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국 퓨전 판타지 소설 이드의 미디어믹스인 만화판의 주인공의 과거 행적이다. 사실 따지고 보면 소설, 만화의 이드와 동일인물이지만 원작 소설에선 유독 이드의 과거가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만화판에선 만화 작가가 각색하여 일종의 프리퀄로 14~23권 뒷장에 무림에서 있었던 일이 나온다.
본문서는 프리퀄의 예천화 문서이며, 당연히 소설과는 관계없고, 이드라는 이름도 안 나온다.
2. 예천화
이드의 원래 이름. 본편과 비교하자면 성격이 약간 어려졌으나 다수의 연상누나들의 보살핌을 받아서인지 어리광을 부리는 모습이 많다. 본편만큼은 아니지만 충분히 강하다. <열혈강호>의 한비광 마냥 한번 본걸 따라하기도. 남장여자에 대한 컴플렉스가 훨씬 심해서 마초스러운 몸을 동경하고 있다.
2.1. 작중 행적
2.2. 능력
- 상당한 고수로 15권에서 치우와 공허선사가 기 대결을 할 때 자기도 하고 싶다며 기를 내뿜었는데 치우, 공허선사는 물론이고 객잔이 진동할 정도로 엄청난 기였다. 치우조차 속으로 '공력만 따지면 나보다 고수일 지도.'라며 긴장했다.
- 무공 재능도 상당하다. 아예 20권에서 공허선사가 "천화가 타고난 무골인 건 알았지만."이라고 말한다.
그밖에 치우가 쓴 무공들을 한 번만 보고 따라하기도 했다. 따라한 무공들은 19권의 한빙장과 21~22권의 관통.[1]
- 그와는 별개로 무공 실력은 미숙해서 22~23권에서 공허선사, 구울진인, 옥빙과 합공하여 치우에게 덤볐으나 결국 패배했다.
- 치우 등에 새겨진 문신이나 월광보합에 있는 문자를 볼 수 있다. 치우는 '아버지가 이 문자는 아무나 볼 수 없다고 했는데, 설마 천화가?'라며 당황한다.
2.3. 인간 관계
- 옥빙
사실상 제2의 부모다. 4권 후반부에서 엄마가 죽고 오열하는 천화를 데려다 키워줬기에 옥빙은 친 누나나 엄마처럼 여기고 있다. 본편 9권에서 일리나가 옥빙을 여자 친구나 아내로 착각하자 이드가 폭소하며 "옥빙 누이를 그런 식으로 생각한 적 없다."고 말했다. 정작 무림편에선 옥빙이 과보호에 엄한 태도를 보여서 천화가 두려워 하기도 했다.
- 치우
친구였지만 정체를 알고난 이후 사실상 무림편의 숙적이다. 14~20권까진 치우가 본심을 잘 숨겼는데다, 이땐 옥빙이 엄하게 굴어서 반대로 천화를 데리고 이곳 저곳 다니는 치우를 더 좋게 생각했다. 그러나 21권에서 천화를 죽이려 들었고 공허선사, 구울진인을 죽였기 때문에 원수가 되었다. 복수심에 불타 치우를 추적하며 무림편이 끝날 정도다.
- 공허선사
친한 아저씨나 할아버지 사이다. 14권에서 만났을 때 반갑게 맞이 하기도 했다. 23권에서 공허선사가 치우에게 죽었을 때 시체를 부둥켜 안기도 했으며, 공허선사가 "그 팔찌를 치우에게 빼앗겨선 안 된다."라는 유언과 복수심 때문에 천화가 치우를 추적하기도 했다.
5권의 과거 회상에서도 천화가 치우에게 "공허선사 님의 부탁 때문에 팔찌를 포기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 약빙 및 나머지 고묘 누님들
옥빙처럼 거의 친남매 정도로 친한 사이다. 그러나 약빙이 짖궃은 데가 있어서 천화에게 마초신공이라 속이고 선녀옥형결을 가르쳐 주기도 했다.
- 구울진인
그냥 친한 아저씨 정도로 공허선사보단 덜 친해보인다. 그래도 23권에서 구울진인이 죽었을 때 무덤을 만들어 주었다.
2.4. 원작 및 본편과의 차이
- 원작, 만화에서 등장하는 주인공 이드와 동일인이지만 원작에선 무림에서 어떻게 살았는지 거의 나오지 않아서 무림편의 행적이나 캐릭터 성은 만화 오리지널이다.
- 라미아, 드래곤 하트가 없어서 당연히 만화 본편보다 약하다.
- 원작에선 드래곤 하트를 얻기 전에도 화경, 현경보다 위인 원경이란 경지에 올랐다고 나오나, 무림편에선 화경, 현경같은 경지가 언급되지 않기에 천화 역시 원경인지 알 수 없다.
- 원작에선 운검 최상운, 궁황 문태조라는 사부가 있었다고 언급되지만 무림편에선 등장하지 않는다.
- 원작에선 광노 자림이란 인물에게 골탕먹은 적이 있지만 무림편에선 그런 인물이 없다.
- 본편에서도 가끔 마법 이름을 잊어버리거나 당황해서 허둥대는 등, 허당 끼가 있었으나 무림편에선 더 심해져서 치우와 공허선사가 기 대결하는데 끼어들거나, 싸움 구경하려고 다른 인물을 따라 가는 등 철부지같은 성격이다. 그러다가 23권에서 공허선사가 죽은 뒤 철이 들었다.
2.5. 기타
3. 관련 문서
[1] 관통은 무림편에서 쓰지 않고 본편 13권에서 따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