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20:04:08

왕승변


양서(梁書)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2·3권 「무제기(武帝紀)」 4권 「간문제기(簡文帝紀)」 5권 「원제기(元帝紀)」 6권 「경제기(敬帝紀)」
소연 소강 소역 소방지
7권 「황후기(皇后紀)」
장상유 · 치휘 · 왕영빈 · 정영광 · 완영영 · 서소패
}}}}}}}}}
[ 열전(列傳) ]
||<-2><tablewidth=100%><tablebgcolor=#00c499> 8권 「소명태자등전(昭明太子等傳)」 ||<-2> 9권 「왕무등전(王茂等傳)」 ||<-2> 10권 「소영달등전(蕭穎達等傳)」 ||
소통 · 소대기 · 소방구 왕무 · 조경종 · 유경원 소영달 · 하후상 · 채도공 · 양공칙 · 등원기
11권 「장홍책등전(張弘策等傳)」 12권 「유담등전(柳惔等傳)」 13권 「범운등전(范雲等傳)」
장홍책 유역 · 정소숙 · 여승진 유담 · 석천문 · 위예 범운 · 심약
14권 「강엄등전(江淹等傳)」 15권 「사비전(謝朏傳)」 16권 「왕량등전(王亮等傳)」
강엄 · 임방 사비 ,사람, 왕량 · 장직 · 왕형
17권 「왕진국등전(王珍國等傳)」 18권 「장혜소등전(張惠紹等傳)」 19권 「종쾌등전(宗夬等傳)」
왕진국 · 마선병 · 장제 장혜소 · 풍도근 · 강현 · 창의지 종쾌 · 유탄 · 악애
20권 「유계련등전(劉季連等傳)」 21권 「왕첨등전(王瞻等傳)」
유계련 · 진백지 왕첨 · 왕지 · 왕준 · 왕간 ,왕훈, · 왕태· 왕빈· 장충· 유운 · 채준· 강천
22권 「태조오왕전(太祖五王傳)」 23권 「소업등전(蕭業等傳)」 24권 「소경전(蕭景傳)」
소굉 · 소수 · 소위 · 소회 · 소담 소업 · 소백유 · 소원간 · 소상 소경 ,소창 소앙 소욱,
25권 「주사등전(周捨等傳)」 26권 「범수등전(范岫等傳)」 27권 「육수등전(陸倕等傳)」
주사 · 서면 범수 · 부소 · 소침 · 육고 육수 · 도흡 · 명산빈· 은균· 육양
28권 「배수등전(裴邃等傳)」 29권 「고조삼왕전(高祖三王傳)」 30권 「배자야등전(裴子野等傳)」
배수 · 하후단 · 위방 소적 · 소속 · 소윤 배자야 · 고협 · 서리 · 포천
31권 「원앙전(袁昻傳)」 32권 「진경지등전(陳慶之等傳)」 33권 「왕승유등전(王僧孺等傳)」
원앙 진경지 · 난흠 왕승유 · 장솔 · 유효작 · 왕균
34권 「장면전(張緬傳)」 35권 「소자각전(蕭子恪傳)」 36권 「공휴원등전(孔休源等傳)」
장면 ,장찬 장관, 소자각 ,소자범 소자현 소자운, 공휴원 · 강혁
37권 「사거등전(謝擧等傳)」 38권 「주이등전(朱異等傳)」
사거 · 하경용 주이 · 하침
39권 「원법승등전(元法僧等傳)」 40권 「사마경등전(司馬褧等傳)」
원법승 ,원수 원원달, · 왕신념 · 양간 · 양아인 사마경 · 도개 · 유현 · 유지린 · 허무
41권 「왕규등전(王規等傳)」
왕규 · 왕승 · 저상 · 소개 · 저구 · 유유 · 유잠 · 은운 · 소기(幾)
42권 「장순등전(臧盾等傳)」 43권 「위찬등전(韋粲等傳)」
장순 · 부기 위찬 · 강자일 · 장승 · 심준(浚) · 유경례
44권 「태종십일왕・세조이자전(太宗十一王・世祖二子傳)」
소대련 · 소대심 · 소대림 · 소대춘 · 소대아 · 소대장 · 소대균 · 소대위 · 소대구 · 소대흔 · 소대지 · 소방등 · 소방제
45권 「왕승변전(王僧辯傳)」 46권 「호승우등전(胡僧祐等傳)」
왕승변 호승우 · 서문성 · 두즉 · 음자춘
47권 「효행전(孝行傳)」
등담공 · 심숭소 · 순장 · 유검루 · 길분 · 견염 · 한회명 · 유담정 · 하형 · 유사미 · 강부 · 유제 · 저수 · 사린
48권 「유림전(儒林傳)」
복만용 · 하동지 · 범진 · 엄식지· 하창 · 사마균 · 변화 · 최령은 · 공첨 · 노광 · 심준(峻) · 태사숙명 · 공자거· 황간
49·50권 「문학전(文學傳)」
도항 · 구지 · 유포 · 원준 · 유어릉 · 유소(昭) · 하손 · 종영 · 주흥사 · 오균 · 유어릉 · 유준 · 유소(沼) · 사기경 · 유협 · 왕적 · 하사징 · 유묘 · 사징 · 장엄 · 복정 · 유중용 · 육운공 · 임효공 · 안협
51권 「처사전(處士傳)」
하점 ,하윤, · 완효서 · 도홍경 · 제갈거 · 심의 · 유혜비 · 범원염 · 유우 · 유효 · 유선 · 장효수 · 유승선
52권 「지족전(止足傳)」 53권 「양리전(良吏傳)」
고헌지 · 도계직 · 소시소 유필 · 심우 · 범술증 · 구중부 · 손겸 · 복환 · 하원
54권 「제이전(諸夷傳)」
임읍 · 부남· 반반국 · 단단국 · 간타리국 · 낭아수국· 파리국 · 중천축국 · 사자국 · 고구려· 백제 · 신라 · · 문신국· 대한국 · 부상국 · 하남왕국 · 고창· 활국 · 주고가국 · 아발단국 · 호밀단국· 백제 · 쿠처 · 우전국· 갈반타국 · 저말국 · 파사국 · 탕창국· 등지 · 무흥국 · 예예국
55권 「소종등전(蕭綜等傳)」
소종 · 소기(紀) · 소정덕 · 소예
56권 「후경전(侯景傳)」
후경 ,왕위,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c499><tablebgcolor=#00c499> ||
}}}}}} ||
<colbgcolor=#00c499,#00c499><colcolor=#fff> 王僧辯
왕승변
작위 임강현후(臨江縣侯)
왕(王)
이름 승변(僧辯)
군재(君才)
생몰 ? ~ 555년
부친 왕신념(王神念)
출신 태원군(太原郡) 기현(祁縣)

