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dfdfd,#191919><tablebgcolor=#fdfdfd,#191919> | 남미 축구 연맹 주요 축구 리그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전 세계 리그 |
참가 클럽 (2024)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세리A|주 리그 | 리가 프로페시오날| 프리메라 디비시온 프리메라 디비시온| 프리메라 디비시온 카테고리아 프리메라 A| 세리에 A 프리메라 디비시온| 프리메라 디비시온 프리메라 디비시온 | ||||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colbgcolor=#246899> Primera División de Argentina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
| |
정식 명칭 | 리가 프로페시오날 데 푸트볼 (Liga Profesional de Fútbol) |
창설 연도 | 1891년 4월 12일 ([age(1891-04-12)]주년) |
참가 구단 수 | 28개 구단 |
하위 리그 | 프리메라 B 나시오날 |
최근 우승 구단 | CA 보카 주니어스 (2022-23) |
최다 우승 구단 | CA 리버 플레이트 (36회) |
최다 득점 선수 | 앙헬 라브루나 (293골) |
웹사이트 | |
소셜 미디어 | | | | | |
우승 트로피 |
1. 개요2. 아마추어 리그 시대(1891~1934)3. 프로 리그 시대(1931~)
3.1. 단일 시즌제(Campeonato, 1931~1966)3.2. 토르네오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Torneo Metropolitano/Nacional, 1967~1985)3.3. 캄페오나토(Campeonato, 1985~1990)3.4. 토르네오 아페르투라/클라우수라(Torneo Apertura/Clausura, 1990~2012)3.5. 토르네오 이니시알과 피날(Torneo Inicial/Final, 2012~2014)3.6. 토르네오 데 트란시시온 이후(Torneo de Transición, 2014~현재)
4. 남미 컵 대회4.1. 코파 리베르타도레스(Copa Libertadores)4.2. 코파 수다메리카나(Copa Sudamericana)
5. 승강제6. 기타7. 2013-14 시즌7.1. 2013-14 시즌 토르네오 이니시알 결과7.2. 2013-14 시즌 토르네오 피날 결과7.3. 2014 트란시시온 결과7.4. 2015 시즌 결과
8. 우승팀 연혁7.4.1. 프리메라 B 나시오날 승격팀
7.5. 2016 시즌7.5.1. 프리메라 B 나시오날 승격팀
8.1. 캄페오나토(Campeonato)8.2. 토르네오 메트로폴리타노~나시오날(Torneo Metropolitano~Nacional)8.3. 캄페오나토(Campeonato)8.4. 토르네오 아페르투라~클라우수라(Torneo Apertura~Clausura)8.5. 토르네오 이니시알~피날(Torneo Inicial~Final)8.6. 2014 시즌 이후
9. 클럽별 우승, 준우승10. 관련 문서[clearfix]
1. 개요
아르헨티나의 프로 축구 리그.
1891년(프리메라 디비시온) -> 2017년(수페르리가 아르헨티나) -> 2021년(리가 프로페시오날 데 푸트볼)
2. 아마추어 리그 시대(1891~1934)
1891년 영국 이외의 국가에서는 처음으로 축구 리그가 아르헨티나에 설립되어 1893년에는 남미 최초의 축구 협회로 아르헨티나 협회 축구 리그(Argentine Association Football League)가 설립되었다. 아마추어 리그 시대에 가장 성공적인 클럽은 영국 고등학교 졸업생팀이며, 1900년부터 1911년까지 12 시즌 동안 총 10회(4연패 1회, 3연패 2회) 우승했다. 1912 년에는 힘나시아 라플라타 회장이 아르헨티나 협회 축구 리그를 이탈해 아르헨티나 축구 연맹(Federacion Argentina de Futbol)을 설립하고, CA 인데펜디엔테, 에스투디안테스, CA 애틀랜타 등이 아르헨티나 축구 연맹에 가입하였다. 그들은 1915년에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sociacion Argentina de Futbol 현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와 다른 조직)로 전환되고 1919년에는 아마추어 축구 협회(Asociacion Amateurs de Futbol)가 되고 1926년까지 활동을 하였다. 보카 주니어스는 아르헨티나 협회 축구 리그에 머물렀지만, 아마추어 축구 협회는 CA 리버 플레이트, 라싱 클루브, 인데펜디엔테, CA 산 로렌소 등 현재 빅 클럽이 많이 가입하였다. 1927년 아르헨티나 협회 축구 리그와 아마추어 축구 협회가 합병하여 아르헨티나 아마추어 축구 협회(Asociacion Amateur Argentina de Futbol)가 되었다.3. 프로 리그 시대(1931~)
