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수학자중 1901년부터 1910년까지 출생한 수학자들의 목록을 다룬 문서.2. 목록
이름 | 출생 년도 | 주요 업적 | 주요 수상 내역[1] |
알프레트 타르스키 | 1901 | TG 집합론[2] ,타르스키의 정의 불가능성 정리,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무한 논리, 원통 대수(Cylindric algebra) 외 다수 | |
리하르트 다고베르트 브라우어 | 1901 | 브라우어 군, 브라우어 대수, 브라우어-파울러 정리, 브라우어-스즈키 정리, 알페린-브라우어-고렌스타인 정리 외 다수 | 1949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오토 슈라이어 | 1901 | 아틴-슈라이어 이론, 닐센-슈라이어 정리, 슈라이어 추측, 슈라이어 보조 정리 | |
수바야 시바산카라나라야나 필라이[3] | 1901 | 필라이 추측, 필라이 산술 함수, 필라이 소수, 필라이 수열 | |
오카 기요시 | 1901 | 오카 연접성 정리, 쿠쟁 문제 해결, 오카 보조정리, 레비 문제 해결 | |
라지 찬드라 보스 | 1901 | 결합도식, 보스-메스너 대수, 강한 정규 그래프 | |
세묜 아라노비치 게르시고린[4] | 1901 | 게르시고린 정리 | |
표트르 세르게예비치 노비코프[5] | 1901 | 경계 번사이드 문제, 노비코프-아디안 정리, 노비코프-분 정리 | |
쿠르트 오토 프리드리히 | 1901 | 쿠란트-프리드리히-레비 조건, 프리드리히 확장, 럭스-프리드리히 방법 | |
이자도어 미첼 셰퍼 | 1901 | 셰퍼 다항식열 | |
카를 멩거 | 1902 | 멩거 스펀지, 케일리-멩거 행렬식, 멩거 정리 | |
레오나르드 헨리 칼레브 티페트 | 1902 | 극단치 이론, 피셔-티페트-게네덴코 정리, 난수 테이블 | |
카밀로 허버트 그로츠슈[6] | 1902 | 그로츠슈 그래프, 준등각 사상 | |
라인홀드 베어 | 1902 | 베어 군, 베어 환, 단사 가군, 베어-스즈키 정리, 베어-스페커 군, Ext 함자 | |
폴 에이드리언 모리스 디랙 | 1902 | 디랙 방정식, 반물질, 디랙 델타 함수, 음의 확률(Negative probability)[7] | 1933년 노벨 물리학상 |
한스 페터슨 | 1902 | 페터슨 내적, 라마누잔-페터슨 추측 | |
에른스트 파스쿠알 요르단 | 1902 | 요르단 대수 | |
아브라함 왈드 | 1902 | 왈드 테스트, 왈드 방정식, 생존자 편향 오류 | |
바르털 레인더르트 판데르바르던 | 1903 | 판데르바르던 정리, 판데르바르던 수, 판데르바르던 추측 | |
베니아미노 세그레[8] | 1903 | 세그레 정리, 세그레 클래스, 세그레 곡면, 세그레 매장 | |
프랭크 램지 | 1903 | 램지 이론, 램지의 정리, 단순 유형이론(Theory of simple types), 램지-루이스 방법 | |
패트릭 뒤발 | 1903 | 뒤발 특이점, 59개의 이십면체 목록작성[9] | |
마셜 하비 스톤 | 1903 | 스톤-체흐 콤팩트화, 스톤-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스톤-폰노이만 정리 | |
오렐 프리드리히 윈트너 | 1903 | 확률론적 정수론, 제센-윈트너 정리, 위너-윈트너 정리, 에르되시-윈트너 정리 | |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콜모고로프 | 1903 | 공리적 확률론, 콜모고로프 복잡도, KAM 정리, 힐베르트의 13번 문제 해결, 푸리에 급수가 거의 모든 곳에서 발산하는 L 1 의 함수 예를 구성 외 다수 | 1980 울프상 수학 부문 |
브와디스와프 로마 오를리츠 | 1903 | 오를리츠-페티스 정리, 오를리츠 공간 | |
