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8-01 15:10:47

스타커맨더/테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타커맨더
파일:20171218_180912.png 스타커맨더 관련 문서
종족
파일:SCT_솔져.png
테란
파일:SCC_바이퍼.png
크리퍼
파일:SCA_워리어.png
아르칸
기타 문서
각 종족전 개념 | | 패치 내역 | 사건사고 | 평가

1. 개요2. 유닛
2.1. 건설로봇2.2. 솔져2.3. T.A.S2.4. 헬파이어2.5. 타이탄2.6. 카이저 탱크2.7. 드랍쉽2.8. 팬텀2.9. 피닉스2.10. 레인져2.11. 배틀쉽
3. 건물
3.1. HQ3.2. 워 팩토리3.3. 배틀랩3.4. 센트리건3.5. 미사일런쳐3.6. 레이더
4. 추천 카타젠, 추천 스킬5. 장단점
5.1. 장점5.2. 단점
6. 빌드
6.1. 초반 러쉬 막기6.2. 2테크 2팩 멀티(3종족 다 가능)
7. 사라진 빌드
7.1. 포탑 러쉬 7.2. 1테크 1팩 멀티(크리퍼전) 7.3. 350빌드(테란전)
8. 과거에 쓰레기 취급을 받은 이유9. 테사기 의혹10. BGM

1. 개요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테란 종족은 지구를 지키기 위해 만들어진 연합단체입니다. 예전부터 인류는 홀로 불가능한 것도 서로 힘을 합쳐 생존해왔던 종족입니다. 다른 종족보다 과학적인 기술이 높지도, 생존력이 높지도 않지만 새로운 곳을 개척해나가려는 의지가 강한 종족입니다.

스타커맨더의 종족 중 하나인 테란의 유닛 및 건물 관련 정보.

상성은 풀카타 기준으로 작성한다.

보통 바이오닉이나 메카닉 또는 둘을 혼합한 바카닉으로 적을 잡는다.

후반에는 병력을 많이 모으거나 상대의 공중병력양을 체크해가며 피닉스 양을 잘조절하는것이 승패를 결정한다.[1]

스카이를 가는 경우는 팬텀(밴시), 피닉스가 주로 조합된다.

공통적으로 드랍쉽(의료선)은 주로 드랍 및 회복으로 각각 지원한다(꼭 생명체가 아니어도 치료가 가능하다).

멀티를 하는 난이도가 어려운편이다.

스킬은 스캔/회복/이동속도 를추천한다.

고급스캔의 효율이 가장좋은 종족이다.

과거에는 운영의 종족, 무형의종족 취급을 받으며 빌드가 없었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그도 그럴 것이, 현재도 살아남은 빌드는 단 1가지밖에 없다.

3가지 BGM이 존재하지만, 베타 테스터에서는 BGM이 4개 였었다.

BGM문단에 SCV소리가 들리기는 하지만 브금이 있다.

조합이 잘 갖춰줬다는 전제 하에 후반이 가장 강력하다. 인성비로 보면 크리퍼가 가장 강력하긴하나 탱크, 팬텀, 피닉스의 고효율을 이길순 없다. 물론 타종족이 그렇게 시간을 주느냐는 의문.

2. 유닛

본 문단은 유닛/건물의 기본적인 능력치만을 서술하고 있으며, 공방업된 능력치는 서술하고 있지 않습니다.

강조 처리된 단어는 스타커맨더의 유닛/건물 이름이며,()안의 이름은 이에 대응하는 스타 유닛/건물의 이름이다.

헬파이어, 피닉스 및 배틀쉽의 업그레이드 공격력 수치 산정 방법
x*y+a[]x=유닛의 공격력,y=헬파이어:3, 피닉스:8, 배틀쉽: 4,a= 유닛의 업그레이드 수치에 따른 추가 공격력]

스타커맨더의 유닛 대미지 계산식

(DA×A×CA+UA)×SA-(DD+CD+UD+SD)

DA : 기본 공격력

A : 기본 공격력에서 곱한값 (EX : 타이탄 2, 헬파 3, 피닉스 8)