3.1. 단일 시즌제(Campeonato, 1931~1966)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는 1931년에 프로 리그화되고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Liga Argentina de Futbol)가 되었지만, 아마추어에 머물러 있고자 하는 클럽도 있어, 그들은 아마추어/프로 축구 협회(Asociacion de Futbol Amateur y Profesionales)라는 새로운 리그를 설립하였다. 3년간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와 아마추어 / 프로 축구 연맹이 병존했지만, 1934년 양 리그가 합병해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sociacion de futbol Argentino, AFA)가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 대도시권(특히 아베야네다), 라플라타 클럽만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에 가입할 수 있었고, 로사리오와 산타페 등 지방 대도시에 연고지를 둔 클럽이 가입 한 것은 그 이후이다. 1931년부터 1966년까지 연간(1월~12월)을 1시즌으로 홈 앤드 어웨이의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리그를 운영하고, 우승 클럽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1936년 시즌은 예외이며,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를 운영한 후 전후기 리그의 1위 팀끼리 클럽 코파 데 오로 (종합 우승 결정전)를 겨루었다. 이 시대에는 아르헨티나의 전통적인 빅 5(보카, 리버, 인데펜디엔테, 라싱 클루브, 산 로렌소)에 의해 리그가 지배되어 36년 동안 빅 5 이외의 우승 클럽이 나타나지 않았다. 1951년에는 CA 반필드도 우승에 가까워져, 라싱 클루브와 같은 승점으로 시즌을 마쳤지만 최종전에서 패해 준우승하였다.3.2. 토르네오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Torneo Metropolitano/Nacional, 1967~1985)
1967년에는 단일 시즌제가 폐지되고 2개의 단기 리그(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로 분할되었다. 메트로폴리타노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에 정식 가입한 클럽만 참가가 허용되고 나시오날은 지역 대회를 이긴 클럽만 포함되었다. 이 대회 형식의 변경은 아르헨티나 축구계에 큰 변혁을 가져 먼저 에스투디안테스가 곧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및 CA 차카리타 주니어스 및 기타 클럽이 빅 5 리그 지배를 타파하였다.1967년부터 1969년까지 메트로폴리타노에 출전하는 클럽은 A와 B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상위 2클럽씩 16강에 진출해 준결승과 결승전을 가졌다. 그룹 A, B 각각의 상위 6클럽 씩 총 12클럽 및 지구 협회에서 4 클럽이 나시오날에 참가, 1 라운드 시합으로 우승 클럽을 결정하였다. 또한 그룹 A, B 각각 7위와 8위 이외에 지구 협회에서 4클럽이 참가한 프로모시오날(승진 리그)도 행해졌지만, 1969년부터는 지역 협회 클럽은 프로모시오날에 참가하지 않았다. 그룹 A, B 각 9위에서 12위 클럽은 래크라피카 트리오(순위 결정 리그)에 참가, 레크라피카 트리오의 성적에 따라 강등 클럽이 결정되었다.
1970 년에는 메트로폴리타노/나시오날 대회 형식이 수정되어 메트로폴리타노가 1 라운드 또는 홈 앤드 어웨이의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하게 됨과 동시에 나시오날은 플레이 오프를 따른 조별 리그제로 되었다. 1974년, 1976년, 1979년 메트로폴리타노는 예외이며, 플레이 오프를 따른 조별 리그제로 진행되었다.
1971년에는 메트로폴리타노의 상위 클럽이 나시오날 출전권을 얻는 대회 형식이 폐지되어 프로모시오날이나 레크라피카 트리오도 폐지되었기 때문에, 메트로폴리타노와 나시오날은 출전 클럽 자격과 성격이 다른 단기 리그 없이 성격이 비슷한 두 단기 리그가 되었다.
1972년 시즌만은 옛 방식이 부활했지만 1973년 시즌부터 다시 1971년 시즌 방식이 채용되어 1985년까지 같은 방식이 계속되었다. 1981년까지 상반기에 메트로폴리타노 이후 나시오날이 행해지고 있었지만, 1982년부터는 상반기에 나시오날 이후 메트로폴리타노가 열렸다.