알론조 처치 | 1903 | 람다대수, 처치-튜링 명제, 처치-로서 정리, 계산 가능성 이론 | |
윌리엄 밸런스 더글러스 호지 | 1903 | 호지 추측, 호지 이론, 호지 쌍대, 호지 지표 정리 | |
쿠르트 말러 | 1903 | 말러 정리, 말러 콤팩트성 정리 | |
조르주 드 람 | 1903 | 드람 코호몰로지, 드람 정리 | |
존 폰 노이만 | 1903 | 폰 노이만 대수, 폰 노이만 구조, 게임 이론, 폰노이만 에르고딕 정리, 연속 기하학 | 1938년 보셰 기념상 |
레나토 카치오폴리 | 1904 | 카치오폴리 집합, 바나흐-카치오폴리 고정점 정리 | |
필립 홀 | 1904 | 홀 대수, 홀의 결혼 정리, 홀 다항식 | |
아돌프 린덴바움 | 1904 | 린젠바움-타르스키 대수, 린덴바움 보조정리 | |
앙리 폴 카르탕 | 1904 | 카르탕 정리, 베유 대수, 카르탕-툴렌 정리, 카르탕 보조정리, 필터[10] | 1980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도널드 올딩 헵 | 1904 | Hebbian theory[11] | |
카를 헤센베르크 | 1904 | 헤센베르크 정리, 헤센베르크 행렬 | |
한스 레비 | 1904 | 레비의 예, 쿠란트-프리드리히-레비 조건 | 1984~1985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존 화이트헤드 | 1904 | 화이트헤드 다양체, 스파니에-화이트헤드 쌍대성, 화이트헤드 정리 | |
모제스 프레스버거 | 1904 | 프레스버거 산술 | |
스타니스와프 메이치스와프 마주르 | 1905 | 바나흐-마주르 정리, 겔판트-마주르 정리, 마주르-울람 정리 | |
레프 겐리호비치 시니렐만 | 1905 | 시니렐만 밀도,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범주, 류스테르니크-시니렐만 정리 | |
칼 구스타프 헴펠 | 1905 | 헴펠의 까마귀 | |
루트 무팡 | 1905 | 무팡 고리, 무팡 평면, 무팡 다각형 | |
데릭 헨리 레머 | 1905 | 레머의 추측, 레머 수열, 뤼카-레머-리젤 소수판별법 | |
샤를 에레스만 | 1905 | 에레스만 접속, 에레스만 올뭉치(fibration) 정리, 제트[12], 스케치[13] | |
알브레히트 오토 요하네스 운죌트 | 1905 | 운죌트 정리 | |
모리츠 베르너 펜첼 | 1905 | 르장드르-펜첼 변환, 펜첼 쌍대 정리, 펜첼의 정리 | |
카롤 보르수크 | 1905 | 보르수크-울람 정리, 변형 수축 | |
로렌스 치숌 영 | 1905 | 바리폴드, 영 측도, 영 적분 | |
한스 프로이덴탈 | 1905 | 프로이덴탈 현수 정리, 프로이덴탈 스펙트럼 정리, 프로이덴탈 대수 | |
헨리 베르톨드 만 | 1905 | 시니렐만-란다우 추측 증명(만의 정리), 만-휘트니 U 검정, 만-왈드 정리 | 1946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에이브러햄 에이드리언 앨버트 | 1905 | 앨버트 대수, 앨버트-브라우어-하세-뇌터 정리 | 1939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
앨버트 윌리엄 터커 | 1905 | 터커 보조정리, 카루시-쿤-터커 조건, 죄수의 딜레마[14] | |
에마누엘 슈페르너 | 1905 | 슈페르너 정리, 슈페르너 보조정리 | |
그레이스 호퍼 | 1906 | 코볼, 컴파일러, 버그를 최초로 입증 | |
그리고리 콘스탄틴 모이실 | 1906 | 우카시예비치-모이실 대수, 드 모르간 대수 | |
에리히 켈러 | 1906 | 켈러 미분, 켈러 다양체 | |
스타니스와프 야스코프스키[15] | 1906 | 모순허용논리의 형식체계를 구축 | |