CA : 카타젠 공격력 증가량

UA : 업그레이드 공격력 증가량

SA : 공격력 스킬 증가량 (일반 : 5%, 고급 : 10%)

DD : 기본 방어력

CD : 카타젠 방어력 증가량

UD : 업그레이드 방어력 증가량

SD : 방어력 스킬 증가량 (일반 : 2.5, 고급 : 5)



참고로 A는 있는 유닛도 있고 없는 유닛도 있다

2.1. 건설로봇

파일:SCT_건설로봇.png
생산 건물 HQ 생산비용
파일:SC_Mineral.png50x2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1x2
파일:SC_Supply_P.png1x2
파일:SC_Supply_Z.png1x2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15
생명력 300 이동 속도 3.13[3]
공격력 지상 25 방어력 0
공격 속도 1.00[4] 사거리 24[5]
본진 요구 레벨 1레벨 크기 소형
링커보다 체력이 높을 것 같지만 그렇지는 않다. 단 드론보다는 높다.

2.2. 솔져

파일:SCT_솔져.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배럭)[6] 생산비용
파일:SC_Mineral.png50x2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1x2
파일:SC_Supply_P.png1x2
파일:SC_Supply_Z.png1x2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13
생명력 240 이동 속도 2.81
공격력 지상 및 공중 35[7] 방어력 0[8]
공격속도 1.33 사거리 지상 및 공중 240
본진 요구 레벨 1레벨 크기 소형

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해병과 비슷한 유닛이다. 컨트롤 수준에 따라 조금만 모여도 워리어와 크롤러는 밥으로 만들어 버리고, 모든 1테크 유닛들을 상대로 상성상 우위를 점하는, 테란의 핵심인 유닛이다.
강제이동, 일점사, 빠르게 산개시키는 컨. 이 3가지에 따라 사용수준이 크게 달라짐.

2.3. T.A.S

파일:SCT_TAS.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 생산비용
파일:SC_Mineral.png75x2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1x2
파일:SC_Supply_P.png1x2
파일:SC_Supply_Z.png1x2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18
생명력 280 이동 속도 2.50
공격력 64(범위)[10] 방어력 2[11]
공격 속도 1.33 사거리 96
본진 요구 레벨 1레벨 크기 소형

2.4. 헬파이어

파일:SCT_헬파이어.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15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3
파일:SC_Supply_P.png3
파일:SC_Supply_Z.png3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18
생명력 700 이동 속도 2.50
공격력 38x3(범위)[12] 방어력 4[13]
공격 속도 1.33 사거리 96
본진 요구 레벨 2레벨 크기 대형
누가 얘 이름에다가 자꾸 취소선 그어놓냐
견제 면에서 솔져 8기 드랍보다 이거 하나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

2.5. 타이탄

파일:SCT_타이탄.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15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3
파일:SC_Supply_P.png3
파일:SC_Supply_Z.png3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18
생명력 700 이동 속도 2.50
공격력 지상 60[14]/공중 50x2[15] 방어력 4[16]
공격 속도 1.23 사거리 지상 288 /공중 432
본진 요구 레벨 2레벨 크기 대형

2.6. 카이저 탱크

파일:SCT_카이저 탱크.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25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4
파일:SC_Supply_P.png4
파일:SC_Supply_Z.png4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5
생명력 750 이동 속도 2.50
공격력 방사 피해 320[17][18] 방어력 5[19]
공격 속도 0.41 사거리 432
본진 요구 레벨 2레벨 크기 대형
테란전과 크리퍼전에선 효율이 좋으나 아르칸전에선 떨어진다.

2.7. 드랍쉽

파일:SCT_.드랍쉽.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20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2
파일:SC_Supply_P.png2
파일:SC_Supply_Z.png2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3
생명력 800 이동 속도 3.33
공격력 - 방어력 3[20]
공격 속도 1.00 사거리 240[21]
마나 100 특수 능력 나노 치료제
본진 요구 레벨 3레벨 크기 대형

나노 치료제
사용 유닛 드랍쉽 치료량/사용 마나 80/4

2.8. 팬텀

파일:SCT_팬텀.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25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5
파일:SC_Supply_P.png5
파일:SC_Supply_Z.png5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6
생명력 800 이동 속도 3.33
지상 공격력 125[22] 방어력 0[23]
공격 속도 0.80 사거리 288
본진 요구 레벨 3레벨 크기 대형

베타때는 스플래쉬유닛이였다..