3.3. 캄페오나토(Campeonato, 1985~1990)
아르헨티나 대표팀의 카를로스 비랄도 감독의 조언에 따라 1985년 대회 방식이 변경되었다. 전통적으로, 남미 등 남반구의 다른 나라에서는 춘추제가 운영되고 있었지만, 유럽과 같이 추춘제를 채용 한 남미 최초의 리그가 되었다. 또한, 지금까지의 단기 리그제를 폐지하고 1967년 이전처럼 1년을 1시즌으로 홈 앤드 어웨이의 라운드 로빈을 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985년 상반기에는 마지막 단기 리그인 나시오날 1985이 행해져 메트로폴리타노 1985은 이루어지지 않고 1985-86 시즌에 이행했다. 1987-88 시즌까지 승리 승점이 2점이었으나 1988-89 시즌 12월 25일 이후 3점으로 변하였다. 또한 동점인 채 90분을 마친 경우에는 PK전으로 가서 PK전 승자에 승점 2점을, PK전 패자에게 승점 1점을 주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PK전 실시는 1989-90 한 시즌만 시행하였다.3.4. 토르네오 아페르투라/클라우수라(Torneo Apertura/Clausura, 1990~2012)
1990-91 시즌에는 단기리그제가 부활하고 전기 리그(7-12월경)을 아페르투라, 후기 리그(1~6월경)을 클라우수라라고 부른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제가 도입되었다. 1990-91 시즌 종료 후에는 아페르투라 우승의 뉴웰스 올드 보이스와 클라우수라 우승의 보카 주니어스가 우승 결승 경기를 치러 종합 우승 클럽을 결정했다. 이 대회 방식 변경은 큰 논쟁을 불러, 특히 클라우수라에서 무패 우승을 이룬 보카 주니어스가 뉴웰스(클라우수라 8위)에 패하여 논란이 일어났다. 1991-92 시즌은 아페르투라에서 리버가, 클라우수라에서 뉴웰스가 우승했지만 우승 플레이 오프를 하지 않고 양자 우승이 되었다. 우승 플레이 오프 제도는 1990-91 시즌 1시즌만 시행한 뒤 폐지되고, 1시즌에 2개의 우승 클럽이 탄생하게 되었다. 1990-91 시즌부터 1994-95 시즌까지 승리 승점이 2점이었으나 1995-96 시즌부터 승리 승점이 3점이 되었다. 현재 방식으로는 다른 지역 클럽에도 승격권이 열려 있지만, 당시는 아직 부에노스아이레스 지역과 부에노스아이레스 인근 수도권, 산타페 지역의 클럽이 다수를 차지했다. 예를 들면, 1990-91 시즌은 부에노스아이레스시의 클럽이 7클럽,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클럽이 7클럽, 산타페의 클럽이 3클럽이며, 기타 지역의 클럽은 총 3클럽에 불과하였다.3.5. 토르네오 이니시알과 피날(Torneo Inicial/Final, 2012~2014)
2010-11 시즌 종료 후에는 리버 플레이트가 첫 프리메라 B 나시오날(2부 리그)로 강등을 당하였기 때문에 이 팀에 대한 구제 조치로 리그 개혁안이 공개되었다. 프리메라 디비시온과 프리메라 B 나시오날 총 40클럽을 단일 리그로 8클럽 씩 5그룹으로 나눈 다음 리그를 하고 각 그룹의 상위 4클럽이 결승 토너먼트를 치른다는 것이었지만 미디어와 각 클럽팀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혀 개혁안은 무산되었다. 2012-13 시즌부터 전후기 리그의 명칭이 토르네오 이니시알(개막 리그)과 토르네오 피날(폐막 리그)로 변경되었다. 최종 라운드 종료후 승점 최상위 클럽이 다수 있었을 경우는 골득실에 관계없이 단판 승부의 우승 결정전으로 우승 클럽을 결정한다. 대회 형식은 아페르투라/클라우수라제와 거의 같지만, 피날 후 이니시알과 피날 우승팀 간 피날 캄페오나토(Final Campeonato, 우승 결정전)는 중립지역에서 개최된다.3.6. 토르네오 데 트란시시온 이후(Torneo de Transición, 2014~현재)
