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수학자중 1911년부터 1920년까지 출생한 인물의 목록을 다룬 문서.2. 목록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주요 수상 내역[1] | |
개릿 버코프 | 1911 | 양자 논리, 격자 정리, 영다양체 | ||
프랜시스 조셉 머레이 | 1911 | 교환(Commutation) 정리, 폰 노이만 대수, Affiliated 연산자, 인자 대수 | ||
테오도어 슈나이더 | 1911 | 겔폰트-슈나이더 정리 | ||
윌리엄 테드 마틴 | 1911 | 카메론-마틴 정리 | ||
한스 마스 | 1911 | 코이쳐-마스 급수, 마스 파동 형식, 마스-셀베르그 관계 | ||
에른스트 비트 | 1911 | 비트 대수, 비트 벡터, 비트 환, 부르바키-비트 정리 | ||
가쿠타니 시즈오 | 1911 | 가쿠타니 고정점 정리, 버코프-가쿠타니 정리 | ||
저우웨이량 | 1911 | 저우 환, 저우 정리 | ||
루이스 안토니오 산탈로 소르스[2] | 1911 | 적분 기하학(integral geometry), 블라슈케-산탈로 부등식, 산탈로 공식[3] | ||
천싱선 | 1911 | 천-가우스-보넷 정리, 천-사이먼스 이론, 천-베유 이론, 천 특성류 | 1983 울프상 수학 부문, 2004년 쇼상 수학부문 | |
라파엘 미첼 로빈슨 | 1911 | 로빈슨 산술 | ||
앤서니 페리 모스 | 1911 | MK집합론, 사드-모스 정리, 페더러-모스 정리 | ||
데이비드 핀후소비치 밀만 | 1912 | 크레인-밀만 정리, 밀만-페티스 정리 | ||
레오니트 비탈리예비치 칸토로비치 | 1912 | 선형 계획법, 칸토로비치 정리, 몽주-칸토로비치 운송 문제 | 1975년 노벨경제학상 | |
마르틴 막시밀리안 에밀 아이클러 | 1912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해결에 기여, 아이클러-시무라 동형사상, 아이클러 순서,아이클러 코호몰로지 | ||
도널드 클레이튼 스펜서 | 1912 | 코다이라-스펜서 사상, 살렘-스펜서 집합 | 1948년 보셰 기념상 | |
한스 차센하우스 | 1912 | 슈어-차센하우스 정리, 차센하우스 군, 나비 보조정리 | ||
아서 노턴 밀그램 | 1912 | 럭스-밀그램 정리, 리옹-럭스-밀그램 정리 | ||
앨런 튜링 | 1912 | 튜링 머신, 튜링 테스트, 튜링 패턴, 처치-튜링 명제, 정지 문제, 계산 가능성 이론 | ||
데이비드 가웬 챔퍼나운 | 1912 | 챔퍼나운 수, 챔퍼나운 분포 | ||
티보르 갈라이 | 1912 | 에르도시-갈라이 정리,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갈라이-하세-로이-비타버 정리, 완벽 그래프, 딜워스 정리 | ||
알렉산드르 다닐로비치 알렉산드로프 | 1912 | 알렉산드로프 정리, 알렉산드로프 유일성 정리, 알렉산드로프-펜첼 부등식 | ||
노먼 레빈슨 | 1912 |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 중 1/3 이상이 임계선 위에 있음을 증명 , 레빈슨 재귀 알고리즘, 레빈슨 정리, 레빈슨 부등식 | 1953년 보셰 기념상 | |
카를로 미란다 | 1912 | 푸앵카레-미란다 정리 | ||
프랑수아 샤틀레 | 1912 | 샤틀레-베유 군, 샤틀레 곡면 | ||
루벤 루이스 굿스타인 | 1912 | 굿스타인 정리 | ||
카를 스타인 | 1913 | 스타인 분해(Stein factorization), 스타인 다양체, 렘머트-스타인 정리 | ||
에르되시 팔 | 1913 | 불가촉 수, 소수 정리의 초등적 증명, 약콤팩트 기수, 확률론적 정수론, 확률론적 방법 외 다수 | 195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1984년 울프상 수학 부문 | |
오스왈드 타이히뮐러 | 1913 | 타이히뮐러 공간 | ||
랄프 사울 필립스 | 1913 | 럭스-필립스 산란 이론, p는 소수이고 [math(p\equiv 1\left(\text{mod}\,4\right))]일때 무한히 많은 (p+1) 정규 라마누잔 그래프를 구성함 | ||
