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05:52:44

아르메니아 대지진

아르메니아 지진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988년 아르메니아 스피타크 지진
발생일시1988년 12월 7일 11시 41분(UTC+4)
진앙소련 아르메니아 SSR 스피타크 지역
규모Ms 6.8
최대진도Ⅹ(Intense)
쓰나미미발령
사상자최소 25,000명 사망
최소 31,000명 부상

1. 개요2. 전개3. 피해
3.1. 피해가 컸던 이유3.2. 복구작업
4. 일화5. 여담6.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당시 MBC의 보도

1988년 소련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現 아르메니아) 스피타크에서 발생한 규모 7.0 지진. 흔히 이 문서의 표제어대로 '아르메니아 대지진'으로 부르지만 아르메니아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은 발생 지역에서 따 온 '스피타크 지진'이다. 러시아어로도 이에 기반해 'Спитакское землетрясение'(스피타크 지진) 혹은 이웃한 도시인 레니나칸에서 유래한 'Ленинаканское землетрясение'(레니나칸 지진)이라고 부른다.

이전까지 소련에서 일어났던 지진은 대부분 시베리아 등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일어나 큰 인명 피해는 없었기 때문에[1] 더욱 파장이 컸다.

2. 전개

1988년 12월 7일 점심을 조금 앞둔 시각인 11시경 아르메니아 중부에서 지진이 감지되었지만 원래 아르메니아는 다른 캅카스 지역과 마찬가지로 아라비아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에 위치했던지라 지진이 빈번했고 사람들은 한 차례 지진을 대비한 뒤 그다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곧 일상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것은 비극의 전조에 불과했다.

그로부터 약 30분가량 지난 오전 11시 41분에는 규모 7.0의 강진이 아르메니아를 덮쳤다. 엄청난 강진이 발생하자 대부분 내진설계가 되어 있지 않았던 석조 주택들은 무너질 수밖에 없었고 대부분의 건물이 무너진 스피타크 시내는 폐허가 되어 버렸다. 사람들은 이 엄청난 지진에 미처 피할 겨를도 없이 무너진 건물에 갇힐 수밖에 없었고 이는 피해를 키우는 큰 원인이 되었다.[2]

지진이 발생하자 소련 정부는 즉시 현장에 구조대를 파견하였으나 도시의 대부분이 무너져내렸으며 도로 역시 다를 바 없었기 때문에 구조대가 일찍 도착하지 못하였고 결국 주변을 수습하고 나서야 본격적인 구조에 나설 수 있었다. 그러나 그 규모가 너무 컸기 때문에 소련은 이례적으로 서방 국가들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하였고 이에 여러 서방 국가들이 소련에 구조대를 파견하였다.

이후 구조에 속도가 붙었지만 지진으로부터 3일경 사망자 수는 이미 2만 명을 넘겼다.

3. 피해

파일:mugc-117.jpg
파일:mugc-118.jpg
차마 눈뜨고 지켜볼 수가 없다.
차라리 죽을 수 있다면... 죽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당시 구조된 생존자의 인터뷰

사망자 추정 25,000~50,000명, 부상자 추정 31,000~13,0000명.

진앙지인 스피타크시에서만 대부분의 건물이 파괴되어 인구 2만 명 중 7,400여 명이 사망했으며 이웃한 레니나칸시(인구 약 29만)도 다를 것이 없어서 200동의 건물들이 붕괴되었다.

인구 17만의 칸의 피해는 비교적 경미하였으나 역시 10동 이상의 건물이 붕괴되었고 수백여 명의 사망자를 냈다.

3.1. 피해가 컸던 이유

이 지진은 비슷한 규모의 샌프란시스코 지진보다도 피해가 넘사벽으로 컸고 이보다 더 강했던 효고현 남부 지진보다도 사망자가 4배나 더 많았다.

게다가 거론된 두 지진 모두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에서 일어났으나 비교적 소도시에서 일어난 이 지진이 피해가 배 이상 컸던 이유는 본래 이 지방은 원래 아라비아 판과 유라시아 판이 만나는 지역으로서 규모 5.0∼7.0의 지진이 많이 발생하는 지대였음에도 불구하고 근세기 동안 이렇다 할 지진이 발생하지 않아 지진 다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대비가 전혀 안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사망자의 대부분이 붕괴된 건물에 깔려 압사하였음이 이를 잘 증명해 준다.
실제로 대부분 조립용 콘크리트 부품으로 만든 주택이나 석조주택의 대부분은 실제의 진동을 밑도는 강도로 설계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재빠른 아파트 건설에 치중하다 보니 부실한 자재로 지어진 아파트들이 상당수 있었고 참사로 이어진 것이다.

