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2:23:40

송호근

<colbgcolor=#1851a5><colcolor=#fff> 한림대학교 석좌교수
송호근
宋虎根|Song Ho-keun
<nopad> 파일:송호근원장.jpg
출생 1956년 1월 4일 ([age(1956-01-04)]세)
경상북도 영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현직 한림대학교 도헌학술원 원장
한림대학교 석좌교수
학력 서울중학교 (졸업)
서울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 석사)[1]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 박사)
경력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
유엔인권정책센터 이사장
서울대학교 대외협력본부 본부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과장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소장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교수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부교수
하버드 대학교 국제문제센터 연구원
하버드 대학교 연경연구소 연구원
육군사관학교 전임강사

1. 개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교수.
1956년 1월 4일생으로 경북 영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를 마쳤다. 1989년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 임용돼 학과장과 사회발전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1998년 스탠퍼드대 후버연구소 방문 교수, 2005년 캘리포니아대(샌디에이고) 초빙교수를 지냈다. 서울대학교 석좌교수,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석좌교수를 지냈다. 2022년 한림대 도헌학술원 원장과 석좌교수로 부임하였다. 감사원 자문위원장, 유엔인권센터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중앙일보 칼럼니스트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인의 기원을 밝힌 탄생 3부작: [인민의 탄생: 공론장의 구조변동](2011), [시민의 탄생: 조선의 근대와 공론장의 지각변동](2013), [국민의 탄생: 식민지 공론장의 구조변동](2020)이 있다. 그밖에 [적대정치 엔솔러지](2025), [지성의 몰락](2023), [정의보다 더 소중한 것](2021), [혁신의 용광로](2018), [가 보지 않은 길](2017), [기업시민의 길] (공편, 2019), [나는 시민인가](2015), [그들은 소리내 울지 않는다](2013), [이분법 사회를 넘어서](2012), [위기의 청년세대](2010), [독안에서 별을 헤다] (2009), [복지국가의 태동: 민주화, 세계화, 그리고 한국의 복지정치](2006), [한국의 평등주의, 그 마음의 습관](2005), [한국 어떤 미래를 선택할 것인가?](2005), [한국사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2003) 등 40여 편이 있다. 또한 소설 [강화도](2017), [다시, 빛 속으로](2018), [연해주](2024)를 출간했다. 한림대 일송상(2013), 이병주 국제문학상 (2017), 지훈학술상(2024) 등을 수상했다.


[1] 석사 학위 논문: Substantive wissenssoziologie 理論의 定立을 위한 基礎硏究 : Karl Mannheim 知識社會學의 批判을 中心으로(198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