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OYHN 옥요한 | |
본명 | 옥요한[1] |
출생 | 1975년 12월 27일 ([age(1975-12-27)]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KAC한국예술원 (뮤직프로덕션예술계열 작곡전공) |
소속사 | 루디 컴퍼니 (2001년) 서태지컴퍼니 (2002년~2009년) 윈원 엔터테인먼트 (2011년~2016년) C9 엔터테인먼트 (2016년~2019년) |
소속 그룹 | 피아 (1998년~2019년) |
데뷔 | 2001년 피아 정규 1집 [email protected] (데뷔일로부터 [dday(2001-03-22)]일, [age(2001-03-22)]주년) |
가족 | 아내, 아들 |
포지션 | 보컬 |
관련 링크 | |
플랫폼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솔로가수이자 前 밴드 피아의 보컬리스트.2. 보컬
현재는 아니지만 2010년대 전 까지는 상당히 개성있는 스크리밍을 구사했다.
데뷔 초 때는 비명을 지르듯이, 2집부터는 폭발력이 매우강한 스크리밍을 구사했다. 다만 성대결절과 세월의 흐름 때문인지 지금은 폭발력이 많이 떨어지는 단조로운 스크리밍을 구사한다.
데뷔앨범인 [email protected]와 앨범 Hard Core 2001때, 즉 2000년~2001년즈음 에는 주로 가성의 음이 많은 스크리밍을 구사했다[2]. 또한 전성기 때 보단 목소리가 가늘었다.
하지만 2002년부터는 목소리가 점점 굵어지기 시작하며 그와 동시에 스크리밍 실력이 는다. 그리고 위 영상의 블라디보스토크 공연에서는 거의 절규 하다시피
하지만 2006년 쌈싸페의 무대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목을 너무 혹사하여 목소리가 점점 심하게 굵어지고, 잘 하던 스크리밍도 구사가 힘들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결국 3집때에는 성대결절이 와버린다.[3][4]
결국 4집 이후로는 확연히 창법이 달라지며[5]더이상 생목으로 부르는 목소리는 들을 수 없게 되었다.[6]
5집에서는 약간의 바이브레이션을 들을 수 있으며 탑밴드2에도 출연하며 2014년 까지는 그 엄청난 스크리밍 실력을 유지했으나 6집부터는 스크리밍 실력이 전성기때 보다는 떨어져버린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스크리밍 실력은 무대마다 다르다. 프라이가 많을 때도 있고, 원음이 많을때도 있다.[7] 하지만 그만큼 보컬실력이 매우 올라갔으며 라이브도 꾸준히 좋은실력을 유지한다.
해체이후로는 더이상 스크리밍이 없는 노래를 부른다. 그래도 승리의 여신 니케에서의 OST WE RISE를 들어보면 전성기 만큼은 아니지만 스크리밍 실력이 꽤 많이 돌아왔다.
여담이지만 인디파워 1999부터 대한민국 하드코어 2001 까지 구사했던 비명을 지르는 듯한 소리는 지금은 해체한 국내 뉴매탈 밴드인 Hammer의 보컬 심보섭 많이 돌아왔다.
여담이지만 인디파워 1999부터 대한민국 하드코어 2001 까지 구사했던 비명을 지르는 듯한 소리는 지금은 해체한 국내 뉴매탈 밴드인 Hammer의 보컬 허남수의 스크리밍과 매우 유사성을 띈다.
3. 활동
3.1. Pia
3.2. 참여곡
4. 사용장비
5. 여담
- 기범이 군대 2주 선임이라고 한다. 기범에 의하면 요한의 정신적 지주였으며, 세면장 자리를 물려받고 왔다고 한다.
- 3집때에 성대결절이 왔었으며, 보컬레슨을 받은 것인지, 목소리가 깨끗해졌다.
- 1995년도에 고등학교 졸업직후 가출을 하고 서울로 올라와서 노이즈 가든과 크래쉬의 공연을 처음 보았다고 한다.
- 밴드 활동 당시 거의 모든[10]노래의 작사를 담당하였다.
- 12세 연하의 아내가 있는데, 결혼식 축가를 윤도현이 불러주었다는 소문이 있다.
- 가사실수를 자주하는 편이다. 2019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서는 Look at Urself를 부를 때 '니가 갖춘 니가 만들어 낸'을 '니가 만든 니가 갖추러 낸'으로 잘 못 부르기도 했으며, 2013년 콘서트 Get Five에서는 Urban Explorer의 수록곡 Silver를 부르는 도중 시작 하자마자 1절가사와 2절가사를 바꿔 불러버려 순간적으로 요한이 가사를 다 까먹어서 연주가 중단되기도 하였다.
