 NGC 목록 천체 이외에도 HD 42050을 중심으로 하는 밝은 반사성운인 Vdb 70, LBN 990과 암흑성운 LDN 1644, LDN 1645와 NGC 2170 근처에 있는 넓고 큰 분홍색 성운인 LBN 999, LBN 990의 반대쪽에 위치한 푸른 성운인 Vdb 68, 상술한 두 성운 사이에 위치한 흰색 성운인 Vdb 69와 NGC 2185 위쪽에 위치한 푸른 성운인 Vdb 74[13]와 암흑성운 LDN 1646등등 수많은 성운들이 성협에 속해 있다.[14]

4. 찾는 방법

별들은 4인치 망원경으로 관측을 할시 보이기는 하나 확연하게 관측은 되지 않으며 성운은 사실상 사진촬영으로만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외뿔소자리 베타에서 외뿔소자리 감마를 이은 선을 두 별간의 거리의 1/3만큼 연장하면 HD 42278이 보이며 외뿔소자리 감마에서 남쪽으로 1도만 이동하면 HD 42690이 보일 것이다. 이 두 별 사이에 NGC 2193과 NGC 2195가 위치해 있으며 두 성운에서 남쪽으로 1도만 이동하면 NGC 2170을 필두로 한 성협의 중심이 위치해 있으며 Vdb 70은 HD 42278에서 동남동쪽으로 0.5도만 이동하면 위치해 있다.

5. 관련 문서


[1] 기록된 위치는 테이블산 근처이다.[2]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오리온자리 OB1 같은 성협은 O형 주계열성이나 B형 주계열성이 10~100개가 포함되어 있는 OB성협으로 주로 전리수소영역 내부 또는 근처에서 발견되지만 외뿔소자리 R1 성협같은 R(Reflection) 성협은 반사성운을 비추는 별들의 성협으로 OB성협과는 다르게 O형 주계열성이나 B형 주계열성이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다.[3] 외뿔소자리 R1 성협과는 별개의 성협으로 애초에 R1 성협은 2,330 광년 떨어져 있지만 R2 성협은 2,700 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데다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마저 무려 16도나 떨어져 있다.[4] 황 화합물이 검출되는 까닭은 성협 내부의 전주계열성이 주계열성으로 변모할 때 순간적으로 엄청난 양의 물질들을 내뿜는데 이때 항성의 대류층에 저장되었던 황이 증발하면서 기체상태로 전환된다고 하며 그후 기체상태인 황과 항성에서 나온 산소수소등의 물질이 결합했기 때문이라고 한다.[5] 사진 중앙에 위치한 성운들중 가장 밝게 보이는 흰색 부분이 NGC 2170, NGC 2170에서 왼쪽으로 조금 이동하면 보이는 푸른 부분이 NGC 2182, NGC 2182에서 왼쪽으로 조금만 더 가면 보이는 성운이 NGC 2173, NGC 2175이며 이외에도 사진 상단에 있는 붉은 부분인 Vdb 70, NGC 2170 바로 위쪽에 위치한 파란 부분인 Vdb 68 등등의 반사성운이 속해 있다.[6] 사진 중간의 붉은 부분이 NGC 2170이다.[7] 천사 성운이라는 명칭은 NGC 2170을 포함해 Vdb 68, 69와 LBN 999까지 포함하는 R2 성협 중심에 위치한 모든 성운들이 마치 천사같이 보이기 때문에 생겼다. 참고로 날개가 검은색이다.[8] 예시가 바로 오리온성운에 위치한 오리온자리 KL 성운이며 성단의 별들이 성단 주위의 가스들을 가열하면서 순간적인 폭발이 발생하고 이 과정에서 여러 특이한 화합물들이 생성된다는 특징이 있다.[9] 상술했듯 성단의 중심에 있는 별들이 내뿜는 자외선으로 인해 황 화합물이나 유기 화합물등이 생성되었기 때문이며 이외에도 항성에서 자체적으로 전주계열성에서 주계열성으로 진화할 때 수많은 물질들을 내뿜어 일시적으로 분자들이 검출되는 경우도 있으며 고리 내부 물질간의 충돌도 까닭중 하나로 추정된다고 한다.[10] 위 사진중 오른쪽에 있는 붉은 부분과 흰 부분이 NGC 2183이다.[11] NGC 2183은 NGC 2185를 포함하는 부분의 전체를 포함한다는 정보도 있다.[12] 위 사진중 왼쪽에 있는 푸른 부분 밑쪽에 있는 성운이 NGC 2185로 푸른 부분은 Vdb 74 성운으로 광원이 다르다.[13] Vdb 74가 NGC 2185보다 훨씬 북쪽에 위치한 흰색 성운이라는 정보도 있다.[14] 여담으로 NGC 2170 바로 옆에 위치한 A형 주계열성 HD 41794은 NGC 2167이라는 명칭으로 NGC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데 이 항성은 불과 230 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별개의 항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