강한 유닛:타이탄을 제외한 모든 지상유닛

약한 유닛:공중 공격이 가능한 모든 공중유닛

2.9. 피닉스

파일:SCT_피닉스.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25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5
파일:SC_Supply_P.png5
파일:SC_Supply_Z.png5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5
생명력 850 이동 속도 3.75
공중 공격력 32x8[24] 방어력 0[25]
공격 속도 0.50 사거리 288
본진 요구 레벨 3레벨 크기 대형
취소되는 지속딜링}}}
이로 인해 피닉스는 짤짤이 플레이를 할 수 없으며 하염없이 도망가는 공중유닛을 빠르게 잡을 방법이 없다.

강한유닛 : 모든 공중유닛. 특히 루나

약한유닛 : 지상 대공유닛

2.10. 레인져

파일:SCT_레인져.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30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2
파일:SC_Supply_P.png2
파일:SC_Supply_Z.png2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30
생명력 400 이동 속도 2.71
공격력 - 방어력 0[26]
공격 속도 - 사거리 384
마나 100 특수 스킬 스피어 마인
본진 요구 레벨 4레벨 크기 소형

스피어 마인(레인저 특수 스킬)[27]
사용 유닛 레인저 사용 마나 40
공격력 방사 피해 360[28] 100%, 50%, 25% 사거리 72, 144, 240
원하는 곳에 놓으면 3초 뒤 폭발하는 폭탄을 설치한다. 하지만 투척 시간과 던지기 전 딜레이 때문에 보통 약 4초 뒤 폭발.

2.11. 배틀쉽

파일:SCT_배틀쉽.png
생산 건물 워 팩토리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50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8
파일:SC_Supply_P.png8
파일:SC_Supply_Z.png8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52
생명력 2000 이동 속도 1.87
공격력 지상 방사 피해 85x4[29]/공중 150[30] 방어력 15[31]
공격 속도 0.94 사거리 지상 288 /공중 240
본진 요구 레벨 4레벨 크기 대형

3. 건물

모든 테란의 건물들은 0.5초마다 광물 4를 소모하여 체력 40을 회복할 수 있다.

심시티에 따라 승패가 갈릴 수도 있다.

3.1. HQ

파일:SCT_HQ.png
건물 타입 확장 건설 비용
파일:SC_Mineral.png40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48
생명력 8000 방어력 5

타종족전에서 유독 많이 맞아준다. 이 건물을 통해 테란의 병력들이 보호받기 때문.

제발 엘리전이거나 상대가 올인해서 이걸 부수려고 하는게 아니면 수리 하지 말자. 수리하면 그만큼 병력이 안 나온다.

3.2. 워 팩토리

파일:SCT_워 팩토리.png
건물 타입 생산 생산 비용
파일:SC_Mineral.png15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4
생명력 4000 방어력 5

테란의 심시티를 책임지는 건물. 근데 탱크 스플과 바스에 터지기라도 하면 겁나 손해본다. 따라서 바스가 때리기 힘든 위치에 심시티하는 것이 좋다.

수리는 당연히 안 하는 것이 좋다.

3.3. 배틀랩

파일:SCT_배틀랩.png
건물 타입 강화 건설 비용
파일:SC_Mineral.png125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4
생명력 4000 방어력 5

수리는 안 하는 것이 좋으나, 업글 중이면 당연히 하는 것이 좋다.

3.4. 센트리건

파일:SCT_센트리건.png
건물 타입 방어 건설 비용
파일:SC_Mineral.png100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4
생명력 1000 방어력 5
지상 공격력 45*2 공격 속도 1.18
사거리 336 --
초반에 센트리건을 짓고 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매우 좋지 않은 습관이다. 센트리건은 멀티를 할때 박거나 2대2에서 저주받은 분지 중앙에 짓는거 외에는 짓지 않는것이 좋다.

과거엔 브론즈에서 실3까지는 상대방 본진에 몰래 센트리건 러시만 해도 갈 수 있었으나 하도 당한 브론즈 유저들의 정찰로 이제는 약간 어렵다.

