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5:23:36

엔도 와타루/플레이 스타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엔도 와타루
1. 개요2. 포지션3. 장점4. 단점5. 총평

[clearfix]

1. 개요


엔도 와타루의 플레이 스타일을 다룬 문서.

2. 포지션

주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이지만 센터백라이트백, 중앙 미드필더까지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는 성실한 유틸리티 플레이어. 주로 3선에서 수비적인 역할을 맡는 홀딩 미드필더로서 뛰고 있지만, 프로 데뷔 이후 센터백으로도 번갈아서 나올 정도로 안정적인 수비력에 강점을 갖추고 있다.[1]

3. 장점

엔도는 필드 안팎에서의 건실함이 돋보이는 6번 미드필더로, 3선 미드필더로서 중원과 수비 지역을 오가면서 넓은 배후 공간을 커버하는 등 활동량이 특히나 우수한 선수이다. 마우스피스를 끼고 경기에 임할 정도로 몸을 던지는 것을 아끼지 않는 등 팀을 위한 허슬 플레이도 자주 선보인다.

수비형 미드필더로서 엔도가 가지는 최고의 장점은 바로 지상과 공중을 가리지 않는 경합 능력과 수비 스킬. 상대를 끈질기게 따라가 공을 탈취하는 역할을 맡으며, 수비적인 경합에 있어서는 분데스리가 전체 볼 경합 성공률에서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두각을 드러낸 바 있다. 키가 그리 크지 않음에도 바디 벨런스가 잘 잡혀있고, 헤더 스킬이나 점프력도 좋아서 헤더 경합에서도 자신보다 큰 키의 선수를 뿌리치고 헤더를 따낸다. 위치를 선점하고 찾아들어가는 움직임도 좋은 것은 덤. 리버풀에서도 적응 기간을 거친 뒤 자신이 가진 경합력과 수비력을 증명했기에 최고 수준의 무대에서도 충분히 수비형 미드필더로 기능할 수 있는 선수라고 할 수 있다.[2]

이렇게 볼 경합과 활동량을 많이 가져가는 선수임에도 분데스리가에서 3시즌 연속 리그 33경기에 출전하는 등 철강왕의 모습을 보인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경고 누적 등의 불가피한 사유 이외에는 대부분의 팀 경기를 소화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단단한 내구성과 경기 소화력으로 인해서 독일 무대에서 특히나 높은 평가를 받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리버풀으로 이적한 이후에도 이러한 내구성과 함께 센터백까지 소화하는 유틸리티성도 드러내면서 늘 준비된 자세로 팀에 도움이 되는 선수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기본기가 잘 갖춰져 있고 전투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가지고 있음에도 발밑이 부드러워 후방과 중원에서 드리블과 탈압박을 통한 볼 간수 능력과 패스 전개도 보여줄 수 있는 선수이다. 이에 압박이 들어올 때 부드러운 터닝 동작으로 압박을 벗겨내는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 이전 소속팀인 슈투트가르트에서는 엔도가 없으면 후방 빌드업이 안 풀릴 정도로 후방 빌드업 상황에서의 경기 조율과 영향력이 컸으며, 볼을 탈취한 이후에 전진 패스를 넣어줄 수 있는 시야도 보유했다.[3]

여기에 더해, 상술한대로 좋은 멘탈리티를 보유하고 있어 한때 슈투트가르트의 주장으로 활약했으며, 현 일본 대표팀의 주장으로서 경기 외적인 영향력도 좋은 편이다. 리버풀에서도 초반에 많은 비판을 받은 시기가 있었으나 묵묵히 적응 기간을 마친 뒤 준수한 경기력을 보이며 높은 레벨에서도 통하는 선수라는 걸 실력으로 입증했다.[4] 2024-25 시즌에는 출전 시간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포지션을 가리지 않고 기회가 주어졌을 때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아르네 슬롯과 팀원들에게 다시 한 번 멘탈리티를 극찬받았다.