3시즌 평균 성적 하위 2개 팀인 올 보이스,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가 강등되었고, 평균 성적이 같은 콜론과 아틀레티코 하파엘라는 프로모시온을 치러 패배한 콜론이 강등되었다. 프리메라 B 나시오날에서 우승한 반필드, 2위를 차지한 데펜사 이 주스티시아, 3위를 차지한 인데펜디엔테가 승격하였다. 2014년 하반기에 열리는 이 시즌은 강등이 없고, 우승팀만 가린다. 이유는 2015년부터 새로 1부 리그가 출범하는데 참가 팀이 무려 30개 팀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2014년 하반기에 열릴 1부 리그 20팀과 올해 말까지의 성적을 바탕으로 2부 리그 상위 10팀이 이 새로운 리그를 구성하게 된다.새로운 대회는 2015년 3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며 29라운드에서 각 상대와 한 번씩 맞대결을 펼친다. 그리고 '+1'라운드에서는 모든 클럽이 숙명의 라이벌과 안방 구장을 바꿔 총 두 번 붙으면서 오직 이 상대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대결한다. 리그에 라이벌이 없는 구단들은 미리 추첨을 통해 서로 편성되어 대결한다. 새로운 리그에서 1위하는 구단은 기존의 수페르피날 경기가 없이 곧바로 리그 챔피언이 된다. 2부 리그 강등은 지난 3시즌 성적을 합산한 강등 평균점에서 가장 낮은 2개 팀이 강등되게 된다. 그리고, 2015년 6월부터 1부 리그에서 1번이라도 우승을 달성한 클럽들만 참가하는 '챔피언들의 대회'가 개최될 계획이다. 2016 시즌에는 15개 팀을 2개의 지역(Zona 1, Zona 2)으로 나누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나누어서 각 지역의 우승팀을 가리고, 우승팀 간 피날 단판 승부에서 최종 시즌 우승팀을 가린다.
2017-18 시즌부터는 28개 팀으로 참가 팀이 줄어들게 되었고, 리그명도 수페르리가 아르헨티나(Superliga Argentina)로 변경되었다. 2018-19 시즌부터는 26개 팀으로 참가 팀이 다시 줄어들었다.
2020년 2월 AFA가 아르헨티나 축구 산업의 발전을 명목으로 아르헨티나 프로 축구 리그를 직접 운영하려는 계획을 발표했고, 이에 반발해 현 수페르리가 회장 마리아노 엘리손도가 회장직을 사임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2020 시즌부터 아르헨티나 프로 축구 리그를 현 수페르리가를 해산시킨 뒤 새로운 리그인 리가 프로페셔널 데 풋볼(Liga Profesional de Futbol)이 출범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시즌 개막 전 열리는 대회인 코파 데 라 수페르리가 아르헨티나[1] 마저도 도중 중단되며 아르헨티나 프로 축구는 완전히 멈춰선 상태다. 일단 2020년 5월, 새로운 리그의 행정적 구성은 완료가 된 상태다. 하지만 구체적인 리그 방식이나 팀 수 등은 여전히 미정이다.
그렇게 우여곡절 끝에 2021년 7월 16일 다시 리그가 개최되었고 기존 24팀에서 2020 프리메라 내셔널(2부 리그)에 승격된 사르미엔토와 플라센테가 합류해 26팀이 참가했고 단일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리버 플레이트가 16승 6무 3패의 성적으로 7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4. 남미 컵 대회
4.1. 코파 리베르타도레스(Copa Libertadores)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남미에서 가장 권위 있는 컵 대회이며, 아르헨티나는 2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다. CA 인데펜디엔테가 7회, 보카 주니어스가 6회, 에스투디안테스 데 라플라타와 CA 리버 플레이트가 각각 4회, 라싱 클루브,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CA 산 로렌소가 각각 1회씩 우승하였다. 2~11월에 개최되는 남미 컵 대회이다.아르헨티나에 할당된 출전권은 6장으로, 우선 지난 시즌 리그 우승팀, 코파 아르헨티나 우승팀 및 코파 데 라 리가 프로페시오날(리그컵)의 우승팀이 진출하며, 나머지 출전권은 앞의 세 대회를 우승하지 못한 클럽들 중 리그와 리그컵 조별라운드 합산 승점이 높은 순서대로 가져간다.
