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19:29:16

심재원(안무가)


BeatBurger
심재원
Flash Finger
주성민
구종필
MQ
황상훈
[ 음반 목록 ]
||<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e5e5e5><width=25%>
파일:비트버거 Electric Dream COVER.jpg
||<width=25%>
파일:비트버거 VAGABOND COVER (직사각형).jpg
||<width=25%>
파일:http-%2F%2Fimage.bugsm.co.kr%2Falbum%2Fimages%2Foriginal%2F200622%2F20062287.jpg
||<width=25%>
파일:Ribbon to Reborn.jpg
||
Electric Dream
EP

(2014.09.29)
VAGABOND
디지털 싱글

(2016.08.10)
Music Is Wonderful
[[SM STATION|
SM STATION
]]
(2016.10.21)
Ribbon to Re:born
디지털 싱글

(2019.05.27)
[ 참여 음반 ]
||<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e5e5e5><width=25%>
파일:deep & twisted.jpg
||<width=25%>
파일:투명.png
||<width=25%>
파일:투명.png
||<width=25%>
파일:투명.png
||
Python
Deep & Twisted, Vol.5

(2014.11.11)
심재원 이전 소속 그룹
[ 펼치기 · 접기 ]
----
블랙비트
이소민 황상훈 정지훈 심재원 장진영

심재원
JAE SHIM
파일:심재원(안무가) 프로필.jpg
<colbgcolor=#ffe1e8><colcolor=#223055> 이름 심재원
출생 1983년 2월 8일 ([age(1983-02-08)]세)
부산직할시 (現 부산광역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덕천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명지대학교 (연극영화과 / 학사)
데뷔 1998년 이글파이브 1집 「The Infrared Journey」
소속그룹 비트버거
소속 SM엔터테인먼트
경력 이글파이브
블랙비트 (2002년~2007년)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활동
2.1. 가수2.2. 안무가 및 연출 디렉터2.3. 그 외 활동
3. 활동
3.1. 안무 제작3.2. 공연 연출3.3. 방송
4. 평가
4.1. 장점4.2. 단점
5. 여담

[clearfix]

1. 개요

SM엔터테인먼트의 안무가. 공식 직함은 퍼포먼스 디렉터.

2. 활동

2.1. 가수

1998년 15세의 나이에 이글파이브로 활동한 이후 2002년 블랙비트로 재데뷔하였다. 그러나 2집 앨범을 하염없이 기다리던 중 결국 앨범 발매가 엎어지게 되었고 2007년 그룹 활동 계약 만료로 인한 해체 수순을 밟았다.

2.2. 안무가 및 연출 디렉터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다가 2007년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의 안무를 시작으로 안무가의 길을 걷게 된다.

시작은 안무 제작이었으나 점차 폭을 넓혀가 퍼포먼스 디렉팅, 공연 연출, 트레이닝까지 맡고 있으며 필요한 영상 촬영도 본인이 할 정도로 퍼포먼스와 관련된 거의 전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소녀시대를 시작으로 그들보다 선배인 BoA, 동방신기, 3세대 EXO, Red Velvet을 거쳐 4세대 aespa, 5세대로 거론되는 RIIZE까지 많은 그룹의 활동에 있어서 기여를 해온 인물로 그만큼 연습생들 사이에서는 그가 안무를 지도해주면 데뷔를 하게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SM 내의 입지가 대단하다.

아티스트로 활동한 경험이 있어 회사 내 아티스트들의 신뢰가 상당히 높으며 스스로도 열정이 남들보다 많은 편이라고 밝힌 바 있다.

2.3. 그 외 활동

DJ 활동도 꾸준히 하고 있다. 2013년부터 스키조의 기타리스트 주성민, DJ 플래시 핑거, 랩퍼 MQ, 사운드 엔지니어 구종필과 일렉트로니카 프로젝트 그룹인 비트버거를 결성하여 활동을 하고 있다. 2014년과 2016년에 두 차레 음반을 발표한 바 있으며 UMF, 지산밸리록 등 쟁쟁한 공연들에도 등장하기도 했다. 대학 축제기간에는 고려대, 동덕여대 등에서의 행사에도 참여한다.

주로 EXO, f(x) 등의 후세대 아이돌 팀들의 콘서트 오프닝 곡과 멤버 개별 무대 스페셜 트랙들을 칵스의 멤버 공동 프로듀싱을 맡곤 한다. EXO의 일본 첫 싱글 수록곡 'Drop That'의 작곡에도 참여하였는데 16만장이 넘게 팔려나가기도. 일본 앨범 인세 두둑했을 듯

3. 활동

3.1. 안무 제작

3.2. 공연 연출

3.3. 방송

<rowcolor=#fff> 날짜 방송사 방송명 비고
2023년
2월 15일 ~ 파일:JTBC 로고.svg 피크타임 심사위원

4. 평가

4.1. 장점

4.2. 단점

특히 EXO-L에게 비판을 많이 받는 데, 'EXO'luXion'에서의 카이세훈의 'Baby, Don't Cry'의 아웃트로 댄스브레이크 파트의 지나친 물 사용 때문이다. 이른바 물돈크를 시작으로, 다음 투어인 'EXO'rDIUM'에서의 레이도 가세한 'Silvery Wave' 퍼포먼스와 'LIGHTSABER'에서의 광선검 퍼포먼스 등으로 인한 EXO의 크고 작은 부상이 콘서트 때마다 비일비재하게 벌어지는 편이었다.
이 부분이 공연에서 특히 신나기도 하는 부분이기는 하나 관객 입장에서 매년 달라지는 구성을 원하는 만큼 비판 역시 매년 지적되어 왔다.

5. 여담



[1] 이 때문에 최강창민이 콘서트에 앞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새로 변경된 'Catch Me'의 안무가 너무 빡세다며 토로하기도 했다.[2] 고교 1년 후배인 광호가 3인조 그룹 '뉴오더'로 데뷔했으나 여긴 완전 묻혔다. 2년 후배 유연석은 배우로 데뷔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