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11:48:59
아르만도 갈라라가의 역대 등번호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70번 |
없음 | → | 아르만도 갈라라가 (2007) | → | 브록 버크 (2019)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58번 |
마크 라벨로 (2006~2007) | → | 아르만도 갈라라가 (2008~2010) | → | 아담 윌크 (2011)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59번 |
라파엘 로드리게스 (2010) | → | 아르만도 갈라라가 (2011) | → | 비센테 캄포스 (2016) |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30번 |
J.A. 햅 (2010~2012) | → | 아르만도 갈라라가 (2012) | → | 맷 도밍게스 (2012~2014) |
}}} ||
|
아르만도 갈라라가 Armando Galarraga |
본명 | 아르만도 안토니오 갈라라가 바레토 Armando Antonio Galarraga Barreto |
출생 | 1982년 1월 15일 ([age(1982-01-15)]세) |
베네수엘라 쿠마나 |
국적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네수엘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신체 | 190cm / 104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1998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MON) |
소속 팀 | 텍사스 레인저스 (2007)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08~2010)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11)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2) 중신 슝디 엘리펀츠 (2014) |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기록5. 여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전 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2010년 6월 2일 9회초에 평범한 땅볼타구를 잡으면서 퍼펙트 게임을 했으나 심판의 오심으로 인해서 명백한 아웃이 세이프로 판정이 나면서 퍼펙트 게임은 물론 노히트 노런까지 달성을 하지 못했다. 이때 오바마 대통령까지 판정 번복을 요청 햤으나 결국 번복은 되지 않았다. 그래도 갈라라가는 다음 타자를 땅볼로 처리하면서 1피안타 완봉승을 했다3. 플레이 스타일
4. 연도별 기록
- 은퇴 후에는 텍사스 주 오스틴에서 자신의 이름을 내건 야구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