4.2. 코파 수다메리카나(Copa Sudamericana)
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최다 우승국은 아르헨티나이며, 2002년 대회 첫 개최 이후 9차례 우승하였다. 보카 주니어스, CA 인데펜디엔테가 각각 2회, 산 로렌소, 아르세날 FC,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리버 플레이트, 라누스가 각각 1회 우승했고, 브라질과 큰 차이를 보인다. 5~11월에 개최되는 남미 차상위 컵 대회이다.보카 주니어스와 리버 플레이트는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의 초청으로 국내 리그의 순위에 관계없이 매년 출전권을 얻었다. 두 클럽 이외에 지난 시즌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합산 승점 상위 4클럽이 코파 수다메리카나 출전권을 얻었다. 그러나 2010년 대회에서 2클럽 초대권이 폐지되어 총 승점 상위 6클럽이 출전권을 얻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권 5장 중 3장도 역시 승점 상위 팀에 할당되므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코파 수다메리카나 모두 출전권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005-06 시즌의 성적에 따라, 힘나시아 라플라타, CA 반필드, CA 벨레스 사르스필드가 2개 대회 출전권을 모두 얻었다.
2024년 기준 아르헨티나에 배정된 출전권은 6장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하지 못한 클럽 중 전년도 리그와 리그컵 조별라운드 합산성적 상위 6개팀이 코파 수다메리카나에 진출한다.
5. 승강제
1981년 시즌에는 인기 클럽 CA 산 로렌소가 강등되었고, 1983년 시즌에는 역시 인기 클럽 CA 리버 플레이트가 강등될 뻔했기 때문에 1983년 3시즌 평균 성적(총 승점을 총 경기 수로 나눈 값) 제도가 도입되었다. 1983년 시즌 리버는 19클럽 중 18위에 그쳤지만 평균 성적제로 인하여 강등을 면했다. 이 방식으로 강등한 첫 클럽은 라싱 클루브와 CA 누에바 치카고이었다.1998-99 시즌까지 지난 3시즌 평균 성적 하위 2클럽이 자동으로 강등되어 승강 플레이 오프 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99-2000 시즌부터 2011-12 시즌까지 지난 3시즌 평균 성적 최하위 2개 팀이 자동으로 강등되고, 승점 차하위 2클럽도 프로모시온(promoción)이라고 불리는 승강 플레이 오프를 치렀다. 프리메라 B 나시오날의 상위 클럽과 승강 플레이 오프를 치러 승리하면 잔류를 결정하였다.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 방식은 프리메라 B 나시오날 1, 2위가 자동으로 승격하고 3, 4위 팀이 승강 플레이 오프에 진출하였다. 강등은 3시즌 평균 성적이 적용되므로 승격 후 1시즌이나 2시즌에는 강등을 피할 수 있었다. 2012-13시즌부터 승강 플레이 오프를 하지 않고 지난 3시즌 평균 성적 하위 3개 팀이 자동으로 강등된다.
2023시즌부터는 최근 3시즌 평균 승점 최하위 1팀과, 다른 팀 중 그해 리그+리그컵 조별라운드 합산성적 최하위 1팀이 강등된다.
6. 기타
축구선수의 입장에서 보면 신예와 노장들의 실질적 격전지가 된다. 아르헨티나의 축구선수들의 소속 리그를 보면 대부분 다음과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럽 월드컵에서는 출전하기만 하면이 코스를 충실히 따라갔던 선수가 바로 리오넬 메시였다.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유소년에서 시작해 FC 바르셀로나에서 최전성기를 보내고 파리 생제르맹 FC에서 커리어를 이어갔다. 다만 2023년, 인터 마이애미 CF로 이적함에 따라 MLS의 커리어를 쌓게 되었다. 허나 메시 본인이 매번 은퇴는 본인이 유소년 시절을 보낸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에서 할 것이라고 말하기는 했다.
