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9:03:53

스네이크아이즈 포프루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스네이크아이
,
,
,
,
,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蛇眼の炎燐.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네이크아이즈 포프루스 ,
일어판명칭=<ruby>蛇眼の炎燐<rp>(</rp><rt>スネークアイズ・ポプルス</rt><rp>)</rp></ruby>,
영어판명칭=Snake-Eyes Poplar,
레벨=1, 속성=화염, 종족=화염족, 공격력=7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패에 넣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스네이크아이"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지속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원래 주인의 마법 & 함정 존에 앞면 표시로 놓는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제한 카드 아이콘.png
제한 카드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제한 카드 아이콘.png
제한 카드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등장한 신규 스네이크아이. 다른 레벨 1 스네이크아이와는 달리 스네이크아이즈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모티브는 사시나무(Populus). 스네이크아이의 신화적 모티브인 에글레 설화에서 세 아들과 달리 딸이 배신했기 때문인지, 디아벨스타의 토벌 대상이었던 타 스네이크아이 몬스터들과 달리 디아벨스타가 데리고 다니는 모습으로 등장하며 효과도 다르다.

2.1. 성능

①의 효과는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패로 들어오면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엑셀, 화톳불, 멍멍이!? 등으로 패에 넣고 바로 전개해 서치 효과를 쓸 수 있다. 이 카드의 출시로 상기 카드들의 위력이 매우 높아졌다.

②의 효과는 소환 시 덱에서 스네이크아이 마법 / 함정을 패에 넣는 유발 효과. 원죄보와 반죄보를 서치할 수 있는 점은 디아벨스타와 공유하며, 그 밖에도 사안신전이나 추주극을 서치하여 전개를 추가로 이어갈 수 있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화염 속성 몬스터 1장을 마법 & 함정 존에 지속 마법 취급으로 놓는 유발 효과. 다른 스네이크아이 몬스터들의 공통 효과를 쓰기 위한 코스트나 플랑베르쥬 드래곤 등의 효과로 전개시킬 몬스터를 마련할 수 있다.

2.2. 영향력 및 역사

잊기 쉬운 사실이지만, 포프루스처럼 서치 시 유발 효과로 특수 소환되는 몬스터는 와타폰부터 오랫동안 존재해왔다. 그러나 이런 카드들은 성능 면에서 그리 고평가를 받지 못했는데, 패에 잡히면 썩는다는 치명적인 문제 때문이었다. 서치는 보통 테마군 단위로 발생하므로, 테마 내 카드를 트리거로 소환되는 카드라면 서치 시 특소보다 필드에 테마 카드가 있을 때 룰 효과 혹은 기동 효과로 특소되는 쪽이 더 좋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포프루스는 기존의 서치 시 특소 몬스터들과 달리 사기 카드로 손꼽히며 스네이크아이의 티어화 및 화염 카르텔의 개막에 일조했다. 그 이유는 이 카드를 서치하는 카드(화톳불), 이 카드로 서치하는 카드(원죄보)가 매우 강력하기 때문이다. 화톳불은 일소권을 쓰지 않으니 엑셀 등의 서치 수단이 막히더라도 패에 화톳불을 추가로 잡았다면 그대로 추가 공격권이 되며, 그렇게 소환된 포프루스는 신전을 서치해서 개체수를 불리거나 원시생명체 니비루를 케어할 수도 있고, 원죄보를 서치해서 그대로 진염왕 포닉스R-ACE 하이드런트 등 다른 테마 기믹으로 연결할 수 있다. 심지어 이 카드는 묘지로 보내지면 ③의 효과로 엑셀 / 오크 / 원죄보의 코스트까지 자동으로 마련해 주기까지 한다.

그리고 카드의 밸류 자체가 높아서 일반 소환을 해도 전개를 이어갈 수 있다. 야수의 첩자-바쿠 등과 달리 일반 소환 시에도 효과가 격발되기 때문. 비록 개체수나 패 트랩 관통 면에서 다소 약해지긴 하지만 기존 카드와 비교하면 전개가 되는 것만 해도 감지덕지다.

심지어 이 카드는 원래 어디에 있었든 패에 넣어지기만 하면 효과가 격발된다. 자세히 보면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패에 넣어졌을 경우"이지 와타폰처럼 "드로우 이외의 방법으로 덱에서 패에 넣어졌을 경우"가 아니다. 마듀식 60GS에서는 포프루스를 소재로 쓰든 덤핑하든 묘지로 보내 마법 / 함정 존에 놓은 후 BF-정예의 제피로스 코스트로 패로 되돌려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자체 특수 소환하는 식의 연계도 발굴되었다.

