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22:45:47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


파일:external/ih1.redbubble.net/sticker,375x360.u6.png 언프리티 랩스타 시리즈

(2015)
2
(2015)
3
(2016)
힙팝 프린세스
(2025)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 로고.png
||<color=#c6c6ea,#c6c6ea>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
||
]]
||<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80f3c,#080f3c><tablecolor=#ddd,#383c40><colbgcolor=#080f3c,#080f3c><colcolor=#c6c6ea,#c6c6ea> 방영 목록 ||<width=75%>경과 ||
참가자 참가자순위표
음원 • 음반
음반
데뷔 그룹
<colbgcolor=#080f3c,#080f3c><colcolor=#c6c6ea,#c6c6ea>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
UNPRETTY RAPSTAR : HIPPOP PRINCESS
파일: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jpg
방송 기간
방송 중
2025년 10월 16일 ~ 2025년 12월 18일
방송 시간 매주 목요일 밤 9시 50분
방송사 엠넷
기획제작 CJ ENM
제작사 SM스튜디오화이트제이패밀리
기획 고익조[1]
연출 박상현[2], 김나연 [3]
스트리밍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VIN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U-NEXT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pple TV프라임 비디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pple TV
장르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
출연자
MC
소연
메인 프로듀서
소연, 개코, 리에하타, 이와타 타카노리
참가자
참가자
플랫폼 파일:엠넷플러스 심볼.svg 엠넷플러스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4]

1. 개요2. 방송 이전3. 예고4. 출연자
4.1. 메인 프로듀서4.2. 참가자
5. 진행6. 프로모션 및 기타 콘텐츠
6.1. GROUP CYPHER6.2. 비하인드6.3. 기타
7. 투표 기간8. 음반9. 시청률10. 평가
10.1. 방영 전10.2. 방영 후
11. 여담

1. 개요

힙합 + K-POP + J-POP
서로 다른 아이덴티티를 가진 한국과 일본 40인이 모여 스스로의 가치를 증명하고 창작의 영역을 확장해가는 《힙팝 프린세스》

한국과 일본, 전 세계 팬 여러분! 당신이 응원하고 싶은 참가자에게 투표해주세요!

Make yourself. Make myself.
2025년 엠넷에서 방영을 하고 있는 한일 합작 힙합 오디션 프로그램.

2016년 시즌 3 이후 무려 9년 만의 후속작으로 이전 시즌과는 달리 힙합 걸그룹 결성을 목적으로 한다.

2. 방송 이전

3. 예고

<keepall> 'Who's the HIPPOP PRINCESS?'

4. 출연자

4.1. 메인 프로듀서

파일:소연 힙팝프린세스.jpg 파일:개코 힙팝프린세스.jpg 파일:리에하타 힙팝프린세스.jpg 파일:이와타 타카노리 힙팝프린세스.jpg
MC
메인 프로듀서

소연
메인 프로듀서

개코
메인 프로듀서

리에하타
메인 프로듀서

이와타 타카노리

4.2. 참가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 로고.png 힙팝 프린세스
참가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한국 일본
<#e6ecfa,#33363d> 20명 <#f5e4f4,#382f38> 16명
권도희 · 김도이 · 김수진 · 김예은 · 김채린 · 남유주 · 류하진 · 민지호 · 신유경 · 양재윤 · 윤서영 · 윤수인 · 윤채은 · 이서현 · 이주은 · 이채연 · 이채현 · 최가윤 · 최유민 · 한희연 나나 · 나츠호 · 니코 · 리노 · 미리카 · 미아 · 사사 · 세나 · 세아 · 시호 · 유논 · 카린 · 코코 · 코코로 · 하나비 · 히나
첫 번째 탈락자
<#e6ecfa,#33363d> 0명 <#f5e4f4,#382f38> 4명
마유 · 미야비 · 사아야 · 우라라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참가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참가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참가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진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경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경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경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프로모션 및 기타 콘텐츠

6.1. GROUP CYPHER

<rowcolor=#c6c6ea,#c6c6ea> Celebrity
KOREA A
Celebrity
JAPAN A
<rowcolor=#c6c6ea,#c6c6ea> ESCAPE THE SCHOOL
KOREA B
ESCAPE THE SCHOOL
JAPAN B
<rowcolor=#c6c6ea,#c6c6ea> SELF-STYLING
KOREA C
SELF-STYLING
JAPAN C
<rowcolor=#c6c6ea,#c6c6ea> Free Youth
KOREA D
Free Youth
JAPAN D

