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6 22:41:56

슈퍼전대 시리즈/폼 체인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북미판 파워레인저에서 등장하는 오리지널 폼 체인지}}}에 대한 내용은 [[파워레인저/배틀라이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워레인저/배틀라이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워레인저/배틀라이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북미판 파워레인저에서 등장하는 오리지널 폼 체인지: }}}[[파워레인저/배틀라이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워레인저/배틀라이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워레인저/배틀라이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슈퍼전대 시리즈에 등장하는 폼 체인지를 정리해놓은 문서. 문단에 링크가 달려 있는 경우도 있는데, 그 경우 해당 링크의 문서에 서술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문서 내지는 항목을 참고하면 된다. 여기에서는 별도의 항목이나 문서 등이 없는 폼 체인지에 대해 서술한다.

최초의 폼 체인지는 과학전대 다이나맨의 다이나 블랙 호시카와 류가 착용한 배틀 텍터와 지구전대 파이브맨에 등장한 파이브 텍터. 조인전대 제트맨에서만 등장이 없다가 공룡전대 쥬레인저의 최초의 고정 신전사인 드래곤 레인저의 드래곤 아머를 물려받는 티라노 레인저를 통해 다시 부활한다. 이후부터 어느 정도 정립이 되긴 했지만, 성수전대 긴가맨을 제외한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부터 백수전대 가오레인저까지 등장이 없었다.[1] 그리고 인풍전대 허리케인저부터 다시 부활하고, 다음 시리즈부터 쭉 이어지게 된다.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폼 체인지처럼 완전히 형태가 변하기 보다는 기존의 슈트 위에 강화 아머를 덧씌우는 형태가 많다. 이는 슈퍼전대 시리즈의 기본 슈트들이 대부분 가벼운 스판 형태이기 때문에 그 위에 덧씌우기 편해서 그런 것으로 추정. 물론 강화 아머가 없더라도 신 무장을 얻는 등 다른 형태의 파워업이 이루어지기는 한다.

폼 체인지는 다음의 세 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미국의 파워레인저 시리즈에는 배틀라이저라는 동일한 개념의 요소가 등장한다. 단 이쪽은 거의 매 시리즈 등장하며, 오리지널 디자인이다.

2. 시리즈 별 폼 체인지

2.1. 과학전대 다이나맨: 배틀 텍터

파일:DynaBlack_Battle_Tector.png
시리즈 사상 최초의 폼 체인지로 형태는 개인 폼 체인지.

호시카와 류 항목을 참조. 특별히 신체 능력이 강해진 게 아닌 개인 무장으로 갑옷을 입었다는 취급이다

2.2. 지구전대 파이브맨: 파이브 텍터

파일:Five_Tector.jpg
시리즈 사상 최초의 단체 폼 체인지.

37화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소재는 슈퍼 결정 신합금. 양 어깨에 솔더 가드, 정강이에 파워 레거스, 팔에 암 실드가 장착되는 형태이다. 호시카와 가쿠를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져 전신을 감싸는 검은색 프로토타입이 먼저 완성되었다. 호시카와 켄이 이 프로토타입을 먼저 장착해 싸웠으며, 이어지는 38화에서야 전원의 파이브 텍터가 완성되어 동시에 장비하게 된다.

필살기는 광구가 되어 적에게 돌진하는 필살 파이브 텍터.

2.3. 공룡전대 쥬레인저: 드래곤 아머

파일:external/i199.photobucket.com/zyu-ar-armor.jpg
개인 강화 폼이자 전수형 강화 아머. 설정상 범용이 맞지만 극중에서는 드래곤레인저의 기본 장비로 사용되었다.

가슴과 어깨를 감싸는 금색의 보디 아머와 양 팔을 감싸는 암 브레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질은 탈론 메탈. 사용자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모두 상승시켜주며, 정신을 집중시키면 배리어를 발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쥬레인저 멤버 중 선택받은 자에게만 부여되는 장비라는 뒷설정이 있다. 고대 시점에서 잠들기 전에 브라이가 신전에서 강탈했다는 설정.

극중에서는 드래곤레인저가 등장하며 함께 나타나 수주검과 함께 드래곤레인저의 기본 장비처럼 사용된다. 그러던 것이 29화에서 드래곤레인저가 티라노레인저에게 잠시 빌려주는 형태로 넘겨준다. 이후 드래곤레인저가 사망하면서부터는 완전히 티라노레인저 전용 폼 체인지가 된다.