축구선수로서 데뷔 | 20대 | 30대 | 은퇴 직전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 프랑스 리그 1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스페인 라리가[2] | |||
이탈리아 세리에 A[3] |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 | ||
독일 분데스리가[4] |
7. 2013-14 시즌
7.1. 2013-14 시즌 토르네오 이니시알 결과
7.2. 2013-14 시즌 토르네오 피날 결과
7.3. 2014 트란시시온 결과
토르네오 데 트란시시온 결과 라싱 클루브가 우승하며 통산 17번째로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2015 시즌부터는 30개 팀으로 확대되므로 강등 팀은 없다.7.4. 2015 시즌 결과
20승 4무 6패로 보카 주니어스가 31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4시즌 평균 성적으로 하위 2개 팀인 누에바 치카고와 크루세로 델 노르테가 각각 0.967, 0.467을 기록 프리메라 B 나시오날로 강등되었다.7.4.1. 프리메라 B 나시오날 승격팀
승격 클럽 | 비고 |
CA 콜론 | A조 1위 |
산 마르틴 데 산후안 | A조 2위 |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A조 3위 |
CA 누에바 치카고 | A조 승격리그 1위 |
CA 알도시비 | A조 승격리그 2위 |
CA 우니온 | B조 1위 |
크루세로 델 노르테 | B조 2위 |
CA 템페를레이 | B조 3위 |
CA 사르미엔토 | B조 4위 |
CA 우라칸 | B조 플레이오프 우승 |
7.5. 2016 시즌
7.5.1. 프리메라 B 나시오날 승격팀
승격 클럽 | 비고 |
아틀레티코 투쿠만 | 우승 |
CA 파트로나토 | 준우승 토르네오 레두시도(승격 플레이오프) 우승 |
8. 우승팀 연혁
8.1. 캄페오나토(Campeonato)
시즌 | 우승 |
1931 | CA 보카 주니어스 |
1932 | CA 리버 플레이트 |
1933 | CA 산 로렌소 |
1934 | CA 보카 주니어스 |
1935 | CA 보카 주니어스 |
1936 | CA 리버 플레이트 |
1937 | CA 리버 플레이트 |
1938 | CA 인데펜디엔테 |
1939 | CA 인데펜디엔테 |
1940 | CA 보카 주니어스 |
1941 | CA 리버 플레이트 |
1942 | CA 리버 플레이트 |
1943 | CA 보카 주니어스 |
1944 | CA 보카 주니어스 |
1945 | CA 리버 플레이트 |
1946 | CA 산 로렌소 |
1947 | CA 리버 플레이트 |
1948 | CA 인데펜디엔테 |
1949 | 라싱 클루브 |
1950 | 라싱 클루브 |
1951 | 라싱 클루브 |
1952 | CA 리버 플레이트 |
1953 | CA 리버 플레이트 |
1954 | CA 보카 주니어스 |
1955 | CA 리버 플레이트 |
1956 | CA 리버 플레이트 |
1957 | CA 리버 플레이트 |
1958 | 라싱 클루브 |
1959 | CA 산 로렌소 |
1960 | CA 인데펜디엔테 |
1961 | 라싱 클루브 |
1962 | CA 보카 주니어스 |
1963 | CA 인데펜디엔테 |
1964 | CA 보카 주니어스 |
1965 | CA 보카 주니어스 |
1966 | 라싱 클루브 |
8.2. 토르네오 메트로폴리타노~나시오날(Torneo Metropolitano~Nacional)
시즌 | 메트로폴리타노 우승 | 나시오날 우승 |
1967 | 에스투디안테스 | CA 인데펜디엔테 |
1968 | CA 산 로렌소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1969 | 차카리타 주니어스 | CA 보카 주니어스 |
1970 | CA 인데펜디엔테 | CA 보카 주니어스 |
1971 | CA 인데펜디엔테 | CA 로사리오 센트랄 |
1972 | CA 산 로렌소 | CA 산 로렌소 |
1973 | CA 우라칸 | CA 로사리오 센트랄 |
1974 |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 CA 산 로렌소 |
1975 | CA 리버 플레이트 | CA 리버 플레이트 |
1976 | CA 보카 주니어스 | CA 보카 주니어스 |
1977 | CA 리버 플레이트 | CA 인데펜디엔테 |
1978 | 킬메스 AC | CA 인데펜디엔테 |
1979 | CA 리버 플레이트 | CA 리버 플레이트 |
1980 | CA 리버 플레이트 | CA 로사리오 센트랄 |
1981 | CA 보카 주니어스 | CA 리버 플레이트 |