마이클 잭슨의 Beat it을 오늘 처음 제대로 불렀다 하자 기범이 잘 했다며 쓰다듬는 건 덤(...)2012년 대한민국 라이브 뮤직 페스티벌에선 cause의 인트로 샘플링이 나오고 요한이 부르기 시작하는데 요한이 잘못된 타이밍에 들어가서[11]??? : watch out watch ou...부르다 말기도 했다.실수하자마자 바로 광기어린 목소리로 태연하게 다시 부르는 건 덤.심지어 2019년11월15일 첫번째 마지막 공연 때도 유리턱을 부르는 도중 1절 가사인 '그건 너 남기고 떠난'을 2절 가사인 '그 보다 처량한건 잃어버린 너의'로 바꿔 부르기도 했다.
- 다른 밴드의 보컬과 달리 스크리밍을 할 때 눈은 감아도 표정을 잘 찡그리지 않는다. 아마도 요한의 얼굴이 나이가 들면서 우락부락한 모습이 아닌 웃상(?)이 된 이유가 아닐까 싶다.
6. 둘러보기
{{{#!folding [ 전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color: #000; min-width: 45%"
}}}- [ 음반 목록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fff><width=25%> ||<width=25%>||<width=25%>||<width=25%>||
[[Piaarrogantempire.xxx|]]
{{{#!wiki style="background-color: #eb0000,#eb0000;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2441D;"
2001. 03. 22.[[3rd Phase| 3rd Phas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1180b;"
2003. 08. 08.[[Become Clear| Become Clear]]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0000;"
2005. 06. 02.[[Waterfalls(Pia)| Waterfall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ef266;"
2007. 06. 13.[[Urban Explorer| Urban Explorer]]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c1cc;"
2008. 7. 11.[[Pia#s-7.2| 소년]]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70d1a;"
2011. 07. 28.[[Pia#s-7.2| B.E.C.K]]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9FD923;"
2011. 08. 18.[[Pentagram(Pia)| Pentagram]]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17EAA;"
2011. 09. 06.[[Pia#s-7.2| 세인트 라일락(St.LILAC)]]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528F2;"
2012. 4. 25.[[Pia#s-7.2| 마계촌 밤의 수호자 OST `From This Black Day`]]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4ADBF;"
2012. 07. 23.[[Pia#s-7.2| 골든타임 OST Part.9]]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AA6A6;"
2012. 09. 17.[[Pia#s-7.2| MAKE MY DAY]]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3A6A6;"
2012. 12. 05.[[Pia#s-6.2| 내 봄으로]]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C7F26B;"
2013. 03. 19.[[Pia#s-7.2| 남자가 사랑할 때 OST Part.7]]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123859;"
2013. 05. 30.[[Pia#s-7.2| O]]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
2013. 06. 27.[[Pia#s-7.2| Storm Is Coming]]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C8C8C;"
2015. 03. 24.[[PIA(Pia)| PIA]]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2ADA7;"
2015. 04. 07.[[Pia#s-7.2| Kuz (Re-Recording)]]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8C8C8C;"
2015. 10. 28.[[Pia#s-7.2| SHINE]]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92818;"
2016. 06. 16.[[Pia#s-7.2| 자오선]]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4B20E;"
2016. 07. 21.[[Pia#s-7.2| 싸우자 귀신아 OST Part.2]]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3581BC;"
2016. 07. 26.[[Pia#s-7.2| Storm Is Coming (1Piece Mix)]]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a6341;"
2017. 01. 25.[[PIA 15years| PIA 15years]]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D92818;"
2017. 02. 02.[[Pia#s-7.2| 온스테이지 330번째 피아]]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fff, #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7896a3;"
2017. 03. 21.
[1] 영문명 : Ok YOHAN[2] 비명을 지르는 것과 비슷한 소리가 났다.[3] 2006년의 무대는 성대결절의 후유증일 수도 있어 확실하진 않으나, 어쨌든 목상태가 안좋은 것을 알 수 있다.[4] 스크리밍이 아니라 그냥 비 전문가가 '으아아' 하고 고함 지르는 것처럼 들렸다.[5] 노래부를 때의 목소리가 많이 가늘어졌다.[6] 창법 자체는 2006년 부터 바뀐듯 하다.[7] 소리를 대조하면 으아아!!! 보다는 키야!!! 같은 소리가 많이난다. 하지만 라이브에선 1:1비율로 소리가 난다는 ...[A] 지금도 쓰고있는진 불명[A] [10] 사실상 모든 노래라고 보면 된다.[11] 조금 늦게 들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