6.2. 비하인드

<rowcolor=#c6c6ea,#c6c6ea> # 링크 제목
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무대 찢고 오겠습니다’ 1회 비하인드🎬
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No Filter SHOWCASE 비하인드🎬
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o my thang MV 비하인드🎬
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vs 1 창작 배틀 + 메인 프로듀서 신곡 미션 비하인드💥

6.3. 기타

<rowcolor=#c6c6ea,#c6c6ea> # 링크 제목
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PEED ONE-SHOT INTERVIEW | KOREA ver.
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PEED ONE-SHOT INTERVIEW | JAPAN ver.
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왓츠 인 프린세스 백🎒
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ONLY ONE 포토카드 꾸미기 (feat. 댓글 이벤트💝)
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너의 언어를 알려줘💬 등으로 한일 단어 전하기 게임!

7. 투표 기간

||<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080f3c,#080f3c><rowbgcolor=#080f3c,#080f3c><rowcolor=#c6c6ea,#c6c6ea> # || 기간 (KST) || 참가자 인원 || 투표 인원 || 비고 ||
<colbgcolor=#dfe1f2,#383947><colcolor=#080f3c,#c6c6ea> 1차 글로벌 투표 10월 13일 12시 – 10월 25일 00시 40명 7명 [6]
2차 글로벌 투표 10월 17일 00시 – 11월 7일 00시 40명 7명 [7]
3차 글로벌 투표 11월 7일 00시 – 11월 28일 00시 40명 3명 [8]

8.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언프리티 랩스타 : 힙팝 프린세스/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시청률

10. 평가

10.1. 방영 전

또한 CJ ENM은 보이그룹 역시 각종 서바이벌로 데뷔시키고 있다. 활동 종료 시기가 다가오는 ZEROBASEONE을 포함해 2026년 상반기 데뷔 예정인 ALPHA DRIVE ONE이 CJ ENM 산하 웨이크원 소속이고, 플래닛 C : 홈레이스의 데뷔 그룹까지 CJ ENM이 매니지먼트를 맡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덧불여 CJ ENM 산하의 AOMG에서는 I-LAND2의 탈락 연습생들이 포함된 그룹의 데뷔를 준비 중이다. 결국 이 그룹들이 모두 데뷔를 한다면 외주 연예기획사 클렙엔터테인먼트 소속인 Kep1er와 2026년 1월에 활동 종료 예정인 ZEROBASEONE을 제외하더라도 izna, ALPHA DRIVE ONE, 홈레이스 데뷔조, 힙팝 프린세스 데뷔조, 걸스플래닛 2 데뷔조, AOMG 걸크루까지 6팀이 CJ ENM의 매니지먼트를 받게 된다.

10.2. 방영 후

반대로 빠른 전개로 인해 참가자 절반의 자기소개 싸이퍼가 통편집되는 부분은 불호로 평가된다. 물론 여느 서바이벌 오디션이든 모든 참가자들의 무대가 방송을 탈 수는 없는 법이지만, 이 프로그램은 타 프로그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40인 참가자 무대이고 여기에 분량을 받은 참가자인 리노나 남유주 같은 경우 이미 시청자와 네티즌에게 잘 알려져 있는 인지도 있는 참가자들이라 서사가 이미 있는데도[18] 1화에서 압도적인 분량을 받았고 이로 인해 이번이 처음으로 대중들에게 얼굴을 비추는 참가자들은 분량을 1도 받지 못하고 서사를 제대로 확립하지도 못한 채 그대로 방송이 끝나버렸다.[19]

