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01:16:5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의 일반 마법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언데드 리본, 일어판 명칭=アンデット・リボーン, 영어판 명칭=Zombie Rebor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또는 상대 묘지의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엑스트라 덱에서\, 그 몬스터의 같은 이름의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대상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언데드족 몬스터 1장을 골라 덱으로 되돌리고\,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이 효과로 세트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①의 효과는 묘지의 언데드족 1장을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하는 동시에, 덱 / 엑스트라 덱에서 그 몬스터의 같은 이름의 몬스터 1장을 제외하는 효과. 제외를 서포트하는 시라누이 와 궁합이 좋다. 범용 카드나 사용률이 높은 카드라면 상대 묘지의 카드를 소생시키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그 카드를 자기가 쓰지 않았어야 한다는 까다로운 제약이 붙어 상대 카드를 활용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다. 그나마 가장 가능성이 높은 카드는 하루 우라라 지만, 이 카드를 소생시켜 유용하게 쓰기에는 또 어렵다.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는 부분이, 묘지에서 카드명의 취급이 변하는 카드는 덱에서 자신이 선택한 원본이 아니라 카드명으로 취급된 카드를 제외 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저주받은 하인 테마 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만약 언데드 리본으로 저주받은 하인 프린스 를 되살린 뒤 효과를 한 번 더 사용하겠다고 생각해서 프린스를 되살린다면 묘지에서 프린스는 저주받은 하인 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덱에서 원본 하인이 제외되는 대참사가 일어나게 된다. 잘 신경쓰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의외로 자주 실수하게 되는 부분. ②의 효과는 제외된 언데드족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려 이 카드를 1번 더 재활용하는 효과지만, 명칭 제약 때문에 이 카드의 발동 턴엔 못 쓴다. 어디까지나 덤으로 보는 게 좋다. 단 다른 "언데드" 마법/함정 카드와는 달리 이 카드의 발동 코스트로 제외한 언데드족 몬스터를 회수할 수 있으므로 이 카드의 1번 효과와 궁합이 맞는 편. 일러스트는 데스카이저 드래곤 이 포효하는 모습.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2-01-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IFO-JP060 | ディメンション・フォース[ DIMENSION FORCE ] 2022-04-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IFO-KR060 | 디멘션 포스 2022-05-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IFO-EN060 | DIMENSION FORCE 2023-09-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3-EN098 | 25TH ANNIVERSARY TIN: DUELING HEROES MEGA P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