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7:06:53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1차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79c2><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자치구|{{{#ffffff 자치구}}}]]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자치군
강화군 옹진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79c2><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rowcolor=#fff> 순위 명칭 위치 층수 높이 완공 비고
<colbgcolor=#0079c1><colcolor=#fff> 1위 포스코타워-송도[1]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65층 305 m 2011년[2]
2위 송도 더샵 퍼스트월드 1동 64층 236.6 m 2009년
송도 더샵 퍼스트월드 3동
송도 더샵 퍼스트월드 4동
송도 더샵 퍼스트월드 6동
3위 송도 아트윈 푸르지오 101동 60층 208 m 2015년
송도 아트윈 푸르지오 102동
4위 힐스테이트 송도 더스카이 103동 59층 199.45m 2024년 5월
5위 청라 더샵 레이크파크 451동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58층 193.39 m 2013년
6위 용현 엑슬루타워 103동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55층 192 m 2011년
7위 청라 엑슬루타워 A동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190m
청라 엑슬루타워 B동
8위 청라 푸르지오 361동 58층 189.72 m 2013년
9위 학익 엑슬루타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 53층 189 m 2010년
10위 힐스테이트 송도 더스카이 104동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56층 188.05m 2024년 5월
11위 에코메트로 9 905동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고잔동 50층 188 m 2011년
12위 롯데캐슬 캠퍼스타운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55층 186.6 m 2016년
13위 송도 포스코 E&C 센터 1동 39층 185 m 2011년
송도 포스코 E&C 센터 2동
14위 에코메트로 3차 더 타워 A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51층 178.6 m 2013년
15위 힐스테이트 송도 더스카이 102동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51층 178m 2024년 5월
16위 에코메트로 9 904동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고잔동 47층 177 m 2011년
17위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2차 203동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49층 174.61m 2011년
18위 힐스테이트 송도 더스카이 201동 51층 171.9m 2024년 5월
19위 에코메트로 3차 더 타워 B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48층 171.6 m 2013년
20위 청라 롯데캐슬 201동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50층 171.39 m
21위 힐스테이트 송도 더스카이 101동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49층 169.49m 2024년 5월
22위 에코메트로 3차 더 타워 C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46층 165.39 m 2013년
23위 청라 엑슬루타워 C동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47층 162.5 m 2011년
24위 송도 아메리카타운 아이파크 101동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49층 169.14m 2018년
송도 아메리카타운 아이파크 102동
송도 아메리카타운 아이파크 103동
25위 송도 롯데캐슬 캠퍼스타운 102동 168.6m 2016년
송도 롯데캐슬 캠퍼스타운 104동
26위 청라 더샵 레이크파크 452동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51층 168.5 m 2013년
27위 송도 롯데캐슬 캠퍼스타운 201동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47층 167.89m 2016년
28위 롯데몰 송도 캐슬파크 41층 164.19m 2019년
29위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1차 103동 47층 163m 2010년
30위 송도 롯데캐슬 캠퍼스타운 103동 162.6m 2016년
31위 청라 더샵 레이크파크 453동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49층 162.5 m 2013년
32위 더샵 인천스카이타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화동 162m 2020년
33위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1차 102동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47층 161.3m 2010년
34위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1차 101동 161.1m
계획 중 혹은 공사 중인 마천루
순위 명칭 위치 층수 높이 사업 상황 완공 예정
1위 청라시티타워 인천광역시 서구 30층 448m - 2029년(예정)
2위 송도 아메리카타운 더샵 인천광역시 연수구 70층 247.8m 공사 중 2025년 6월
3위 청라동 92-6번지 업무시설 인천광역시 서구 49층 199.3m 인허가 진행 중 미정
4위 송도국제도시 G5-6BL 인천광역시 연수구 46층 172.55m 분양 예정 -
5위 청라동 86-1번지 주상복합 인천광역시 서구 49층 171m 인허가 진행 중 미정
청라동 86-6번지 오피스텔 인천광역시 서구 49층 인허가 진행 중 미정
6위 영종국제도시 RC4 디에트르 업무시설 인천광역시 중구 중산동 35층 170.1m 미정 미정
7위 송도국제도시 G5-5BL 인천광역시 연수구 45층 165.85m 분양 예정 -
}}}}}}}}} ||
[1] 구 동북아무역타워[2] 2014년 7월 10일 정식 개장 및 완공. 현재 인천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141231_122619_HDR.jpg
파일:더샵 BI(2010-2020.1).svg
<colbgcolor=#05507d><colcolor=#fff> 명칭 송도 더샵 센트럴파크 1차
영문 명칭 Songdo THE SHARP Central Park I
종류 주상복합
브랜드 파일:더샵 구 BI (세로).png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센트럴로 232 (송도동)
입주 2010년 11월
동수 3개동
층수 지하 2층, 지상 45~46층
높이 최고 161m
세대수 729세대
면적 104㎡, 106㎡, 129㎡, 143㎡,
154㎡, 167㎡, 171㎡, 203㎡,
204㎡, 228㎡, 239㎡, 377㎡, 378㎡
시공사 파일:포스코건설 로고.svg
주차대수 1,757대 (세대당 2.41대)

1. 개요2. 특징 및 시설3. 주변 환경
3.1. 교통
3.1.1. 버스
4. 사건 사고5.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고급 주상복합 아파트이다.
센트럴공원을 바라보고 서 있으며, 옆에는 더샵 센트럴파크 2차가 위치해 있다.

2. 특징 및 시설

이 아파트는 송도국제도시에서 랜드마크로서 상징적인 건물인데, 그 이유는 송도 센트럴파크 바로 내려다 보고 있기도 하고, 송도에 있는 건물 대부분이 그렇듯 굉장히 특별한 모양새로 디자인되어 있다. 더샵 센트럴파크 1단지는 해양도시 인천답게 시원한 물결처럼 해 놓았다. 그러나 2단지와의 차이점이 있는데, 1단지는 가로로 일정한 층수로 물결이 다른 모습을 띄지만, 2단지는 건물 전체가 물결처럼 흔들리는 모습이다. 건축양식이 커튼월이라 그런지 벽면이 모두 유리창으로 되어 있어 동서남북 조망이 환하게 보이는 대신 여름에는 일부 남향집의 경우 커튼월 창을 통한 햇볕 유입으로 실내가 더운편이다.

설계사는 미국의 유명 건축사사무소인 HOK이다.

프로게임단 루나틱하이의 숙소가 여기 위치해있었다고 한다.

원형으로 휘어있는 유리들은 인천의 바닷물결를 상징한다.

삼둥이의 보금자리가 여기에 위치했다고 한다.

3. 주변 환경

3.1. 교통

3.1.1. 버스

4. 사건 사고

5. 관련 항목


[1] 실제로 중앙냉난방장치에는 부식에 강한 재질, 주로 동관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