고카이저에서 고카이 실버가 드레곤레인저로 변신한후 티라노레인저로 변신한 고카이레드에게 전수해주는 것으로 재현.

2.4. 전자전대 메가레인저: 메가 텍터

파일:mega-ar-megatector.jpg
시리즈 사상 최초의 극장판 전용 폼 체인지. 형태는 단체 폼 체인지. 전자전대 메가레인저 VS 카레인저에만 등장했다.

2.5. 성수전대 긴가맨: 수장광

파일:수장광.jpg
23화에서 첫 등장. 형태는 단체 폼 체인지.

2.6.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2.7.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2.8.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2.9.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레전드 마지레인저(레전드 매직 레인저)

파일:legend magiranger_.jpg
단체 강화 폼. 기본 폼에서 망토가 사라지며, 가슴 쪽에 레전드 아머와 양 팔과 다리에 황금 프로텍터가 증설된다. 또한 헬멧은 본인들이 거대화하는 마신의 얼굴 형태를 이미지한 장식이 더해진다. 전용 무기는 마법성장 다이얼 로드라는 이름의 긴 스태프.

2.10. 굉굉전대 보우켄저: 엑셀 텍터

파일:attachment/uploadfile/actt.jpg
시리즈 최초의 범용 폼 체인지.

2.11.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슈퍼 게키레인저(슈퍼 와일드 스피릿)

파일:Super_gekiranger.webp
단체 폼 체인지. 초기 멤버 3명만이 사용한다.

2.12. 염신전대 고온저: 하이퍼 고온 레드

시리즈 최초로 V시네마 전용으로 등장한 개인 폼 체인지.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VS 고온저 은막 BANG!!에 등장. 신켄 레드로부터 받은 쿄류 디스크를 만탕건에 장착하여 변신하게 되며, 쿄류 디스크가 쿄류 소울로 변화하여 만탕건에 세트된다. 이 변화한 만탕건을 채찍처럼 휘두르며 싸우게 된다.

2.13.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2.14. 천장전대 고세이저: 슈퍼 고세이저(슈퍼 미라클포스)

파일:TSG-Super_Goseiger.webp
형태는 단체 폼 체인지.

2.15. 해적전대 고카이저

2.16.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파워드 커스텀

파일:Go-Busters_33.webp
형태는 단체 폼 체인지. 프로토타입과 완성타입이 있는데, 프로토타입은 돌아온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VS 동물전대 고버스터즈에서 동물전대의로 재활용.

2.17. 수전전대 쿄류저

2.18. 열차전대 토큐저: 하이퍼 토큐저

파일:Toq-1hyper.png
형태는 범용 폼 체인지.

2.19. 수리검전대 닌닌저

2.20. 동물전대 쥬오우저

2.21. 우주전대 큐레인저

2.22. 쾌도전대 루팡레인저 VS 경찰전대 패트레인저

2.23. 기사룡전대 류소우저

2.24. 마진전대 키라메이저

2.25. 기계전대 젠카이저

2.25.1. 신켄 폼/오렌 폼

형태는 신전사 투카이저 전용 개인 폼 체인지. 캇타나의 신켄 폼, 릿키의 오렌 폼 두 가지로 나뉘어서 사용한다. 게다가 셋트 시, 캇타나 또는 릿키가 일체가 되기 때문에 변신 후 말을 할 때 동시에 말을 한다.

2.25.2. 젠카이쥬 기어

형태는 젠카이저투카이저 전용 개인 폼 체인지. 폼 체인지 아이템은 같으나 폼 체인지한 모습과 무장 및 전투 스타일이 확연히 다르다.