11. 여담


[1] 고등래퍼, 언프리티 랩스타, 쇼미더머니[2] 소년판타지, 방과후 설렘[3] 스트릿댄스 걸스 파이터, 스트릿맨파이터[4] 인스타그램은 한국어로, X에는 일본어로 콘텐츠가 업로드 된다. 그 외 별도 SNS는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엠넷 공식 X유튜브 계정에서 업로드된다.[5] MBC소년판타지》 이후 2년 만에 오디션 프로그램 멘토를 맡는다.[6] 세번째 미션 탈락자 선정에 반영[7] 네번째 미션 탈락자 선정에 반영[8] SEMI FINAL 탈락자 선정에 반영[9] 2024년부터 걸스플래닛 시즌2의 참가자 모집을 위해 한국, 일본, 중화권 및 여러 나라에서 이미 연습생 모집을 한 정황이 수차례 발견됐다. 일례로 IX 엔터테인먼트는 해당 기획사 소속으로 걸스플래닛 시즌 2에 출연할 연습생을 모집한 바 있다.#[10] 단 Kep1er는 현재 소속만 웨이크원/CJ ENM 소속이고 실질적인 운영은 위탁 기획사인 클렙엔터테인먼트가 담당하고 있는데 클렙의 열악한 현실과 Kep1er의 상표권을 갖고 있는 웨이크원의 역량을 고려한다면 걸스플래닛 시즌2(가칭)의 예상 방영 시기인 2026년 즈음에 Kep1er의 재계약 기간이 끝날것이라는 예측도 존재한다.[11] 실제로 CJ ENM과 대표 자회사인 웨이크원은 CJ라는 대기업의 연예/엔터 사업부라고 하기 민망할 정도로 수준 낮은 경영 실태를 보여주면서 소속 아티스트의 팬덤에게 비판받고 있다. 심지어 MMO, 오프더레코드, 스윙 시절부터 미흡한 일처리로 비판받았다.[12] 힙팝 프린세스의 데뷔조는 CJ ENM이 일본 기업 하쿠호도와 협업해 설립한 챕터아이라는 신생 기획사이다. 이러면 챕터아이 역시 기존 CJ ENM의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할 가능성이 크다.[13] 힙합 경연 프로로 보자니 참가자들의 수준이나 재미도 상당히 떨어지고, 아이돌 경연 프로그램으로 보자니 대다수의 비중이 힙합과 팝인 프로그램이기에 이게 음악 경연인지 힙합 경연의 잣대로 놓고 봐야하는지 의견이 분분하다.[14] 특히 동남아권 및 중화권[15] 실제로 Kep1er는 다른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을 통해 데뷔한 그룹들과 비교하면 국내 음원 성적이 매우 약하며, ALPHA DRIVE ONE은 추가 합격 멤버를 넣어달라거나 일부 멤버를 탈퇴시켜달라는 여론이 팬덤 사이에서 높은 지지를 받으며 팬덤이 결집되지 못하고 시작부터 불안정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16] 그와 별개로 보이즈플래닛은 프로듀스 시리즈 이후로 아이돌 서바이벌 프로그램 중에선 가장 흥행하기는 했으나 데뷔조 ZEROBASEONE의 경우 시간이 흐른 지금은 데뷔 동기들인 BOYNEXTDOOR, RIIZE에게 음반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역전당하며 아쉬운 성적을 내고 있다.[17] 단 이들 그룹의 소속사는 CJ ENM과 연관이 없는 외부 소속사이기에 프로그램과 데뷔조를 위해 챕터아이라는 CJ ENM 산하의 법인을 설립한 힙팝 프린세스와는 차이가 있다. 적어도 CJ ENM의 산하 법인에 소속되어 있으니, 종영 후 CJ ENM의 관리를 거의 못받은 EL7Z UP, B.D.U와는 상황이 다른 셈이다.[18] 남유주는 캡틴, 청춘스타, I-LAND2 : N/a 등 3번의 서바이벌 참가 이력이 있으며, 리노는 EVNNE으로 활동 중인 케이타의 친동생으로 암암리에 알려져 있었다.[19] 물론 제작진 입장에서는 인지도 있는 참가자들 위주로 프로그램의 흥행을 이끌어야 한다는 임무가 있기에 아예 이해가 안 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다른 무대를 한 참가자들이 더 주목을 잘 받았다고 보기도 어려웠다.[20] 힙합 경연은 인지도든 작업물이 있는 래퍼들이 나오기에 기본적으로 소개를 간략하게 해도 무관하지만, 아이돌 경연 프로는 대다수의 참가자들이 그냥 쌩판 일반인이었던 경우가 더 많기에 시청자들 입장에서는 1화의 빠른 전개가 아이돌 프로그램답지 않은 느낌이라 굉장히 낯설게 느껴질 수밖에 없었다.[21] 1화 방영 전[22] 정규라면 기존 소속사가 있는 윤채은과 남유주는 퇴사가 확정된다.[23] 2026년 상반기 방영 예정이다.[24] 이들 프로그램은 한국 시청자 투표:해외 시청자 투표 결과가 각각 5:5 비율로 환산되어 적용된 바 있다.[25] 한일합작 프로그램인 만큼 한국과 일본의 투표 비중이 높게 반영되는 것으로 보인다.[26] QM맥대디도 함께 트레이닝을 담당한다.[27] 참가자들도 일부 참가자들은 랩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다 하여 일부는 참가 당시 단순 걸그룹 데뷔를 목표로 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랩 포지션에 걸그룹 데뷔를 희망해서 참가한 참가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