쿠르트 괴델 | 1906 |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괴델의 완전성 정리, 구성 가능 전체, 연속체 가설이 ZFC 공리계에서 반증할 수 없음을 증명, NBG 집합론 | |
리하르트 라도 | 1906 | 라도 그래프, 해바라기, 무한 매트로이드 | |
앙드레 베유[16] | 1906 | 베유 추측, 모델-베유 정리, 보렐-베유-보트 정리, 하세-베유 제타 함수, 베유-페터슨 계량 | 1979 울프상 수학 부문 |
막스 아우구스트 초른 | 1906 | 초른의 보조정리 | |
브루노 데 피네티 | 1906 | 예측 추론(Predictive inference), 데 피네티(de Finetti) 정리, 무한 가분성(Infinite divisibility), 데 피네티 다이어그램 | |
장 알렉상드르 외젠 디외도네 | 1906 | 파라콤팩트 공간, 디외도네 환, 디외도네-마닌 분류 정리 | |
윌리엄 펠러[17] | 1906 | 펠러 과정, 펠러 연속 과정, 펠러-미야데라-필립스 정리(Feller-Miyadera-Phillips theorem), 펠러-토르니어 상수, 펠러의 동전 던지기 상수 | |
넬슨 굿맨 | 1906 | 귀납의 새로운 수수께끼, 반사실적 조건문, 반성적 평형 | |
제프리 찰스 퍼시 밀러 | 1906 | 밀러의 괴물[18], 밀러의 재귀 알고리즘, 고른 다면체 목록 | |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티호노프 | 1906 | 우리손 거리화 정리 증명, 티호노프 정리, 티호노프 공간, 티호노프 정칙화 | |
프란츠 렐리히[19] | 1906 | 렐리히-콘드라초프(Rellich-Kondrachov) 정리, 가토-렐리히 정리 | |
알렉산드르 겔폰트 | 1906 | 겔폰트-슈나이더 정리 | |
장 르레 | 1906 | 스펙트럼 열, 르레 덮개, 층(Sheaf) 이론, 층 코호몰로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약한 해(Weak solution)의 존재성 증명 | 1979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넬슨 제임스 던포드 | 1906 | 던포드-페티스 정리, 던포드-페티스 성질, 던포드-슈원츠 정리 | |
레이몬드 에드워드 앨런 크리스토퍼 페일리 | 1907 | 리틀우드-페일리 이론, 페일리 그래프, 페일리-위너 정리,페일리-지그문트 부등식 | |
미셸 루에브[20] | 1907 | 카루넨-루에브(Karhunen–Loève) 정리 | |
해럴드 스콧 맥도널드 콕서터 | 1907 | 콕서터 군, 콕서터 다이어그램, 콕서터-토드 격자 | |
해슬러 휘트니 | 1907 | 매트로이드, 특성류, 휘트니 부등식 | 1983년 울프상 수학 부문 |
마르크 그리고리예비치 크레인 | 1907 | 크레인-밀만 정리, 크레인 공간, 타나카-크레인 쌍대성 | 1982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솔로몬 쿨백 | 1907 | 쿨백-라이블러 발산(Kullback–Leibler divergence), 상대 엔트로피(relative entropy) | |
라르스 발레리안 알포르스 | 1907 | 알포르스 유한 정리, 알포르스 측도 추측, 당주아-칼레만-알포르스 정리 | 1936년 필즈상, 1981년 울프상 수학 부문 |
존 플린더스 페트리 | 1907 | 페트리 다각형, 페트리 쌍대 | |
헤르베르트 카를 요하네스 자이페르트 | 1907 |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 자이페르트 올공간, 자이페르트 곡면 | |
앨버트 찰스 쉐퍼 | 1907 | 듀핀-쉐퍼 추측 | 1948년 보셰 기념상 |
주로 쿠레파 | 1907 | 아론샤인 나무, 쿠레파 나무, 수슬린 나무 | |