2.26.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2.27. 임금님전대 킹오저

2.28. 폭상전대 분붐저

2.29. 넘버원전대 고쥬저

3. 번외작 폼 체인지

3.1.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

4. 같이 보기

슈퍼전대 시리즈의 폼 체인지 무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 배틀 텍터 - - -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 - - 파이브 텍터 -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드래곤 아머 - - - -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메가 텍터 수장광 - - -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파이어 모드 아바레모드
파이어 아바레모드
아바레 맥스
SWAT 모드
패트라이즈 모드
레전드 마지레인저 엑셀 텍터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슈퍼 게키레인저 - 인로우 마루
쿄류 오리가미
하이퍼 고온 레드
고세이 텐소드 골드 모드
슈퍼 레인저
크로스 아머
36대 37대 38대 39대 40대
파워드 커스텀 암드 온
가브티라 데 카니발
하이퍼 토큐저 초절승부 체인저
닌자격렬도
쥬오우 고릴라
웨일 체인지 건
야성 대해방
41대 42대 43대 44대 45대
페가서스 아머
히카리 큐타마
헤비츠카이 메탈
사소리 오렌지 일각수 암
오오구마 스카이블루
시시 레드 오리온
VS 비클
빅토리 스트라이커
사이렌 스트라이커
용장
강용장
맥스 류소우 체인저
류소우 칼리버
키라풀 고 애로우 신켄 폼
오렌 폼
젠카이쥬 기어
46대 47대
로보타로
오미코시 피닉스
오저 크라운
번외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
무뉴무뉴즈반
}}}}}}}}} ||
슈퍼전대 시리즈의 주인공 폼 체인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14대 16대 22대 27대 28대
파이브 텍터 드래곤 아머 수장광 긴가 레드 아바레 맥스
(다이노 맥스)
초 아바레 맥스
데카 레드 SWAT 모드
(SP 레드 SWAT 모드)

데카 레드 배틀라이즈 모드
프리미어 데카 레드
29대 30대 31대 33대 34대
레전드 마지 레드 엑셀 텍터 슈퍼 게키 레드
(슈퍼 와일드 레드)
슈퍼 신켄 레드
하이퍼 신켄 레드
슈퍼 고세이 레드
(슈퍼 미라클 레드)
35대 36대 37대 38대 39대
크로스 아머

갤리온 아머 모드
레드 버스터 파워드 커스텀
(파워드 레드 버스터)
쿄류 레드 카니발
(레드 다이노 카니발)
가브티라 쿄류 레드
하이퍼 토큐 1호
(하이퍼 트레인 1호)

어둠의 토큐 1호
(어둠의 트레인 1호)

토큐 1호 레인보우
(트레인 1호 레인보우)
아카 닌자 초절
(레드 닌자 엑셀런트)
40대 41대 42대 43대 44대
쥬오우 고릴라
(고릴라 레인저)
쥬오우 웨일
(웨일 레인저)
야생 대해방
페가수스 시시 레드
(페가수스 레오 레드)

타이요 시시 레드
(썬 레오 레드)

시시 레드 문
(문 레오 레드)

시시 레드 오리온
(오리온 레오 레드)
슈퍼 루팡 레드
슈퍼 패트렌 1호
(슈퍼 패트롤 1호)
맥스 류소우 레드
(맥스 소울 레드)
노블레스 류소우 레드
(노블레스 소울 레드)
고 키라메이 레드
45대 46대 47대 48대
슈퍼 젠카이저
키라메키 젠카이저
골돈 젠카이저
돈 로보타로
골돈 모모타로
(골든 레드 피치)
돈 젠카이 모모타로
골돈 모모타로 오저
킹 쿠와가타 오저
(스태그비틀 킹)
골돈 쿠와가타 오저
쿠와가타 오저 카니발
분 레드 119
챔피언 분 레드
번외
아키바레인저
초 아키바 레드
}}}}}}}}} ||



[1] 가장 특이한 케이스는 전자전대 메가레인저 VS 카레인저에만 등장한 메가 텍터.[2] 특정 캐릭터의 주요 에피소드의 경우 당연하다는 듯이 클라이막스에서 사용하게 된다.[3] 주로 신켄 레드가 사용하지만 신켄 골드신켄 그린이 각각 한번씩 사용한 적 있다.[A] 고카이저의 경우 레인저 한 명 당 레인저 키가 한 개씩 있어 색상 관계없이 누구로도 변신할 수 있으며, 젠카이저의 경우 타 전대의 능력만을 가져다 쓴다. 돈브라더즈의 경우 자신과 색상이 같은 전사로만 변신할 수 있으며, 고쥬저의 경우 본인의 색상과 관계없이 무조건 레드로만 변신할 수 있다.[5] 이는 고카이 앵커 키가 고카이셀룰러 뿐만이 아닌 모바이레츠에도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쓰여진 것이다.[6] 금색 도장이 찍힌 가브티라 수전지, 디자인은 기존의 수전지와 같으며 은색 틀만 금색으로 바뀌었다.[7] 명칭만 같지 외형과 능력 등이 전혀 다르므로 단체가 아닌 개인 강화 폼이 맞다.[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