스네이크아이 내에서는 입지가 매우 큰데, 이 카드를 서치할 수 있는 액셀이 1핸드 초동이 되기 때문이다. 포프루스 발매 이전의 스네이크아이는 추가 전개 파츠가 없다면 액셀 / 오크의 덱 특소 조건을 맞추기가 어려워 흑마녀 디아벨스타를 활용한 용병으로나 불려가는 정도였는데 이 카드가 추가되면서 액셀 소환으로 필드를 구축하는 게 가능해졌다.[1]. 덕분에 스네이크아이의 덱 체급 자체가 상승했으며 디아벨스타 및 스네이크아이의 용병으로서의 위력이 더욱 강력해졌다.

TCG에서는 2024년 9월에, OCG에서는 10월에 제한 카드가 되었다. 보기보다 상당히 치명적인 금제로, 화톳불과 같이 잡히면 공격권이 더블로 썩거나 포프루스 스타트일 때 패 트랩에 전개가 끊길 위험성이 대폭 커지며 설령 통과되어도 액셀 소환 → 2장째 포프루스 서치 같은 행위가 불가능해져 단순히 초동률의 문제가 아니라 덱 기믹 단계에서 큰 손해를 보게 되었다.

3. 설정

파일:F9PsiaYacAABoEu.jpg
설정화

디아벨스타가 회수하려던 원죄보가 변형되어 탄생한 존재. 플랑베르쥬 드래곤을 처치한 디아벨스타가 원죄보를 회수하려 하였으나 원죄보가 쩌적 하고 금이 갈라지며 붉은 빛이 새어나오더니 이내 이 형태가 되었다.

설정화에 따르면 처음엔 몸 색깔의 붉은색이 더 진했는데 먹이에 따라 색이 변하는 플라밍고처럼 디아벨스타와의 여행 속에서 마력을 먹으면서 지금과 같은 핑크에 가까운 색깔로 변했다고 언급된다.[2]

스네이크아이 토벌을 완료한 후 돌아가던 디아벨스타의 보물을 강탈하기 위해 난입한 고블린라이더에 의해 납치당한다. 그럼에도 포프루스는 계속 잠에 빠져 있다가 고블린즈 크레이지 비스트가 해방되어 날뛰자 이를 감지하고 깨어나 크레이지 비스트를 통째로 흡수, 스네이크아이즈 디아벨스타의 모습으로 변모한다. 디아벨스타는 이 변모한 포프루스를 고블린라이더들을 향해 내리치는 것으로 패퇴시킨다.

그런데 직후 리제트가 등장해 잠재워지고, 디아벨스타의 가면과 함께 리제트가 데려가게 된다.

그녀에게 픽업된 이후 그녀와 융합하며 성 아자미나와 격돌했지만 패배하고, 직후 쫓아온 디아벨스타와 이번에는 싱크로를 해 아자미나와 다시 겨뤄 승리하곤 행방이 묘연해졌다가 모든 일이 끝난 하얀 숲에서 혼자 배 깔고 드러누워있는 것으로 죄보 스토리의 막을 내렸다.

4. 기타

5.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3-10-28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PHNI-JP012 | ファントム・ナイトメア [ PHANTOM NIGHTMARE ]
2023-12-02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PHNI-KR012 | 팬텀 나이트메어
2024-02-09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PHNI-EN012 | PHANTOM NIGHTMARE

6. 관련 카드

6.1. 흑마녀 디아벨스타

6.2. 원죄의 디아벨제

6.3. 스네이크아이즈 디아벨스타

포프루스가 크레이지 비스트를 흡수하여 변이한 형태.

6.4. 스네이크아이즈 댐드 드래곤

포프루스가 원죄의 디아벨제와 융합한 형태.

6.5. 하얀 숲의 환요

포프루스의 또 다른 형태. 스네이크아이가 아닌 하얀 숲 카드군으로 등장했다.

6.6. 스네이크아이즈 이그제큐트 드래곤

포프루스가 단죄의 디아벨스타와 융합한 형태.

[1] 액셀 소환 → 포프루스 서치 → 포프루스 특수 소환 → 포프루스를 소재로 링크리보 링크 소환 → 포프루스의 효과로 자신을 마법 & 함정 존에 놓음. 이렇게 하면 액셀과 오크의 덱 특소 효과를 사용할 코스트가 충당되기에 플랑베르쥬 드래곤을 활용한 필드 구축이 가능해진다.[2] 밸류어블 북 EX4에서 포프루스를 데리고 다니게 된 이후로 매직 아이템이 자주 없어진다거나 디아벨스타가 잠을 옅게 잔다거나 하는 언급이 있는데 이를 보아 디아벨스타가 수집하고 다니던 매직 아이템이나 디아벨스타의 마력을 흡수해온 듯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네이크아이
스네이크아이
문서의 r436
, 4.1.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