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10px" | <tablebordercolor=#00ac6c>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리무진버스 | KTX울산역 방면 | |||
3000 | 3100 | ||||
<rowcolor=#fff> 직행좌석버스 | 배내골 | 부산(노포) - 양산 - 울산 | 물금 - 웅상 | ||
1000 | 2100 | 2300 | 5000 | ||
<rowcolor=#fff> 양산 - 부산(명륜역) | |||||
1100 | 1200 | 1300 | 1500 | ||
<colcolor=#fff> 일반버스 | 8 | 10[b] | 11[b] | 12[a] | |
12-1[a] | 13[d] | 16 | 16-1 | ||
17[b] | 17-1 | 순환20-1[b] | 21[a] | ||
23[a] | 24 | 25 | 25-1 | ||
26 | 32 | 32-1 | 33 | ||
순환40-1 | 52[b] [d] | 56[b] [d] | 56-1 | ||
57[b] [d] | 58 | 59 | 60[b] | ||
61[b] | 87[b] | 113[b] | 128 | ||
128-1 | 132 | 137[c] [d] | 138[c] [d] | ||
<rowcolor=#fff,#191919> 마을버스 | 웅상 | ||||
웅상1 | 웅상1-1 | 웅상2[b] | 웅상3 | ||
웅상4[b] | 웅상5 | 웅상5-1[b] | 웅진7 | ||
웅진8 | | 웅진11 | 법서14 | ||
| 법서17[b] | | |||
| | 웅진25 | |||
<rowcolor=#fff,#191919> 동면 | 양산 | 하북 | |||
법서1 | 법서1-1 | 양산2 | 지산1 | ||
도시형버스 | 도시형 버스1[b] [d] | 도시형 버스2[b] [d] | 도시형 버스3[b] [d] | 도시형 버스4[b] [d] | |
도시형 버스5[b] [d] | 도시형 버스6[b] [d] | 도시형 버스7[b] [d] | 도시형 버스8[b] [d] | ||
[a] 심야노선 운행 노선, [b] 환승시간 60분 적용 노선, [c] 환승시간 180분 적용 노선, [d] 환승횟수 2회 적용 노선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증산리(증산공영차고지) | 종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범어사역)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07:30 |
막차 | 18:30[1] | 막차 | 19:30[2] | ||
평일배차 | 일 10회 | 주말배차 | 일 5회 | ||
운수사명 | 세원 | 인가대수 | 2대[3] | ||
노선 | 증산공영차고지 - 증산역 - 대방노블랜드2,3차 - 물금농협가촌지점 - 범어주공3차 - 양산부산대병원 - 산림청 - 석산마을 - 극동아파트 - 계석마을 - 내송삼거리 - 더샵데시앙1단지 - 사송우미린 - 사송역 환승센터 - 사송못뚝 - 희락원 - 노포삼거리 - 범어사역 |
2. 개요
세원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3. 역사
- 예전에는 명륜역에서 출발하여 물금읍까지 갔던 노선이다. 1500번이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속달형 노선이었다면 이 노선은 완행노선이었다고 할 수 있다. 노선이 12번과 다소 비슷하지만 신도시 쪽으로 가니 큰 문제는 되지 않았고 오히려 2대만 다니다 보니 자주 오지 않는 게 문제였다. 덕분에 수요도 저조하였고 12번의 보조역할에만 충실했다.
- 2016년 3월 1일에 물금에서 증산차고지까지 연장되었으며 명륜동에서 범어사역으로 단축되었다. 양산시 공지사항 인가대수는 2대로 그대로지만 노선이 단축되어 배차간격은 줄어들었다. 하지만 수요가 좀처럼 늘지 않아 아쉬운 수준. 여전히 12번을 보조하는 데 그쳐 노선조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2020년 1월 10일에 요금인상에 따라 시계외요금이 폐지되었다.
- 2021년 12월 1일, 시내버스 노선개편에 따라 운행중단되었다. 당초 개편안 발표 당시 폐선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노선 휴업으로 변경되면서 재운행의 여지는 남겨뒀다. 부산방향은 12번, 16번, 가촌신도시 구간은 8번, 26번(석산방향), 석산구간은 20번, 20-1번, 23번으로 이용하며 사송구간은 12번, 16번으로 대체가 된다.
- 2024년 12월 1일, 노선운행휴지 종료와 함께 재개했다.# 양산에서 코로나이후 노선이 부활한 거의 첫 사례이다. 사송3차 신도시[4]를 경유하며 노선이 변경되었다.
{{{#!folding [ 재개통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4. 특징
- 26번과 함께 금오대교를 건너는 단 둘 뿐인 노선이다. 양산신도시~물금읍을 연계하는 노선들은 대부분 삽량교를 건너가는데 이 노선은 금오대교를 거쳐가기에 양산시외버스터미널과 양산역으로는 가지 않았다.
- 노선 특성 상 구간수요보다는 장거리 수요가 많던 노선으로서, 비록 단축되었다고는 하지만,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까지 가는 수요가 상당히 많고 노포삼거리에 내려서 부산종합버스터미널까지 걸어가는 승객들도 제법 있는 편이었다.
