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21:32:06

아스팔트 레전드/차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스팔트 레전드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DapperTriteNiceTurn|토론]]을 통해 문서의 서술 대상과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편집을 제한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DapperTriteNiceTurn|토론]] - 문서의 서술 대상과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편집을 제한한다.'''
----
'''[[https://namu.wiki/thread/TastefulNoiselessGreatCellar|토론]] - 문단 제목에 외부 링크를 걸지 않는다'''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파일:아스팔트 레전드 로고 화이트.webp


<colbgcolor=#904AF3,#904AF3><colcolor=#ffffff,#ffffff> 콘텐츠 차량 (D · C · B · A · S) · 트랙 · 커리어 · 이벤트 (특별 이벤트 · 특별 이벤트(스위치))
기타 시스템 · 업데이트 · 문제점 및 사건 사고 · 출시 전 정보

1. 차고 레벨2. 업그레이드
2.1. 최고 속도2.2. 가속력2.3. 핸들링2.4. 니트로
3. 오버클럭


1. 차고 레벨


차고 레벨을 올려 카드팩과 전설 상점에서 더 많은 아이템을 해금할 수 있다. 차량을 해금하거나 스타 레벨업, 업그레이드 하면 차고 경험치가 주어지며, 일정 경험치가 모이면 차고 레벨이 오른다. 레벨이 오를 때마다 각각 프리미엄 팩 5개가 무료로 주어지는데, 이는 누적되지 않으므로 차고 레벨이 오를 때마다 제깍제깍 받아야 한다.
아스팔트 레전드 유나이트 업데이트로 차고 레벨이 기존 18레벨에서 60레벨로 확장되었다.
차고 레벨 정보
LV
1
LV
2
LV
3
LV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0px 10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86fe2 55px, #010101 0%)0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top; text-align: left"
''' ''{{{#fff {{{-5 LV}}}}}}'' '''}}} {{{+4 ''' ''{{{#fff 5}}}'' '''}}}
LV
6
LV
7
LV
8
LV
9
LV
10
LV
11
LV
12
LV
13
LV
14
LV
15
LV
16
LV
17
LV
18
LV
19
LV
20
콜렉터 스테이지 1
LV
21
LV
22
LV
23
LV
24
LV
25
LV
26
LV
27
LV
28
LV
29
LV
30
LV
31
LV
32
LV
33
LV
34
LV
35
LV
36
LV
37
LV
38
LV
39
LV
40
콜렉터 스테이지 2
LV
41
LV
42
tt
LV
43
LV
44
LV
45
LV
46
LV
47
LV
48
LV
49
LV
50
LV
51
LV
52
LV
53
LV
54
LV
55
LV
56
LV
57
LV
58
LV
59
LV
60

아래는 아스팔트 레전드 등장차량이다.
'''
][[틀:아스팔트 레전드 등장차량 문서|{{{

2. 업그레이드

파일:아스팔트9 업그레이드.jpg
애스턴 마틴 벌칸의 차량 업그레이드 화면.
설계도를 모아 스타 레벨을 올릴 수 있고, 크레딧을 이용해 차량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스타 레벨이 오르면 업그레이드 단계가 해금되어 차량의 성능을 더 올릴 수 있게 된다.

크레딧을 이용한 업그레이드의 경우, 일반 업그레이드와 부품 업그레이드로 나뉜다. 일반 업그레이드는 스타 레벨만 만족한다면 별다른 조건 없이 올릴 수 있으며, 부품 업그레이드는 부품을 소모한다. 부품에는 고급, 희귀 두개의 등급으로 나뉘는 일반 부품이 있고 한 차량에만 사용할 수 있는 초희귀 전용 부품이 존재한다. 초희귀 전용 부품 같은 경우에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웬만하면 랭크가 많이 오르는 부위부터 장착하는 것이 좋다.

