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알페라츠 Alpheratz | 베타성 미라크 Mirach | 감마성 알마크 Almach | 델타성 안드로메다자리 델타 δ And | ||||||||||||
엡실론성 안드로메다자리 엡실론 ε And | 제타성 시무 Shimu | 에타성 규 Kui | 세타성 안드로메다자리 세타 θ And | ||||||||||||
이오타성 라살나카 Rasalnaqa | 카파성 카팔무살살라 Kaffalmusalsala | 람다성 우드카두아 Udkadua | 뮤성 안드로메다자리 뮤 μ And | ||||||||||||
누성 안드로메다자리 누 ν And | 크시성 어딜 Adhil | 오미크론성 안드로메다자리 오미크론 ο And | 파이성 안드로메다자리 파이 π And | ||||||||||||
로성 안드로메다자리 로 ρ And | 시그마성 안드로메다자리 시그마 σ And | 타우성 안드로메다자리 타우 τ And | 웁실론성 티터윈 Titawin | ||||||||||||
피성 군난먼 Junnanmen | 카이성 안드로메다자리 카이 χ Andri | 프시성 안드로메다자리 프시 ψ And | 오메가성 안드로메다자리 오메가 ω And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안드로메다자리 1 | 안드로메다자리 2 | 안드로메다자리 3 | 안드로메다자리 4 | ||||||||||||
안드로메다자리 5 | 안드로메다자리 6 | 안드로메다자리 7 | 안드로메다자리 8 | ||||||||||||
그 외 안드로메다자리에 속한 항성 | |||||||||||||||
안드로메다자리 S | 안드로메다자리 AE | - | - |
}}}
- [ 심원천체 ]
- ||<width=9999><-4><nopad>산개성단||
틀:별자리 · 안드로메다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PGC 5056918 안드로메다 XVIII 왜소은하 Andromeda XVIII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0h 02m 14.5s |
적위 | +45° 05′ 20″ | |
별자리 | 안드로메다자리 | |
겉보기 등급 | +15.50 ± 0.24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dSph 왜소구형은하 | |
거리 | 4,420,000 ± 290,00 광년 1,355,000 ± 88,000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 | |
지름 | - 광년 - 파섹 | |
명칭 | ||
- |
1. 개요
안드로메다 XVIII 왜소은하/Andromeda XVIII안드로메다 XVIII 왜소은하는 안드로메다자리 방향에 놓인 국부 은하군 소속 안드로메다은하의 위성은하이자 왜소구형은하이다.
2. 특징
안드로메다 XVIII 왜소은하는 고리 구조가 없고 밝기가 낮으며 암흑 물질이 많고, 가스나 먼지가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과거에 자신보다 더 큰 은하를 만나서 항성 형성 물잘을 대부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안드로메다 XVII 왜소은하는 국부 은하군 내에서 꽤 고립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고립은하들과는 다르게 별 형성이 활발하지 않다.
2010년, 이 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의 평면을 통과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