4. 단점

기본적으로 태클, 활동량, 축구 지능, 볼 경합, 기본기, 패스 등 여러 면에서 준수함을 갖췄으며, 수비형 미드필더에게 요구되는 모든 능력치를 두루두루 갖춘 다재다능한 유형의 선수지만 그 중 어느 한 분야에서도 최정상급으로 특출난 정도까지는 아니다. 때문에 빅클럽에서 장기적으로 주전 자리를 맡기에는 2% 아쉬운 편.

특히 온 더 볼 상황에 있어서 그 약간의 부족함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상술한대로 충분히 볼을 다루는 역량도 준수하다고는 볼 수 있는 선수이고 프리미어 리그 무대에서도 어느 정도 미드필더로서 통하는 선수라고는 볼 수 있으나, 빅클럽 레벨에서 3선의 주축으로 기능하기에는 비교적 아쉽다. 빌드업 단계에서 대다수의 팀들을 압도해야하는 우승권 수준의 팀에서 직접 경기를 조립하거나 컨트롤하는 플레이를 펼치기에는 패스 능력과 볼 컨트롤에 한계가 있는 선수이기 때문. 이에 2024-25 시즌 후방 빌드업 플레이와 중원 자원들의 온 더 볼 플레이를 강조하는 아르네 슬롯 감독이 리버풀에 부임하자 수비형 미드필더로서는 거의 중용받지 못하고 있다.[5]

또한, 기본적으로 체구 자체가 크지 않은 선수이고 기동력 또한 평범한 선수이기 때문에 정말 높은 레벨의 에너지가 요구되는 경기에서는 단점이 드러난다. 이에 가진 피지컬 대비 경합력이 뛰어난 선수이긴 하지만, 본인보다 체격 조건이 좋은 선수가 밀고 들어올 때에는 고전하는 편이며, 속력이 뛰어난 상대들과의 속도전이나 높은 라인에서의 오픈 플레이 수비 상황에서는 비교적 안정감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지점 때문에 처음 프리미어 리그 무대에 입성한 후 제대로 적응하기 전까지는 경기의 템포와 속도를 따라가는데 유독 고전하기도 했다.

5. 총평

활동량, 내구성, 지능적인 수비, 볼 경합, 기본기, 멘탈 등 여러 능력치를 준수한 레벨로 갖추고 있는 유틸리티 미드필더. 여러 능력치에서 준수한 수준을 갖추고 있어 빠지는 부분이 없고 내구성 또한 뛰어나 감독 입장에서 팀에 있으면 든든한 유형이다. 그러나, 다재다능한 유형의 선수들이 빠지기 쉬운 애매모호함의 함정과 다소 아쉬운 신체능력이 약점으로 꼽힌다.

키가 작다는 점을 제외하면 플레이스타일은 파비뉴와 유사한 점이 많다. 다만 커버 범위가 좁은 편인 파비뉴보다는 훨씬 활동 반경 자체는 넓고, 온 더 볼과 빌드업 플레이에서는 역량이 떨어진다.


[1] 다만 키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센터백으로 뛸 경우 백3에서 중앙으로 뛰는 경우가 잦다. 리버풀에서는 2024-25 시즌에 백4에서도 괜찮은 백업 역할을 해준 바 있다.[2] 2023-24 시즌 28R 맨체스터 시티를 상대로 수비형 미드필더로 선발 출전해 수비에서 투지 넘치는 모습과 영리한 볼 간수를 선보이며 리그 최고의 중원인 로드리-베르나르두 실바-케빈 데 브라이너 라인을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인 바 있다.[3] 기성용 또한 이 점을 칭찬하면서 보기 힘든 유형의 수준 높은 미드필더라고 극찬한 바 있다.[4] 슈투트가르트에서는 주로 더블 피봇에서 중앙 미드필더에 가깝게 뛰었기 때문에 달려드는 수비에 익숙했던 반면, 리버풀의 수비형 미드필더는 기다리는 수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적응 기간은 필요했다.[5] 반대로 매우 우수한 온 더 볼 플레이 능력을 보유한 라이언 흐라벤베르흐는 엔도와 반대로 슬롯의 수비형 미드필더로 낙점받아 대다수의 경기를 소화하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1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