지진의 진동이 아르메니아 전역을 휩쓸었던 것도 한몫했는데 지진의 진동이 이웃한 아제르바이잔그루지야에서도 느껴졌고 캅카스 산맥을 넘어 체첸 지역에서도 진동을 느꼈다고 한다.

3.2. 복구작업

지진 발생 직후 소련 정부는 즉시 아르메니아를 복구하기 시작했지만 아르메니아는 제 모습을 찾지 못했다. 소련 정부는 2년 전에 일어났던 지구 전체를 망가뜨릴 뻔한 초대형 사고만으로도 힘들었고 오늘내일하던 시점이라 복구작업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그 결과 아르메니아는 복구가 다 되기도 전에 독립해 버렸다. 이후 아르메니아의 상황도 자국 정치인끼리의 갈등으로 벌어진 국회의사당 총격전으로 총리가 대낮에 암살되는 내부 문제도 겹친 데다 외부적으로는 아제르바이잔과 1994년과 전쟁을 벌여 역시 수만여 명 사상자를 냈을 정도로 영 좋지 못했기 때문에 복구 속도도 느렸다. 그나마 아르메니아의 경제 상황이 나아지면서 거의 대부분 복구되었다.

파일:DP1M2485.jpg

사진은 복구 작업 당시의 성 구세주 성당(Սուրբ Աստվածածին եկեղեցի, Saint Mestop Mashtots Church).

아르메니아 대지진 피해자들을 돕기 위해 록 에이드 아르메니아라는 음반이 발매되기도 했다.

4. 일화

아르메니아 대지진의 일화 중 하나가 감동을 주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지진으로 건물이 무너져 내려 스물여섯 살의 스잔나 페트로시안과 네 살된 딸 가야니가 건물 벽 속에 갇혔습니다.
모녀를 기다리는 것은 오직 죽음의 공포뿐, 아이는 갈증과 굶주림에 지쳐 울부짖었습니다.
그때 스잔나는 유리조각으로 손가락을 찔러 딸에게 자신의 피를 먹였습니다.

어머니는 딸이 보챌 때마다 차례차례 손가락을 베어 아기의 입에 물렸습니다.
이들 모녀는 매몰된 지 14일 만에 극적으로 구출됐는데
어머니 스잔나의 손가락 열 개는 모두 피범벅이 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5. 여담

아르메니아 대지진 당시 현장 복구 책임자였던 보리스 예브도키모비치 셰르비나(Борис Евдоки́мович Щербина)는 2년 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당시 현장 책임자이기도 했는데 체르노빌에서의 방사선 피폭으로 인해 발병한 암으로 아르메니아 대지진 발생 2년 후 사망했다.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이 일어났을 때 아르메니아인 대학살 같은 역사적인 문제로 튀르키예에 이를 가는 아르메니아인들이 샘통이라고 여기기도 했지만 35년이 지난 시점이었음에도 이 대지진으로 엄청난 피해를 입은 아르메니아에는 당시의 생존자들이나 유족들도 많이 남아 있었다 보니 남의 일 같지 않다고 구호물품을 기부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6. 같이보기