1. 개요2. 생애
2.1. 초기 생애2.2. 후경의 난

1. 개요

남북조시대 양나라의 장군으로 자는 군재(君才).

2. 생애

2.1. 초기 생애

왕승변은 천감 7년(508년), 부친을 따라 양나라로 귀순했다. 상동왕(湘東王) 소역의 좌상시(左常侍)가 되었으며, 소역이 단양윤(丹陽尹)으로 부임할 때 행참군(行參軍)이 되었고, 회계군(會稽郡)으로 부임할 때 중병참군(中兵參軍)을 겸임했다.

보통 7년(526년), 소역이 형주(荊州)로 부임할 때 다시 중병참군으로 제수되었다. 무령군(武寧郡)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왕승변은 반란을 진압하고 정위장군(貞威將軍), 무령군 태수로 전임되었다. 뒤에 진원장군(振遠將軍), 광평군(廣平郡) 태수로 전임되었고 임기를 마친 뒤 중록사참군(中錄事參軍)이 되었다.

대동 5년(539년), 소역이 호군장군(護軍將軍)으로 임명되자, 사마를 겸임했다.

대동 6년(540년), 소역이 강주(江州)로 부임하자 운기장군(雲騎將軍), 사마로 제수되고 분성(湓城)에 진수했다. 뒤에 감안륙군(監安陸郡)을 맡았다가 얼마 안 있어 돌아왔으며, 이윽고 신채군(新蔡郡) 태수가 되었고 사마와 장군을 그대로 받았다.

태청 원년(547년), 소역이 형주로 다시 부임하자 자의참군(諮議參軍事)이 되었으며, 유중례를 대신하여 경릉군(竟陵郡) 태수가 되고 웅신장군(雄信將軍)으로 전임되었다.

2.2. 후경의 난

태청 2년(548년), 후경의 난이 벌어지자 소역은 왕승변을 가절(假節)로 삼아 수군을 거느려 건강성의 구원에 나서게 했다. 왕승변은 건강성에 도착했으나 건강성은 이미 함락되었고 무제 또한 붕어했다. 왕승변은 유중례 형제, 조백초(趙伯超) 등과 함께 후경에게 투항했고 그런 뒤에 입조했다. 후경은 왕승변의 군량과 무기 등을 모두 압수했으며, 이후 왕승변을 경릉으로 보냈다. 왕승변은 그대로 소역에게 의지했고 영군장군(領軍將軍)으로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