클래스, 스타, 등급 별 차량의 부품 요구 갯수는 다음과 같다.
클래스 등급 & 스타 특수 부품 등급 최고속도 가속도 핸들링 니트로 총합
D클래스 고급
★★★
고급 5 5 5 5 20
희귀 1 1 1 1 4
희귀
★★★★
고급 7 7 7 7 28
희귀 2 2 2 2 8
초희귀 1 1 1 1 4
초희귀
★★★★★
고급 9 9 9 9 36
희귀 4 4 4 4 16
초희귀 2 2 2 2 8
C클래스 고급
★★★
고급 4 4 4 4 16
희귀 1 1 1 1 4
초희귀 1 1 1 1 4
희귀
★★★★
고급 6 6 6 6 24
희귀 3 3 3 3 12
초희귀 1 1 1 1 4
초희귀
★★★★★
고급 9 9 9 9 36
희귀 4 4 4 4 16
초희귀 2 2 2 2 8
B클래스 고급
★★★
고급 6 6 6 6 24
희귀 1 1 1 1 4
초희귀 1 1 1 1 4
희귀
★★★★
고급 6 6 6 6 24
희귀 4 4 4 4 16
초희귀 2 2 2 2 8
초희귀
★★★★★
고급 8 8 8 8 32
희귀 5 5 5 5 20
초희귀 2 2 2 2 8
초희귀
★★★★★★
고급 8 8 8 8 32
희귀 5 5 5 5 20
초희귀 3 3 3 3 12
A클래스 희귀
★★★★
고급 5 5 5 5 20
희귀 5 5 5 5 20
초희귀 2 2 2 2 8
초희귀
★★★★★
고급 6 6 6 6 24
희귀 5 5 5 5 20
초희귀 3 3 3 3 12
초희귀
★★★★★★
고급 6 6 6 6 24
희귀 5 5 5 5 20
초희귀 4 4 4 4 16
S클래스 초희귀
★★★★★
고급 7 7 7 7 28
희귀 5 5 5 5 20
초희귀 3 3 3 3 12
초희귀
★★★★★★
고급 7 7 7 7 28
희귀 5 5 5 5 20
초희귀 4 4 4 4 16

차량을 해금하거나 스타 레벨을 올려도 차고 경험치를 받지만, 업그레이드를 해도 경험치를 받을 수 있으므로 차고 레벨을 올리려면 업그레이드는 필수이다.

2.1. 최고 속도

말 그대로 차량이 '지면'에서 '니트로 없이' 낼 수 있는 최고의 속도 (단위 : km/h)

랭크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E-tense와 같이 최속을 포기한 차량들이 랭크가 낮은 이유이기도 하다. 랩타임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이 수치가 낮으면 랭크는 말할 것도 없고 슬립 스트림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며 수동 유저의 경우 터치드라이브만도 못한 운전감을 경험할 수 있다.

다만 최고 속도는 차량의 나머지 스탯이나 유저의 운전 방식에 따라 효과가 천차만별이다. 300을 넘어가는 최속을 지닌 911 타르가의 경우 오히려 나머지 스탯이 바닥을 기는 바람에 300은 커녕 270 근처도 못 가며, 최속이 400짜리인 레제라는 터치드라이브를 활성화한 주행으로 350을 넘기기 힘들다. 즉 유저나 차량에 따라 장식이 될 수도, 무기가 될 수도 있는 셈.

2.2. 가속력

차량이 아무런 방해[1] 없이 1초당 증가시키는 속도 (단위 : km/h)

최고 속도를 뒷받침하는 가장 큰 기둥이자, 초반 위치를 결정 짓는 요소. 대부분의 차량이 70~80의 가속력을 가지고 있어 크게 눈에 띄지는 않지만, 인게임에서 가속이 최악으로 낮은 모두의 차 랜서나 가속이 66 정도인 C-X75오클랜드에서 타보면 가속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이 수치가 낮으면 최고 속도는 그냥 숫자가 되고 충돌이나 파손/녹다운이라도 나면 차는 자전거로 변신하며 심하면 실격당해서 그 자리에서 터지는 슈퍼카를 볼 수도 있다. 말 그대로 차가 답답해지는 셈.

2.3. 핸들링

차량의 속도를 줄이지 않고 방향을 돌릴 수 있는 각도 (단위 : °)

자동 유저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 가장 사용처가 많은 요소로 본 목적인 자연스러운 방향전환 외에도 몸싸움, 지름길 통과, 그리고 커브 인코스에서 요긴하게 사용된다.

초보들이 가장 많이 오해하는 것이 바로 '핸들링은 차가 돌 수 있는 각도이다' 라는 것인데, 이는 반만 맞는 말이다. 핸들링 수치가 높으면 고속에서 확실히 더 돌긴 하나, 0km에서 90도로 꺾으면 모든 차량이 다 비슷하게 돈다.돌 수 있는 각도가 아니라 속도를 유지하며 돌 수 있는 각도라 봐야 한다.
이 수치는 일부 차량을 제외하곤 고랭크 차량으로 갈 수록 오히려 감소하는데, 이는 최속이 핸들링과 상반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최속이 높은 차량은 대부분 핸들링이 30~50 정도이며, 반대로 핸들링에 특화된 세나나 국민차로 대접받는 E-tense, 콜벳의 경우 최속이 바닥을 긴다.