문서가 존재하는 20세기 지진
[[틀:지진/19세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20세기
[[틀:지진/2000년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folding [ ~ 1950년대 ]
{{{#!wiki style="margin:-5px 0 -15px"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colbgcolor=#868e96>
1906. 04. 06.
M 6.1 1906년 인천 해역 지진
1906. 04. 18.
M 8.3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1909. 06. 11.
M 6.2 1909년 프로방스 지진
1920. 12. 16.
M 8.7 1920년 간쑤성 대지진
1921. 03. 20.
M 4.2 1921년 경주 지진
1923. 09. 01.
M 8.3 1923년 관동대지진
1925. 12. 09.
M 4.4 1925년 홍성 지진
1926. 10. 05.
M 5.0 1926년 경상북도 서부 지진
1928. 01. 12.
M 4.3 1928년 지리산 지진
1935. 12. 07.
M 5.0 1935년 의성 지진
1936. 07. 04.
M 6.0 지리산 쌍계사 지진
1936. 10. 19.
M 5.4 1936년 삼척 해역 지진
1938. 08. 22.
M 4.8 1938년 지리산 지진
1939. 01. 10.
M 5.0 1939년 대전 지진
1939. 01. 24.
M 8.3 1939년 치얀 지진
1939. 08. 31.
M 5.3 1939년 청주 지진
1939. 12. 26.
M 7.8 에르진잔 대지진
1944. 12. 07.
M 7.9 쇼와 도난카이 지진
1944. 12. 19.
M 6.8 조선-중국 국경 지진
1946. 04. 01.
M 8.6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1946. 12. 21.
M 8.0 쇼와 난카이 지진
1947. 11. 04.
M 5.0
(추정)
1947년 인천 해역 지진
1947. 11. 14.
1948. 06. 28.
M 7.1 1948년 후쿠이 지진
1950. 08. 15.
M 8.7 1950년 아삼 지진
1952. 03. 19.
M 6.4 1952년 평양 지진
1952. 04. 24.
M 5.6 1952년 은천 지진
1952. 11. 05.
M 9.0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1956. 02. 13.
M 5.0
(추정)
1956년 대한민국 지진
1959. 05. 04.
M 8.3 1959년 캄차카 지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2em"
{{{#!folding [ 1960년대 ~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color=#fff><rowcolor=#fff> 발생일 규모 지진명
<colbgcolor=#868e96>
1960. 02. 29.
M 5.8 1960년 아가디르 지진
1960. 05. 02.
M 9.5 1960년 칠레 발디비아 지진
1960. 10. 08.
M 6.8 1960년 길주 해역 지진
1963. 09. 06.
M 6.3 1963년 영덕-포항 해역 지진
1963. 09. 07.
M 6.3
1964. 03. 27.
M 9.2 1964년 알래스카 지진
1964. 06. 16.
M 7.5 1964년 니가타 지진
1965. 08. 03.
~1970. 6. 5.
M 6.4 마츠시로 군발지진
1973. 09. 29.
M 7.8 1973년 나진 해역 지진
1975. 02. 04.
M 7.0 1975년 하이청 지진
1975. 06. 29.
M 7.3 1975년 속초 해역 지진
1976. 07. 27.
M 7.8 1976년 탕산 대지진
1976. 07. 28.
M 7.4
1976. 08. 16.
M 8.0 1976년 필리핀 모로 만 지진
1976. 10. 06.
M 5.4 1976년 홍도 해역 지진
1976. 11. 24.
M 7.3 1976년 살디란 지진
1977. 03. 04.
M 7.5 1977년 루마니아 지진
1978. 09. 16.
M 5.2 1978년 속리산 지진
1978. 10. 07.
M 5.0 1978년 홍성 지진
1980. 01. 08.
M 5.3 1980년 의주 지진
1981. 04. 15.
M 5.2 1981년 포항 해역 지진
1982. 02. 14.
M 5.6 1982년 사리원 지진
1982. 03. 01.
M 5.0 1982년 울진 해역 지진
1983. 05. 26.
M 8.1 1983년 아키타 지진
1985. 09. 19.
M 8.0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
1988. 12. 07.
M 6.8 1988년 아르메니아 지진
1989. 10. 17.
M 7.2 1989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1990. 06. 21.
M 7.4 1990년 이란 지진
1990. 07. 16.
M 7.8 1990년 필리핀 루손 지진
1992. 04. 13.
M 5.8 1992년 루르몬트 지진
1993. 07. 12.
M 7.8 1993년 홋카이도 해역 지진
1994. 04. 22.
M 5.3 1994년 울산 해역 지진
1994. 07. 26.
M 5.9 1994년 홍도 해역 지진
1994. 10. 04.
M 8.2 1994년 홋카이도 동방 해역 지진
1995. 01. 17.
M 7.3 효고현 남부 지진
1995. 07. 24.
M 5.3 1995년 백령도 해역 지진
1996. 01. 24.
M 4.8 1996년 동해 해역 지진
1996. 12. 13.
M 5.6 1996년 영월 지진
1997. 03. 27.
M 6.6 1997년 가고시마현 사쓰마 지방 지진
1997. 05. 13.
M 6.4
1997. 06. 26.
M 5.0 1997년 경주 지진
1999. 01. 25.
M 6.2 1999년 콜롬비아 지진
1999. 08. 17.
M 7.6 1999년 이즈미트 대지진
1999. 09. 21.
M 7.3 921 대지진
2000. 06. 17.
~21.
M 6.5 2000년 아이슬란드 지진
2000. 06. 06.
~09. 28.
~ M 6.5 이즈 제도 군발지진(2000년 7월)A
2000. 10. 06.
M 7.3 2000년 돗토리 지진
A : 해당 군발지진의 시작일은 위의 아이슬란드 지진보다 먼저이지만, 가장 큰 지진인 이 문서에 집중적으로 서술된 규모 6.5의 지진은 2000년 7월 1일에 발생함을 고려하여 2000년 7월 1일 지진을 본진으로 분류하여 위의 문서인 아이슬란드 지진 뒤에 기록했다.
}}}}}}}}}}}} ||


[1] 예외로 1952년에 일어난 세베로쿠릴스크 지진이 있다.[2] 그나마 불행 중 다행인 건 지진이 발생한 시점이 오전 11시 41분이었기 때문에 가장 대처하기 용이한 시간대였다는 것이다. 만약 모두가 잠든 새벽 시간대에 일어났다면 최대 5만 명은 사망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