1982[5] | 에스투디안테스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1983 | CA 인데펜디엔테 | 에스투디안테스 |
1984 |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1985 | 미개최 |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8.3. 캄페오나토(Campeonato)
시즌 | 우승 |
1985~86 | CA 리버 플레이트 |
1986~87 | CA 로사리오 센트랄 |
1987~88 |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
1988~89 | CA 인데펜디엔테 |
1989~90 | CA 리버 플레이트 |
1990~91 |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
8.4. 토르네오 아페르투라~클라우수라(Torneo Apertura~Clausura)
시즌 | 아페르투라 우승 | 클라우수라 우승 |
1991~92 | CA 리버 플레이트 |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
1992~93 | CA 보카 주니어스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1993~94 | CA 리버 플레이트 | CA 인데펜디엔테 |
1994~95 | CA 리버 플레이트 | CA 산 로렌소 |
1995~96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1996~97 | CA 리버 플레이트 | CA 리버 플레이트 |
1997~98 | CA 리버 플레이트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1998~99 | CA 보카 주니어스 | CA 보카 주니어스 |
1999~00 | CA 리버 플레이트 | CA 리버 플레이트 |
2000~01 | CA 보카 주니어스 | CA 산 로렌소 |
2001~02 | 라싱 클루브 | CA 리버 플레이트 |
2002~03 | CA 인데펜디엔테 | CA 리버 플레이트 |
2003~04 | CA 보카 주니어스 | CA 리버 플레이트 |
2004~05 |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2005~06 | CA 보카 주니어스 | CA 보카 주니어스 |
2006~07 | 에스투디안테스 | CA 산 로렌소 |
2007~08 | CA 라누스 | CA 리버 플레이트 |
2008~09 | CA 보카 주니어스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2009~10 | CA 반필드 |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2010~11 | 에스투디안테스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2011~12 | CA 보카 주니어스 | 아르세날 FC |
8.5. 토르네오 이니시알~피날(Torneo Inicial~Final)
시즌 | 이니시알 우승 | 피날 우승 | 수페르피날 우승 |
2012~13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2013~14 | CA 산 로렌소 | CA 리버 플레이트 | CA 리버 플레이트 |
8.6. 2014 시즌 이후
시즌 | 우승 |
2014 | 라싱 클루브 |
2015 | CA 보카 주니어스 |
2016 | CA 라누스 |
2016~17 | CA 보카 주니어스 |
2017~18 | CA 보카 주니어스 |
2018~19 | 라싱 클루브 |
2019~20 | CA 보카 주니어스 |
2021 | CA 리버 플레이트 |
2022 | CA 보카 주니어스 |
2023 | CA 리버 플레이트 |
9. 클럽별 우승, 준우승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년도 |
CA 리버 플레이트 | 38 | 34 | 1920 AAM, 1932, 1936(코파 캄페오나토), 1936(코파 데 오로), 1937, 1941, 1942, 1945, 1947, 1952, 1953, 1955, 1956, 1957, 1975 메트로폴리타노, 1975 나시오날, 1977 메트로폴리타노, 1979 메트로폴리타노, 1979 나시오날, 1980 메트로폴리타노, 1981 나시오날, 1985-86, 1989-90, 1991 아페르투라, 1993 아페르투라, 1994 아페르투라, 1996 아페르투라, 1997 아페르투라, 1997 클라우수라, 1999 아페르투라, 2000 클라우수라, 2002 클라우수라, 2003 클라우수라, 2004 클라우수라, 2008 클라우수라, 2014 피날, 2021, 2023 |
