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작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6030> 황제 | <colcolor=#000,#fff>느구서 너거스트 · 송가이 제국 황제 |
제왕 | 만사 · 가나 | |
왕·군주 | 마이(사이파와) · 아샨티헤네 · 코모로 술탄 | |
왕족·귀족 | 소말리인 귀족제 | }}}}}}}}} |
송가이 제국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8B8B> 정치·국가원수 | <colcolor=#000,#fff>송가이 제국 황제(틀:역대 송가이 제국 황제) |
민족 | 송가이족&자르마족 | |
언어 | 송가이어 | |
인물·문화 | 아스키아 무함마드 & 무덤 | |
지리 | 가오 | 아가데즈 | 사하라 종단 무역 | |
후계 국가 | 덴디 왕국 |
1. 개요
근세 서아프리카 북부의 제국이었던 송가이 제국의 역대 황제들. 편의상 송가이 제국 역대 왕조이자 황제들을 가리켰던 군주 칭호인 손니와 아스키아에 대해서도 다룬다.2. 특징
군주 칭호가 '손니'에서 '아스키아'로 바뀐걸 기준으로 손니 왕조와 아스키아 왕조를 구별한다. 제국의 군주라는 의미에서 황제로 번역해도 무방하나, 서아프리카 제국들은 딱히 왕과 황제 칭호의 구별이 없어서 왕(또는 제왕)으로 번역해도 무방하다.3. 역대 군주칭호 및 왕조
3.1. 손니(1464년 - 1493년)
송가이어 | Sonni, Sunni, Si |
3.2. 아스키아(1493년 - 1592년)
송가이어 | Askia, Askiya |
4. 역대 황제
송가이 제국 황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손니 알리 | 손니 바루 | 아스키아 무함마드 1세 | 아스키아 무사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아스키아 벤칸 | 아스키아 이스마일 | 아스키아 이사히크 1세 | 아스키아 다우드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
아스키아 무함마드 2세 | 무함마드 바니 | 아스키아 이사히크 2세 | ||
}}}}}}}}} |
- 1대 손니 알리(1464년~1492년)
- 2대 손니 바루(1492년~1493년)
- 3대 아스키아 무함마드(1493년~1528년): 송가이 제국의 전성기를 연 국왕으로, 아스키아 대왕으로도 불린다. 이 때부터 송가이 제국에서는 손니 왕조에서 아스키아 가문이 통치하는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 4대 아스키아 무사(1529년~1531년)
- 5대 아스키아 벤칸(1531년~1537년)
- 6대 아스키아 이스마일(1537년~1539년)
- 7대 아스키아 이사히크 1세(1539년~1549년)
- 8대 아스키아 다우드(1549년~1583년)
- 9대 아스키아 무함마드 3세(1583년~1586년)
- 10대 아스키아 무함마드 바노 4세(1586년~1588년)
- 11대 아스키아 이사히크 2세(1588년~1592년): 1591년 모로코의 침공으로 송가이 제국이 멸망하면서 사실상 마지막 황제가 되었다.
[1] "시(Si) 왕조"라고도 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