너무 많이 지으면 딜이 겹쳐서 안 좋다.

솔져 대신 멀티할 때 맞아주면서 공격하는 용도로 배치해두면 장담하건데 3배 이상의 효율도 가능하다. 수리 가능한 체력이랑 공격력이 더 높아서도 있지만[32] 솔져가 죽을 때처럼 바로바로 딜로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 그렇다고 너무 많이 배치하면 상대방이 더 째도 문제고 방어타워 사정거리 밖에서 놀며 공격하기 때문에 제발 하나만 놓자.

왠만한 경우면 수리하는 것이 좋다.

센트리건 러쉬를 고수들이 짤막하는 경우가 많아지며, 사실상 센트리건 러쉬는 거의 사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아르칸전에서는 상대가 전진겟이거나 공경비 맵과 같이 러쉬거리가 짧을 시 거의 무조건 설치해주어야 된다. 그래서 센트리건을 짓고 솔져를 한 번만 생산하고 테크를 찍어 더 안전하게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3.5. 미사일런쳐

파일:SCT_미사일런쳐.png
건물 타입 방어 건설 비용
파일:SC_Mineral.png75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0
생명력 1000 방어력 5
공중 공격력 50*2 공격 속도 1.33
사거리 336 --

스팅어와 트렌스포트를 방어할때 사용된다.

스팅어를 막을 때는 솔져와 더불어 터렛을 본진에 도배하는 것이 좋다. 결국 스팅어가 공중유닛이기 때문에 쌓을 수록 크리퍼가 유리해지기 때문에 스팅어가 견제로 갉아먹을 수 없는 지상병력을 갖춘 뒤 러쉬를 가기 전까지는 버텨야 하는데, 솔져는 사거리 때문에 안되고, 타이탄은 dps가 너무 약해서 스팅어에 솔져보다 갉아먹히기 쉽기 때문에 결국 터렛이 답이 된다. 터렛은 건물인지라 계속 짓기엔 한계가 있지만 러쉬 전까진 버텨줄 수 있고, 터렛 수보다 2배 이상의 양을 갖춘 스팅어를 이기기 때문이다.

트포를 상대로는 자신의 수비 병력이 다수 존재하기 어려운 외곽에 박으면 된다.

수리 비용이 건설 비용과 비슷해서, 급하다면 수리하는 것이 좋고 그렇지 않다면 하나 더 짓는게 좋다.

3.6. 레이더

파일:SCT_레이더.png
건물 타입 감시 건설 비용
파일:SC_Mineral.png125
파일:SC_Vespene_T.png
파일:SC_Vespene_P.png
파일:SC_Vespene_Z.png
파일:SC_Supply_T.png
파일:SC_Supply_P.png
파일:SC_Supply_Z.png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22
생명력 1000 방어력 5
감지 범위 20[33]
테란에게만 있는 건물로, 레이더 주변의 적의 위치를 표시해준다.

3멀을 먹는다면 본진에 필수로 지어주자.

테란의 조이기를 책임지는 건물이다.

맵이 크거나 난전이 유도되는 맵에서 자주 사용된다.

감지범위가 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레이더에서 대각선에 있는 적들은 생각보다 감지되지 않는다.

4. 추천 카타젠, 추천 스킬

쓴 순서부터 중요도
진하게 칠해진 부분은 반드시 카타가 필요한 기본 유닛이거나 해당 카타 필수를 의미한다.
보통 최소 6성 이상의 카타는 있어야된다. 5성 이하는 극복이 안된다는 걸 체감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34]
이속 카타가 안 어울리는 유닛은 절대 존재하지 않는다.
예시) 마린:<1>체력/<2>사거리/<3>마나회복량[35]



솔져
크리퍼전:이동속도/방어력

아르칸전:이동속도/공격력

테란전:공격력/방어력

​3종족 다용도:공격력/방어력[36]




타스:이동속도/공격력/공격속도



타이탄:이동속도/공격력/공격속도



헬파이어:공격력/공격속도/이동속도



탱크:이동속도/공격력/공격속도



피닉스:이동속도/공격력/공격속도



팬텀:이동속도/사거리/공격속도



드랍쉽:이동속도/치유량/마나회복



레인저:이동속도/사거리/공격력



센트리건:건설속도/공격력/공격속도



미사일터렛:공격속도/공격력/건설속도


그 외 건물:건설속도를 넣으면 되고 나머지 하나는 아무거나 넣으면 된다.