이즈라일 겔판트 | 1913 | 겔판트 표현, 겔판트-마주르 정리,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 c*대수, 겔판트-라이코프-실로프 정리 | 1978년 울프상 수학 부문 | |
빌리 제임스 페티스 | 1913 | 겔판트-페티스 적분, 페티스 정리, 밀만-페티스 정리, 던포드-페티스 정리, 오를리츠-페티스 유형 정리 | ||
사무엘 에일렌베르크 | 1913 | 범주론 창시, 막대 복합체,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에일렌베르크-스틴로드 공리, 리 대수 코호몰로지 | 1986년 울프상 수학 부문 | |
안제이 모스토프스키 | 1913 | 모스토프스키 붕괴 정리, 모스토프스키 모형, 기울기(Gradient) 추측 증명 | ||
리처드 라이블러 | 1914 | 쿨백-라이블러 발산(Kullback–Leibler divergence), 상대 엔트로피(relative entropy) | ||
리오니더스 앨러오글루 | 1914 | 바나흐-앨러오글루 정리 | ||
월터 휴고 스톡마이어 | 1914 | 플로리-스톡마이어 이론(Flory–Stockmayer theory) | ||
리프만 버스 | 1914 | Bers slice, 버스 조밀성 추측, 버스 영역 부등식, 버스 콤팩트화, 유사 해석함수 | ||
흐리스토스 디미트리우 파파키리아코풀로스 | 1914 | 덴의 보조정리 증명, 루프 정리, 구(Sphere) 정리(3차원 다양체) | 1964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 |
마크 카츠 | 1914 | 에르되시-카츠 정리, 파인만-카츠 공식, 확률론적 정수론 | ||
R.H.(아르에이치) 빙 | 1914 | 빙 거리화 정리, 빙 축소, 측면 근사 정리 | ||
마틴 가드너 | 1914 | 항목 참조 | ||
조지 버나드 댄치그 | 1914 | 선형 계획법, 단체법 | ||
로버트 파머 딜워스 | 1914 | 딜워스 정리 | ||
아서 노먼 프라이어 | 1914 | 하이브리드 논리, 프라이어 시제논리 | ||
유리 블라디미로비치 린닉 | 1915 | 린닉 정리, 큰 체(Large sieve), 린닉 에르고딕 방법 | ||
리처드 웨슬리 해밍 | 1915 | 해밍 부호, 해밍 거리, 해밍 무게, 해밍 창문 함수 | 1968년 튜링상 | |
고다이라 구니히코 | 1915 | 고다이라-스펜서 사상, 엔리퀘스-고다이라 분류, 고다이라 소멸 정리, 고다이라 차원, 고다이라 소멸 정리 | 1954년 필즈상, 1984~1985년 울프상 수학 부문 | |
모리타 기이치 | 1915 | 모리타 동치, 모리타 쌍대, 모리타 정리 | ||
귀스타브 쇼케 | 1915 | 쇼케 게임, 쇼케 적분, 쇼케 이론 | ||
해롤드 네빌 바질 템퍼리[4] | 1915 | 탬퍼리-리브 대수(Temperley–Lieb algebra), FKT 알고리즘 | ||
로랑 슈바르츠 | 1915 | 함수와 확률 분포을 일반화한 '분포 이론', 슈바르츠 커널 정리, 슈바르츠 공간 | 1950년 필즈상 | |
라슬로 페예 토스[5] | 1915 | 이산 기하학 토대 마련, 투에 정리의 일반화, 케플러의 추측 해결에 기여 | ||
폴 로렌젠 | 1915 | 게임 의미론, 구성주의 해석학 | ||
카리 카루넨[6] | 1915 | 카루넨-루에브(Karhunen–Loève)정리, Functional data analysis[7] | ||
게르하르트 파울 호흐실트 | 1915 |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호흐실트-모스토 군 | ||
필립 하트먼 | 1915 | 하트먼-그로브먼(Hartman–Grobman) 정리 | ||
이토 기요시 | 1915 | 확률미적분학 창시, 이토 적분, 이토 확률 과정, 이토 보조정리, 이토 등거리변환 | 1987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06년 가우스상 | |
로버트 알렉산더 랭킨 | 1915 | 랭킨-셀베르그 방법, 랭킨-코헨 괄호 | ||