피터 툴렌 | 1907 | 2차원 유계 라인하르트 정의역의 분류 | |
빌헬름 오토 루드비히 스펙트 | 1907 | 스펙트 정리, 스펙트 가군 | |
해롤드 데이븐포트 | 1907 | 데이븐포트-슈미트 정리, 데이븐포트-에르되시 정리, 하세-데이븐포트 관계 | |
존 바클리 로서 | 1907 | 처치-로서 정리, 로서의 정리(정수론), 로서의 트릭, 클레이니-로서 역설, 로서의 체(sieve) | |
아이버 말콤 해든 이더링턴 | 1908 | 유전 대수학(Genetic algebra) | |
자크 에르브랑 | 1908 | 에르브랑 정리, 에르브랑-리벳 정리, 에르브랑 몫 | |
에흐베르튀스 뤼돌프 판 캄펀 | 1908 | 자이페르트-판 캄펀 정리, 폰트랴긴 쌍대성 일반화 | |
윌러드 밴 오먼 콰인 | 1908 | 콰인의 번역 불확정성 논제, 새 기초론(New Foundations), 술어 함자 논리, 콰인-매클러스키 알고리즘, 뒤엠-콰인 논제 | |
에버트 윌렘 베스 | 1908 | 베스의 정의 가능성, semantic tableaux | |
존 아서 토드 | 1908 | 토드 특성류, 콕서터-토드 격자, 슈발레-셰퍼드-토드 정리, 토드-콕서터 알고리즘 | |
레프 세묘노비치 폰트랴긴 | 1908 | 폰트랴긴 쌍대성, 폰트랴긴 특성류, 보충 경계, 폰트랴긴 최대 원리 | |
프레더릭 브렌턴 피치 | 1908 | 피치 표기법[21], 피치의 인식 가능성의 역설 | |
세르게이 리보비치 소볼레프 | 1908 | 소볼레프 공간, 분포 | |
한스 아놀드 하일브론 | 1908 | 데이븐포트-하일브론 방법, 하일브론 집합, 듀링-하일브론 현상, 가우스 추측 증명 | |
휴고 하드비거[22] | 1908 | 하드비거 추측[23], 하드비거 정리, 핀슬러-하드비거 정리 | |
타나카 타다오 | 1908 | 타나카-크레인 쌍대성, Tannakian formalism | |
로버트 호튼 카메론 | 1908 | 카메론-마틴 정리 | |
스티븐 콜 클레이니 | 1909 | 정규 표현식, 클레이니 스타, 클레이니-로서 역설, 계산 가능성 이론 | |
요시다 코사쿠 | 1909 | 힐레-요시다 정리(Hille–Yosida theorem) | |
클로드 슈발레 | 1909 | 아델 환, 리 대수 코호몰로지, 슈발레 군, 슈발레 스킴 | 194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
스타니스와프 마르친 울람 | 1909 | 보르수크-울람 정리, 몬테카를로 방법, 가측 기수, 마주르-울람 정리 | |
에두아르드 슈티펠 | 1909 |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특성류, 슈티펠 다양체 | |
손더스 매클레인 | 1909 | 범주론,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막대 복합체, 매클레인 집합론 | |
베른하르트 헤르만 노이만 | 1909 | 페트르-더글라스-노이만 정리, 한-말체프-노이만 급수, HNN 확장, 군의 절대 표시, 모저-노이만 질문 | |
아나톨리 이바노비치 말체프 | 1909 | 말체프 대수, 비가산의 경우의 콤팩트성 정리 증명, 영다양체 | |
게르하르트 카를 에를리히 겐첸 | 1909 | 초한 귀납법을 이용해 페아노 공리의 일관성 증명, 시퀀트 계산, 자름-제거 정리, 자연 연역 | |
마르크 아로노비치 나이마르크 | 1909 | 겔판트-나이마르크 정리, 나이마르크 확장 정리, c*대수 | |
섬너 바이런 마이어스 | 1910 | 마이어스 정리, 마이어스-스틴로드 정리 | |
조지프 리오 두브 | 1910 | 두브 분해 정리, 두브 마팅게일, 두브의 선택 샘플링 정리 | |
클라우스 바그너 | 1910 | 바그너 정리, 바그너 그래프 | |
노먼 얼 스틴로드 | 1910 | 스틴로드 제곱, 스틴로드 대수, 에일렌베르크-스틴로드 공리, 스틴로드 호몰로지 | |