- 다만 인가대수가 2대로 운행되어 배차간격이 60~90분 정도로 상당히 길며 주말과 공휴일은 1일 5회 운행으로 이용불편이 발생한다.
4.1. 시간표
| |||||||
평일 및 주말, 공휴일 | |||||||
증산차고지 → 범어사역 | 범어사역 → 증산차고지 | ||||||
1 | 06:30 | 1 | 07:30 | ||||
2 | 07:30 | 2 | 08:30 | ||||
3 | 09:00 | 3 | 10:00 | ||||
4 | 10:00 | 4 | 11:00 | ||||
5 | 12:00 | 5 | 13:00 | ||||
6 | 13:00 | 6 | 14:00 | ||||
7 | 14:30 | 7 | 15:30 | ||||
8 | 15:30 | 8 | 16:30 | ||||
9 | 17:30 | 9 | 18:30 | ||||
10 | 18:30 | 10 | 19:30 |
4.2. 노선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중앙대로 | |
노포삼거리 ▼ | ▲ 범어사역 | |
노포사송로 | ||
동면행정복지센터 ▼ | ▲ 구.동면초등학교 | |
내송로 | ||
GS물류센터 ▼ | ▲ 동면행정복지센터 | |
노포사송로 | ||
계석마을 ▼ | ▲ GS물류센터 | |
계석로 | ||
양산시도시통합관제센터 ▼ | ▲ 극동아파트 | |
양산대로 | ||
석산해강아파트 ▼ | ▲ 산림청 | |
금오로 | ||
범어초등학교 ▼ | ▲ 양산부산대병원정문 | |
황산로 | ||
부산대의학대학원 ▼ | ▲ 미래디자인융합센터.서남마을 | |
부산대학로 | ||
반도유보라4차 ▼ | ▲ 양산캠퍼스기숙사 | |
청운로 | ||
황산우체국.우남퍼스트빌 ▼ | ▲ e편한세상2차.신창비바패밀리 | |
신주로 | ||
▼ | ▲ 신주중학교.반도유보라1차 | |
황산로 | ||
양산부산대병원정문 ▼ | ▲ 범어초등학교 | |
금오로 | ||
▼ | ▲ 동원로얄듀크3차 | |
청운로 | ||
양우내안애2차.부영아파트 ▼ | ▲ 양우내안애1차 | |
증산역로 | ||
대방노블랜드7차.부영아파트1차 ▼ | ▲ 양우내안애2차.부영아파트 | |
물금로 | ||
LH아파트1단지 ▼ | ▲ 양우내안애5차.이지더원5차 | |
물금1길 | ||
동아중학교 ▼ | ▲ LH아파트1단지 | |
청운로 | ||
대방노블랜드5차.8차 ▼ | ▲ 부영아파트2차.이지더원1차 | |
증산역로 | ||
증산역 ▼ | ▲ 증산상업지구 | |
메기로 |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직행좌석 (양산) | |||
1100 | 1200 | 1300 | 1500 | |
2100, 2300 | ||||
급행 (부산) | ||||
1002[a] | ||||
일반 (부산) | ||||
37 | 50 | 302 | ||
일반 (양산) | ||||
12[a] | 12-1[a] | 16 | 16-1 | |
17 | 17-1 | 21[a] | 23[a] | |
58 | 59 | 60 | 61 | |
132 | ||||
마을 (양산) | ||||
법서1 | 법서1-1 | |||
도시형 (양산) | ||||
도시형2 | ||||
[a]: 심야버스 운행 노선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양산시의 정류소만 경유하는 노선만 서술, 실질 월경지인 월평교차로의 정류소만 지나는 버스는 제외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경유 버스 | ||||
미래디자인융합센터.서남마을 | 범어주공3차방면 (미래디자인융합센터.서남마을) | 10 | 21[M] | 26[M] | |
33 | 52 | 132 | |||
138[M] | 1300[P] | ||||
시립도서관정문방면 (미래디자인융합센터) | 21[M] | 32 | 33 | ||
128 | 128-1 | 132 | |||
1500[P] | |||||
(서남마을) | 10 | ||||
부산대의학대학원 | 육아종합지원센터방면 | 26[M] | 32-1 | 52 | |
132 | 138[M] | 1300[P] | |||
황전아파트방면 | 32-1 | ||||
황전아파트 (서남초등학교방면) | 32 | 128 | 128-1 | ||
1500[P] | |||||
양산캠퍼스기숙사 | 26[M] | 32-1 | 132 | ||
1300[P] |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경유 버스 | |||||
범어초등학교(양산부산대학교병원) | 21[M] | 33 | 138[M] | ||
1300[P] | 5000[M] | ||||
양산부산대병원정문 | 10 | 16[P] | 17 | ||
26[M] | 52 | 132 |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경유 버스 | |||||
8 | |||||
[P]: 부산캠퍼스(부산대역) 경유 노선 [M]: 물금역 경유 노선(증산역 미경유 노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