이곳에 없는 유닛은 쓸 곳이 없기때문에 그냥 안쓰면된다.



스킬

스캔(왠만하면 고급)[37]/힐[38] or 속업 or 공업[39] or 공속업

5. 장단점


테란의 장단점을 서술한다.

5.1. 장점


*2테크 2팩 빌드라는 3종족 만능 빌드가 있다.

5.2. 단점


*초반 빌드가 거의 정해져있다. 대부분 2테크 올인이거나 2테크 멀티이다.

6. 빌드

테란의 빌드를 서술한다.

6.1. 초반 러쉬 막기

테란이 초반 러쉬를 막는 방법으로는 아래가 정석이다

1. 10팩
-크리퍼 상대로 좋음. 6챔, 8챔과 같은 빌드 상대로 최선인 빌드라 할 수 있다.

2. 10정찰
-아르칸 상대로 좋음. 힐타러쉬나 전진겟 플레이를 발견한 즉시 대처해주면 막을 수 있다.

보통 테테전은 고려하지 않는다. 일꾼이 솔져를 매우 잘 잡아줘서 상황에 따라 언덕막고 센트리건도 지어주며 컨만 잘해주면 되기 때문. 포탑 러쉬만 조심해주면 된다.

6.2. 2테크 2팩 멀티(3종족 다 가능)

크리퍼 아르칸 테란 3종족전 만능 빌드이며 현재 정석이다.
솔져를 뽑아주며 테크를 누르고
일꾼 1번 찍고
2팩으로 늘리고
일꾼 1번 찍고
테크완료시 탱크를 2기 찍어주면 된다.

이후 상황봐서 멀티를 먹거나 상대가 올인일 시에는 3팩으로 늘려주면 된다.

7. 사라진 빌드

7.1. 포탑 러쉬

사실상 사장된 빌드. 상대가 눈뜨고 당해줄 리가 없다. 일꾼으로 포탑을 못 짓게 하는 게 베스트고, 지어졌더라도 병력으로 막자. 브론즈급 아니면 통하지 않는다.

다만, 상대가 작정하고 포탑 러쉬 올인인데 첫 포탑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충분히 질 수가 있다. 아주 가끔씩 보이지만 테란 입장에선 막히면 답이 없는 올인이기에 막기만 하면 매우매우 유리해진다.

7.2. 1테크 1팩 멀티(크리퍼전)

1팩을짓고 멀티를 하는 빌드이다. 크리퍼전에서 쓰일 수 있다.

빌드는 다음과 같다.

이 빌드는 4팩 솔져 물량으로 크리퍼를 압도한다는 것이 목적이다. 이속마린이 필수이며, 유저의 컨 수준에 따라 크게 갈린다. 따라서 초보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만약 상대도 카타가 좋을 경우 이 빌드는 통하지 않는다.

7.3. 350빌드(테란전)

3분 50초에 솔져 공업을 완성시켜 탱크 위에 솔져를 놓아 탱크를 빠르게 제거하고, 드랍쉽의 힐을 받으며 이기는 올인성 플레이이다. 상대가 멀티를 해야만 가능한 플레이이며 드랍쉽이 터지는 참사가 일어나지 않아야만 하기 때문에 고캔이 있다면 아주 가끔 할만한 빌드다. 후반 갈수록 병력이 쌓여 불가능해지므로 빠르게 해야 한다.

솔직히 말해 사장된 빌드이다. 숨요에서나 쓰일 수 있는데, 숨요테란전은 3테크 멀티가 정석이기 때문.

