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afca><colcolor=#1b316a> 아브잘 아즈갈리예프 Abzal Azhgaliyev | |
| |
출생 | 1992년 6월 30일 ([age(1992-06-30)]세) |
서카자흐스탄 주 오랄 | |
국적 |
|
신체 | 178cm, 69kg |
국가대표 | 2009-10~2010-11, 2012-13~2019-20, 2021-22~2022-23, 2024-25~2025-26 (14시즌)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
SNS |
1. 개요
카자흐스탄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다. 500m에 뛰어난 선수답게 견제 능력, 스피드, 몸싸움 모두 뛰어나며 인코스를 워낙에 잘 파고드는 모습을 보인다.[1] 최근 시즌들어 인코스 추월이 더욱 날카로워지고, 스타트와 스피드 모두 좋아지면서 500m에서 결승에 진출하는 실력은 보여주고 있다.[2]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브잘 아즈갈리예프/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브잘 아즈갈리예프/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수상 기록
| ||
금메달 | 2025 하얼빈 | 5000m 계주 |
은메달 | 2025 하얼빈 | 혼성 2000m 계주 |
동메달 | 2011 아스타나·알마티 | 5000m 계주 |
| ||
은메달 | 2017 알마티 | 500m |
동메달 | 2017 알마티 | 5000m 계주 |
| ||||
월드 투어 랭킹 | 우승 | 2위 | 3위 | 포디움 |
500 m 랭킹 | 0 | 1 | 1 | 2 |
합계 | 0 | 1 | 1 | 2 |
월드 투어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500 m | 1 | 3 | 3 | 7 |
개인전 합계 | 1 | 3 | 3 | 7 |
5000 m 계주 | 0 | 1 | 3 | 4 |
메달합계 | 1 | 4 | 6 | 11 |
랭킹 + 메달 합계 | 1 | 5 | 7 | 13 |
| ||||
시즌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2009-10 | - | - | - | 78위 |
2010-11 | - | - | - | 51위 |
2012-13 | - | - | 69위 | 62위 |
2013-14 | - | - | 50위 | 34위 |
2014-15 | - | 41위 | 58위 | - |
2015-16 | - | 38위 | - | 84위 |
2016-17 | - | 2위 | 37위 | - |
2017-18 | - | 12위 | 45위 | - |
2018-19 | - | 8위 | 26위 | - |
2019-20 | - | 3위 | 57위 | 59위 |
2021-22 | - | 12위 | - | - |
2022-23 | 27위 | 8위 | - | - |
2024-25 | 50위 | 25위[4] | - | -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5] |
[1] 다만 추월은 깔끔하지 못하는데, 인코스 추월을 무리하게 파고들다 보니 다른 선수와 충돌이 잦다. 그래서 매 월드컵 시리즈 마다 비디오 리플레이대상이다. 이는 견제할 때도 마찬가지다.[2] 그러나 21/22 시즌 들어 스타트가 느려졌다. 그 탓에 좋은 레인을 받고도 뒤로 밀리는 모습을 보여줬다. 대표적인 예가 베이징 올림픽 500m 결승전[3] 월드 투어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4] 야서파티 피터와 함께 공동 25위[5]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27개의 82%인 22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