프리츠 존 | 1910 | 뢰브너-존 타원체, 존의 방정식, 존-니런버그 부등식, Bounded mean oscillation, X-ray 변환(존 변환) | |
폴 존 플로리 | 1910 | 플로리-스톡마이어 이론(Flory–Stockmayer theory), 자기 회피 걷기(self-avoiding walk), 플로리-폭스 방정식, 플로리-허긴스 이론 | 1974년 노벨 화학상 |
로타르 콜라츠 | 1910 | 콜라츠 추측 | |
투란 팔 | 1910 | 투란 그래프, 투란 정리, 투란 체, 투란-쿠빌리우스 부등식, 에르되시-투란 부등식, 투란의 벽돌 공장 문제 | |
존 윌리엄 시어도어 영스 | 1910 | 히우드(Heawood) 추측 증명(링겔-영스 정리) | |
피에르 에티엔 베지에 | 1910 | 베지에 곡선, 베지에 곡면 | |
네이선 제이콥슨 | 1910 | 제이콥슨 근기, 제이콥슨 환, 제이콥슨 추측, 제이콥슨 밀도 정리, 제이콥슨-부르바키 정리 | |
자히트 아르프[24] | 1910 | 아르프 불변량, 하세-아르프 정리, 아르프 환 | |
화뤄겅 | 1910 | 화 보조정리(Hua's lemma), 화의 정리(Hua's theorem), 카르탕-브라우어-화 정리 |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2] TG 집합론은 타르스키와 그로텐디크가 만들었다[3] Subbayya Sivasankaranarayana Pillai[4] Semyon Aronovich Gershgorin[5] 필즈상 수상자 세르게이 페트로비치 노비코프의 아버지이다.[6] Camillo Herbert Grötzsch[7] https://en.wikipedia.org/wiki/Negative_probability[8] 코라도 세그레의 조카이다.[9] https://en.wikipedia.org/wiki/The_Fifty-Nine_Icosahedra[10] https://ko.wikipedia.org/wiki/%ED%95%84%ED%84%B0_(%EC%88%98%ED%95%99)[11] https://en.wikipedia.org/wiki/Hebbian_theory[12]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D%8A%B8_(%EC%88%98%ED%95%99)[13] https://en.wikipedia.org/wiki/Sketch_(mathematics)[14] 메릴 플루드와 멜빈 드레셔가 개발한 게임에 오늘날 유명해진 "죄수의 딜레마"라는 이름을 붙인 장본인[15] Stanisław Jaśkowski[16] 니콜라 부르바키의 초기 리더였으며 철학자 시몬 베유의 오빠이다. 오늘날 필즈상의 나이 제한은 1950년 당시 필즈상 후보였던 앙드레 베유를 빼고 로랑 슈바르츠 넣기 위해서 하랄드 보어가 당시 43세였던 앙드레 베유를 빼면서 지난 수상자의 나이를 포함하고 슈바르츠에게 상을 줄 수 있는 나이로 제안했고 이때부터 만 40세 이하의 젊은 수학자라는 기준이 생겼다[17] William Feller[18] https://en.wikipedia.org/wiki/Great_dirhombicosidodecahedron[19] Franz Rellich[20] 2년마다 45세 미만의 확률론에 뛰어난 공헌을 한 수학자에게 주는 루에브(Loève) 상[25]은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21] https://en.wikipedia.org/wiki/Fitch_notation[22] Hugo Hadwiger[23] https://en.wikipedia.org/wiki/Hadwiger_conjecture_(graph_theory)[24] 10 터키 리라 지폐의 주인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