CA 보카 주니어스 | 35 | 22 | 1919, 1920, 1923, 1924, 1926, 1930, 1931, 1934, 1935, 1940, 1943, 1944, 1954, 1962, 1964, 1965, 1969 나시오날, 1970 나시오날, 1976 메트로폴리타노, 1976 나시오날, 1981 메트로폴리타노, 1992 아페르투라, 1998 아페르투라, 1999 클라우수라, 2000 아페르투라, 2003 아페르투라, 2005 아페르투라, 2006 클라우수라, 2008 아페르투라, 2011 아페르투라, 2015, 2016-17, 2017-18, 2019-20, 2022 |
CA 인데펜디엔테 | 16 | 16 | 1922 AAM, 1926 AAM, 1938, 1939, 1948, 1960, 1963, 1967 나시오날, 1970 메트로폴리타노, 1971 메트로폴리타노, 1977 나시오날, 1978 나시오날, 1983 메트로폴리타노, 1988-89, 1994 클라우수라, 2002 아페르투라 |
라싱 클루브 | 18 | 8 | 1913, 1914, 1915, 1916, 1917, 1918, 1919 AAM, 1921 AAM, 1925 AAM, 1949, 1950, 1951, 1958, 1961, 1966, 2001 아페르투라, 2014 토르네오 데 트란시시온, 2018-19 |
CA 산 로렌소 | 15 | 16 | 1923 AAM, 1924 AAM, 1927, 1933, 1936(코파 데 오노르), 1946, 1959, 1968 메트로폴리타노, 1972 메트로폴리타노, 1972 나시오날, 1974 나시오날, 1995 클라우수라, 2001 클라우수라, 2007 클라우수라, 2013 이니시알 |
CA 벨레스 사르스필드 | 10 | 9 | 1968 나시오날, 1993 클라우수라, 1995 아페르투라, 1996 클라우수라, 1998 클라우수라, 2005 클라우수라, 2009 클라우수라, 2011 클라우수라, 2012 이니시알, 2012-13 수페르피날 |
알룸니 | 10 | 2 | 1900, 1901, 1902, 1903, 1905, 1906, 1907, 1909, 1910, 1911 |
에스투디안테스 | 6 | 7 | 1913 FAF, 1967 메트로폴리타노, 1982 메트로폴리타노, 1983 나시오날, 2006 아페르투라, 2010 아페르투라 |
CA 뉴웰스 올드 보이스 | 6 | 5 | 1974 메트로폴리타노, 1987-88, 1990-91, 1992 클라우수라, 2004 아페르투라, 2013 피날 |
CA 우라칸 | 5 | 8 | 1921, 1922, 1925, 1928, 1973 메트로폴리타노 |
로마스 | 5 | 2 | 1893, 1894, 1895, 1897, 1898 |
CA 로사리오 센트랄 | 4 | 4 | 1971 나시오날, 1973 나시오날, 1980 나시오날, 1986-87 |
CA 벨그라노 | 3 | 3 | 1899, 1904, 1908 |
AA 아르헨티노스 주니어스 | 3 | 2 | 1984 메트로폴리타노, 1985 나시오날, 2010 클라우수라 |
CA 라누스 | 2 | 5 | 2007 아페르투라, 2016 |
페로 카릴 오에스테 | 2 | 3 | 1982 나시오날, 1984 나시오날 |
포르테뇨 | 2 | 2 | 1912 FAF, 1914 FAF |
킬메스 AC | 2 | 1 | 1912, 1978 메트로폴리타노 |
에스투디안틸 포르테뇨 | 2 | 0 | 1931 AAF, 1934 AAF |
힘나시아 이 에스그리마 | 1 | 6 | 1929 |
CA 반필드 | 1 | 4 | 2009 아페르투라 |
로마스 아카데미 | 1 | 1 | 1896 |
아르세날 FC | 1 | 0 | 2012 클라우수라 |
차카리타 주니어스 | 1 | 0 | 1969 메트로폴리타노 |
도크 수드 | 1 | 0 | 1933 AAF |
스포르티보 바라카스 | 1 | 0 | 1932 AAF |
세인트 앤드류스 | 1 | 0 | 1891 |
10. 관련 문서
[1] 일종의 리그컵[2] 흔히 아르헨티나를 포함한 남미 출신 선수들이 가장 선호하는 리그다.[3] 비 유로 국적에 영입 수를 제한해뒀지 선수단 보유 자체에 국적 제한에는 문제가 없는 데다가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가 로망스어군이라 적응에 큰 어려움이 없다. 게다가 아르헨티나에는 이탈리아계 혈통이 워낙 많아서 문화적 괴리도 심하지 않다. 그래서 라리가만큼은 아니지만 2번째로 선호된다.[4] 이전에는 1~2명 수준으로 진출이 드문 편이었으나 현재는 분데스리가에도 자주 진출한다.[5] 1982년부터 나시오날이 전반기, 메트로폴리타노가 후반기로 전환됨. 단년제에서 연년제 리그로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