폴 리처드 핼모스 | 1916 | Polyadic 대수(핼모스 대수), 모나딕 불 대수 | ||
클로드 섀넌 | 1916 | 디지털 회로, 통신 이론, 정보 이론 창시, 정보 엔트로피, 합성 암호 | ||
허버트 알렉산더 사이먼 | 1916 | 인공지능, 정보 처리 언어, 일반 문제 해결기 | 1975년 튜링상, 1978년 노벨경제학상 | |
아서 해롤드 스톤[8] | 1916 | 에르되시-스톤 정리[9], 플렉사곤(Flexagon)[10] | ||
로저 아페리 | 1916 | 아페리 상수, 아페리 정리 | ||
존 리로리 켈리 | 1916 | MK 집합론 | ||
그레이엄 히그먼 | 1917 | 히그먼 군, 홀-히그먼 정리, 히그먼 매장 정리, 히그먼 보조정리, HNN 확장 | ||
윌리엄 카뤼시 | 1917 | 카뤼시-쿤-터커 조건 | ||
어빙 커플랜스키 | 1917 | 커플랜스키 밀도 정리, 커플랜스키 정리, 힐베르트 C* 가군, 무한 4목, 요르단 초대수(superalgebras) | ||
윌리엄 토머스 텃 | 1917 | 텃 다항식, 텃 정리, 텃 호모토피 정리, 텃 매장, 텃-베르게 공식, BEST[11] 정리 | ||
에드워드 노턴 로렌즈 | 1917 | 나비 효과, 로렌즈 방정식, 로렌즈 끌개 | ||
아틀레 셀베르그 | 1917 | 소수 정리의 초등적 증명, 셀베르그 클래스, 셀베르그 체(sieve), 셀베르그 대각합 공식, 셀베르그 제타 함수 | 1950년 필즈상, 1986년 울프상 수학 부문 수상, 2002년 명예 아벨상[12] | |
도로시 마하람 스톤 | 1917 | 마하람 정리, 마하람 대수 | ||
가토 토시오 | 1917 | 가토의 추측, 가토 평활 효과(Kato smoothing effect), 가토-렐리치(kato-Rellich) 정리, 하인즈-가토(Heinz–Kato) 부등식 | ||
이와사와 켄키치 | 1917 | 이와사와 이론, 이와사와 분해, 이와사와 대수 | 196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
샤라드찬드라 샹카르 슈리칸데[13] | 1917 | 슈리칸데 그래프, n에 대해서 order가 4n+2인 두 개의 상호 직교 라틴 방진이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 | ||
레너드 지미 새비지 | 1917 | 최소극대화 후회, 주관적 기대효용 | ||
로저 코넌트 린든 | 1917 | 크레이그-린든 보간 정리, 린든-호흐실트-세르 스펙트럼 열, 커티스-헤들런드-린든 정리, 린든 워드(Lyndon word) | ||
어빈 솔 코언 | 1917 | 코언-세이덴버그 정리, 코언-매콜리 환, 코언 구조 정리, 비혼합(unmixedness) 정리, 코언 환 | ||
니콜라스 고베르트 드 부루인 | 1918 | 드 브루인 수열, 드 브루인 인덱스, 모저-드 브루인 수열, 드 브루인-뉴먼 상수, BEST 정리 | ||
어빙 에즈라 시걸 | 1918 | c* 대수 | ||
에이브러햄 로빈슨 | 1918 | 비표준 해석학 창시, 초실수 | ||
윌리엄 크레이그 | 1918 | 크레이그-린든 보간 정리, 크레이그 정리 | ||
레오니트 미르스키 | 1918 | 미르스키 정리, 미르스키-뉴먼 정리 | ||
에드윈 에바리스트 모이스 | 1918 | 모이스(Moise) 정리 | ||
네이선 만텔 | 1919 | 로그순위법, 만텔 테스트 | ||
알렉세이 바실레비치 포고레로프 | 1919 | 알렉산드로프-포고레로프 정리, 포고레로프 유일성 정리, 대칭공간의 경우에 대하여 힐베르트의 네 번째 문제 해결, 유클리드 공간에서 다차원 민코프스키 문제 해결 | ||
데이비드 해롤드 블랙웰 | 1919 | 라오-블랙웰 정리, 블랙웰 채널, arbitrarily varying channel | ||
우원쥔 | 1919 | 우 특성류, 우 공식, 우원쥔의 characteristic set 방법 | 2006년 쇼상 수학부문 | |
블라디미르 아브라모비치 로흘린 | 1919 | 로흘린 정리, 르베그-로흘린 공간, 카쿠타니-로흘린 보조정리, 로흘린 분할 | ||
제임스 하디 월킨슨 | 1919 | 월킨슨 행렬, 월킨슨 다항식, 후방 오류 분석(Backward error analysis) | 1970년 튜링상 | |