영상참고


8. 과거에 쓰레기 취급을 받은 이유

현재는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과거 테란의 초반빌드는 1포탑을 짓은뒤에 팩토리를 짓는것이였다. 하지만 초반에 생산건물이 아닌 방타를 먼저 짓는다면 당연히 상대방에 비해 병력양이 매우 딸리게되며, 당시 크리퍼전 빌드는 러쉬를 가는 것 뿐이였기에 공격도 쓰레기인 종족이라는 인식이 박혔으나, 랠벅이 생기고 째는 개념이 생기자 모을수록 강력해지는 테란의 장점이 부각되어, 쓰레기를 벗어나게 되었다.

그리고 멀티를 늦게 짓더라도 미네랄 버그로 커버할 수 있어 미네랄버그의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은 종족이다.

9. 테사기 의혹

테란이 사기라고 말하는것은 그동안 저점수대에서만 들리던 말이였으나 최근에는 테란이 꿀을 빤다는 말이 들리기 시작했다. 게임이 고착화되면서 유저들의 수준이 최대로 향상되었을 때 테란은 자신이 원하는 상황으로 무난히 가서 이길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타종족은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 다양한 심리전을 걸거나 빌드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는 테란이 이론적으로 가장 사기인 종족이라는 평가가 많다.[40]

10. BGM

테란1

테란2

테란3

테란4 [41]

테란5 [42]

[1] 그만큼 공중장악이 중요한 종족이다[] [3] 바이퍼, 뱅가드와 이속이 같으므로 추정[4] 드랍쉽의 힐 속도와 같으므로 추정[5] 크롤러와 워리어와 같으므로 추정[6] 사실 얘 혼자서 병영, 군수공장, 우주공항 다 한다.[7] 1업당 +5, 총 50[8] 1업당 +5, 총 15[9] 값싼 솔져양이 스팅어보다 많기만 하면 된다!![10] 1업당 +8, 총 88[11] 1업당 +5, 총 17[12] 1업당 +5, 총 129[13] 1업당 +5, 총 19[14] 1업당 +6, 총 78[15] 1업당 +10, 총 80x2[16] 1업당 +5, 총 19[17] 1업당 +20, 총 380[18] 아군에게도 오폭 피해가 들어간다. 때문에 상대 근접유닛이 달라붙으면 아군을 더 많이 죽인다.[19] 1업당 +5, 총 20[20] 1업당 +5, 총 18[21] 솔져와 사거리가 같으므로 추정[22] 1업당 +10, 총 155[23] 1업당 +5, 총 15[24] 1업당 +5, 총 271[25] 1업당 +5, 총 15[26] 1업당 +5, 총 15[27] 사실상 미니 핵이다. 지뢰 1개가 그 정도의 위력을 낸다고?[28] 1업당 +50, 총 510[29] 1업당 +8, 총 364[30] 1업당 +15, 총 195[31] 1업당 +5, 총 30[32] 탱크 스플에 터지면 또 예외다. 탱크는 따로 일점사 필수.[33] 레이더를 중심으로 한 반지름 거리, 거리 기준은 맵 크기와 동일[34] 매크로만 돌려도 1달안에 모든 카타젠 유효옵을 초보자도 6성 이상으로 뽑을 수 있다.[35] 3번카타젠부터는 효율이 극심하게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웬만하면 1번과 2번으로 카타젠을 맞추도록 하자.[36] 종족별 전용 카타젠을 만들지 않을시엔 공방카타젠을 추천한다.[37] 일반 스캔이면 지속적인 렐벅이 필수고 게임을 보는 눈이 뛰어나야 한다.[38] 자신이 상대의 초반 견제에 약하다면 쓰는 것을 추천한다. 단, 힐 특성상 후반 가면 성능이 떨어진다.[39] 공업시 공업카타 낀 탱크가 상대 탱크를 2방 컷 낸다.[40] 크리퍼전과 아르칸전 둘다 이론적으로 테란이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41] 테란브금중에선 가장 심혈을 만들어서 만든 브금인것이 티가 팍팍나지만 어째선지 베타 이후에는 삭제된 비운의 브금이다. SCV와 마린소리는 적당히 걸러서 들어보자.[42] 테란4 BGM의 초기버전이였으나 이후 테란4 BGM으로 개편된것으로 보인다. 아무 자료도 남아있지 않으나 테란4브금의 하위호환인 느낌.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타커맨더, version=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