2.4. 니트로

니트로 쇼크웨이브를 발동 시켰을 때 유지할 수 있는 시간 (단위 : 1/10초)

업그레이드 가치가 가장 높은 요소이자 슬립스트림이 생긴 이유. 최고 속도와 가속력에 중대한 영향을 받는다. 니트로 자체에 대한 내용은 이곳 참조.
이 수치가 낮으면 니트로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30 이하부터 차량의 밸런스가 깨지며, 20 이하에서는 써도 차이가 없는 무용지물로 변한다. 그리고 15 이하로 나가떨어지면 쇼크를 쓰면 1초도 못가 끝난다.[2]

한 가지 눈여겨봐야 할 점이 있는데 차량의 최고 속도가 높을수록 니트로 효율이 낮아진다. 이게 무슨 소리냐면 로터스 엘리스재규어 XJR-9를 순수 니트로 수치로만 비교해보자. 엘리스가 니트로 72.71이지만 XJR-9는 84.95로 눈에 보이는 수치 상으로는 XJR-9가 더 높다. 하지만 막상 타보면 엘리스보다 XJR-9가 니트로가 짧게 느껴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3. 오버클럭


이탈리안 레볼루션 시즌 업데이트로 추가된 새로운 시스템이다.
파일:아스팔트 9 오버클럭.jpg
부가티 시론의 차량 오버클럭 화면.

각종 이벤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오버클럭 칩을 수급한 뒤 오버클럭 칩을 사용해 차량의 성능 수치와 랭크를 일시적으로 올려줄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차량을 오버클럭할 수 없으며 매 시즌마다 오버클럭 가능한 차량이 정해져 있다.

West to East & Eurobloom 시즌 업데이트에선 활성화 기간이 오후 6시 고정 타이머의 24시간에서 활성화 후 타이머 적용 및 1일 및 7일 선택으로 바뀌었으며 1일 활성화시 기존보다 약 25% 추가 요구하게 변경되었다.

오버클럭 칩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클래스 오버클럭 칩 사용량
1일 활성화 7일 활성화
D클래스 4[3] 21
C클래스 8[4] 42
B클래스 12[5] 64
A클래스 16[6] 85
S클래스 20[7] 105
파일:아스팔트 9 오버클럭 보너스 패스.jpg
오버클럭 보너스 패스

오버클럭 보너스 패스를 구매하여 활성화할 경우, 별도의 오버클럭 칩 소모 없이 오버클럭 가능한 차량들에 모두 오버클럭이 적용된다.
브레이크 캘기본적으로 무료이지만, 바디킷의 경우 카드팩을 통해 얻어야 하며 일정 조건[8]을 만족해야 해금되는 커스터마이징도 있다.

바디킷이 사용 가능한 차량은 아래 표를 참고.
바디킷 사용 가능 차량
파일:A9_MITSUBISHI_LANCER EVOLUTION.jpg
파일:아9 포르쉐 718.jpg
파일:A9_CHEVROLET_CAMARO ZL1 50TH EDITION.jpg
Mitsubishi Lancer Evolution Porsche 718 Cayman Chevrolet Camaro ZL1 50th Edition
파일:A9_MERCEDES-BENZ_AMG GT S.jpg
파일:A9_PORSCHE_911 GTS COUPÉ.jpg
파일:A9_LAMBORGHINI_ASTERION.jpg
Mercedes-Benz AMG GT S Porsche 911 GTS Coupé Lamborghini Asterion
파일:아9 쉐보레 콜벳 GS.jpg
파일:아9 람보르기니 우라칸 에보 스파이더.jpg
파일:아9 멕라렌 P1.jpg
Chevrolet Corvette Grand Sport Lamborghini Huracán EVO Spyder McLaren P1
파일:아9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SV 쿠페.jpg
파일:아9 포르쉐 918 스파이더.jpg
파일:A9_ICONA_VULCANO TITANIUM.jpg
Lamborghini Aventador SV Coupé Porsche 918 Spyder Icona Vulcano Titanium
파일:A9_McLAREN_SENNA.jpg
파일:A9_BUGATTI_CHIRON.jpg
McLaren Senna Bugatti Chiron

[1] 벽 또는 상대차량에 닿거나 불량한 지면(진흙이나 물 등)[2] 체감이 잘 안된다면 D클래스의 쿤타치푸조 SR1을 스톡 상태로 타보자. 그러면 체감이 될 것이다.[3] West to East & Eurobloom 시즌 업데이트 이전에는 3.[4] West to East & Eurobloom 시즌 업데이트 이전에는 6.[5] West to East & Eurobloom 시즌 업데이트 이전에는 9.[6] West to East & Eurobloom 시즌 업데이트 이전에는 12.[7] West to East & Eurobloom 시즌 업데이트 이전에는 15.[8] 멀티 플레이 레이스 완료, 기간 한정 이벤트 레이스 완료 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