게르하르트 링겔 | 1919 | 히우드(Heawood) 추측 증명(링겔-영스 정리) | ||
마구누스 웨닝거 | 1919 | 웨닝거의 다면체 모델 목록[14] | ||
줄리아 홀 보먼 로빈슨 | 1919 | 힐베르트의 열번째 문제 해결(MRDP 정리) | ||
에른스트 폴 스페커 | 1920 | 베어-스페커 군, 스페커 수열, 코헨-스페커 정리 | ||
뱌르니 욘손[15] | 1920 | 욘손-타르스키 쌍대성, 욘손-타르스키 대수, 욘손 대수, 욘손 기수, 욘손 보조정리 | ||
구보 료고 | 1920 | 구보-마틴-슈윙거 상태, 그린-구보 관계, 구보의 공식, 운동의 계층적 방정식(Hierarchical equations of motion) | ||
아즈마야 고로 | 1920 | 아즈마야 대수, 헨젤 환 | ||
존 마이클 해머슬리 | 1920 | 해머슬리 집합, 해머슬리-클리포드 정리, 헤머슬리 소파(Hammersley sofa), 소파 옮기기 문제[16]에서 소파 상수의 상한인[math(2\sqrt{2} \approx 2.8284)]와 소파 상수의 하한인 [math(\frac{\pi}{2}+\frac{2}{\pi}\approx2.2074)]을 찾음 | ||
예르지 워시[17] | 1920 | 워시 정리, 워시-보트 테스트, 초실수 체계에서 Transfer principle 증명 | ||
레스터 더빈스 | 1920 | 더빈스-스파니에 정리, 더빈스 경로 | ||
니콜라스 헨드릭 니코 카위퍼르 | 1920 | 카위퍼르 판정법, 카위퍼르 정리 | ||
허버트 페더러 | 1920 | 기하 측도론, coarea 공식, integral currents, 페더러-모스 정리 | ||
리처드 어니스트 벨먼 | 1920 | 동적 계획법, 확률 동적 계획법, 벨먼 방정식, 선형 검색 문제 | ||
칼리암푸디 라다크리슈나 라오 | 1920 | 크라메르-라오 하한, 직교 배열, 스코어 테스트, 라오-블랙웰 정리 | 2023년 국제 통계학상 | |
알베르토 페드로 칼데론 | 1920 | 코시 문제의 해가 유일성을 가짐을 증명, Calderón projector, 칼데론-지그문트 보조정리, 칼데론-지그문트 커널, 칼데론-지그문트 분해 | 1979년 보셰 기념상, 1989년 울프상 수학 부문 |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2] Luis Antonio Santaló Sors[3] https://en.wikipedia.org/wiki/Santal%C3%B3%27s_formula[4] Harold Neville Vazeille Temperley[5] László Fejes Tóth[6] Kari Karhunen[7] https://en.wikipedia.org/wiki/Functional_data_analysis[8] 그의 아내 또한 수학자로 마하람 대수로 알려진 도로시 마하람이다.[9] https://en.wikipedia.org/wiki/Erd%C5%91s%E2%80%93Stone_theorem[10] https://en.wikipedia.org/wiki/Flexagon[11] de Bruijn, van Aardenne-Ehrenfest, Cedric Smith, William Thomas Tutte[12] 아벨상은 원래 닐스 헨리크 아벨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2002년부터 수상을 시작하려고 했고 아틀레 셀베르그는 2002년에 명예 아벨상을 받았지만 실제 아벨상의 수상은 2003년 부터 시작했다.[13] Sharadchandra Shankar Shrikhande[14] https://ko.wikipedia.org/wiki/%EC%9B%A8%EB%8B%9D%EA%B1%B0_%EB%8B%A4%EB%A9%B4%EC%B2%B4_%EB%AA%A8%EB%8D%B8%EC%9D%98_%EB%AA%A9%EB%A1%9D[15] Bjarni Jónsson[16] https://ko.wikipedia.org/wiki/%EC%86%8C%ED%8C%8C_%EC%98%AE%EA%B8%B0%EA%B8%B0_%EB%AC%B8%EC%A0%9C[17] Jerzy Ło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