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23:46:25

설보채

설보차에서 넘어옴
홍루몽의 주인공
형무군
설보채
<nopad> 파일:홍루몽 드라마 2010 설보채.jpg
드라마 〈홍루몽 2010〉의
설보채(청소년기: 리친(李沁) 분)
<colbgcolor=#A83232,#5A1E1E><colcolor=#FFD700,#D4AF37> 나이 21세 무렵(120회 기준)[1]
이름 [ruby(薛寶釵/薛宝釵, ruby=Xuē Bǎochāi'')](쉐바오차이)
별칭 형무군(별호)
설형무(薛蘅蕪) (통칭)
소속 영국부(榮國府)
거처 영국부 이향원→대관원 형무원(蘅蕪園)→경성 내 본가→영국부 영희당 뒤쪽 거처
가족 가보옥 (배우자)
가O (아들)[2]
설이마(薛姨媽)[3] (어머니)
설반(薛蟠) (오빠)
가정 (시아버지)
왕 부인(王夫人) (시어머니)
가원춘 (시누이)
가탐춘 (시누이)
가환 (시숙)
사태군(史太君) (시할머니)
왕자등 (외삼촌)
1. 개요2. 캐릭터성
2.1. 국내에서의 이름 표기2.2. 외모2.3. 성격2.4. 특기2.5. 임대옥과의 비교
3. 대인관계4. 행적

[clearfix]

1. 개요

소설 《홍루몽》의 주인공.

금릉십이차(金陵十二釵)[4]정책 에 등재된 인물 중 한 명이며 가보옥의 이모인 설씨 댁 부인의 딸이자 설반의 여동생. 주인공인 가보옥과는 이종사촌 누나가 된다. 대관원에서의 거처는 형무원이며, 호는 형무군. 금릉십이차에서 임대옥과 더불어 첫머리에 꼽히는 미소녀이다.

2. 캐릭터성

2.1. 국내에서의 이름 표기

薛寶釵/薛宝釵의 중국어 발음은 '쉐바오차이'라 원어인 중국어 및 알파벳으로는 헷갈릴 일이 없지만, 국내에서는 한자 독음인 釵자가 채와 차 두 가지로 읽히기 때문에 번역본에 따라서 보'차'로 읽기도 하고 보'채'라고 읽기도 한다. 중국 현지 홍학자들조차도 정확하게는 알지 못한다. 영어권에서는 중국어 원어를 따라 'Chai'로 번역했는데, 이것 역시 '채'로도 들리고 '차이'로도 들리므로 애매하다.

'인명'이란건 고유명사인데, 현재 홍루몽의 번역본들은 중국식 발음이 아니라 한국식 한자발음으로 인명을 번역해버렸기 때문에 '보차'든 '보채'든 정확한 발음은 아니다. 한국 자전에서 釵자를 차와 채로 읽고 모두 비녀로 이해하는 것과 달리, 중국에서 나온 《한어대자전(漢語大字典)》(제2판)에는 여성/비녀로 읽을 경우 chāi(채), 병기로 읽는 경우 chā(차)로 읽는다.

아무튼 국내에서는 설보'채'와 설보'차'로 표기가 나뉜 상황이다.

2.2. 외모

또다른 히로인이자 여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임대옥과는 대조적인 여성관을 가진 인물로, 임대옥이 병약하고 가늘한 느낌을 주는 미인이라면 이쪽은 건강하고 풍만한 느낌의 미인이다.[5] 특히 피부가 새하얗고 부드러운 것이 특징인데, 정작 본인은 자신의 풍만한 신체가 콤플렉스. 성격 역시 톡 쏘는 대옥과는 다르게 굉장히 둥글둥글하여 녕국부, 영국부의 모든 사람들과 매우 원만한 관계를 유지한다. 작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임대옥과 비견되는 여성이자 히로인으로, 각자 서로 정 반대되는 미모, 성격 및 가치관을 지닌 개성적인 매력을 보여준다. 비유하자면 임대옥은 서시빈목으로 유명한 병약하고 가냘픈 미녀 서시에 해당하고, 보차는 풍만하고 귀티가 나는 양귀비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6]

2.3. 성격

침착하고 냉정하며, 집안에 무슨 일이 터지면 정색하지 않고 대화로 풀려고 한다.

사치품을 싫어해서 어릴 때 망망대사로부터 선물받은 금색 목걸이를 제외한 장신구는 아무것도 쓰지 않는다. 이 목걸이를 갖고 있으면 후일 옥을 가진 사내와 맺어진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인데, 다름 아닌 가보옥이 가진 통령보옥과 마찬가지로 글귀가 새겨져 있는데, 이런 설보차와 가보옥의 인연을 '금옥량연(金玉良缘)'이라 부른다. 40회에 있었던 유노파의 대관원 방문 때 언급에 따르면, 방에는 최소한의 가구와 책만 두고 있어서 사태군이 너무 썰렁하다며 추가해 주기도 했다.

보차 본인이 정치질을 하는 성격은 아니지만, 위아래로 예의바른 태도가 잡혀서 평판이 좋다. 본가가 오빠인 설반의 재판 비용 때문에 재산을 탕진하기 전까지는 거상이었던 터라 대관원 식구들한테도 선물을 한 번씩 뿌리기도 한다.

2.4. 특기

자수와 바느질처럼 여성스러운 취미를 갖고 있다. 독서와 글짓기도 임대옥급으로 재능이 뛰어나다고 묘사되나, 어릴 때 잡기로 소설을 접했다가 집안 어른들에게 압수당한 뒤로는 탈덕했으며 대관원 식구들과 즐기는 취미용으로만 즐기고 있다.

2.5. 임대옥과의 비교

임대옥과 함께 홍루몽의 양대 히로인이다 보니 작중에서도 둘을 비교하는 경우가 있다. 가보옥이 5회에서 경환선고를 통해 본 <정책>에서도 둘을 세트로 다뤘으며, 대관원 시절에 열린 해당시사에서도 둘이 장원을 한 번씩 했으며 성격면에서도 둘이 다르다 보니 자연스레 비교가 이뤄진다.

작가인 조설근도 시적 재능이 뛰어나고 가보옥과 성향이 잘 맞는 대신에 병약하고 유리멘탈인 임대옥과, 시적 재능이 같으면서도 건강에 큰 이상은 없고 보옥과도 적당히 친하나 고지식하고 근본적인 성향이 정반대인 설보채를 대조하는 구도를 짰기에 중화권의 홍루몽 독자들 사이에선 설보채vs임대옥 비교가 청대부터 이어진 떡밥이다.
항목 설보채 임대옥
4대가문 소속 여부 O X
부모 생존 여부 어머니 생존 양친 사별
형제 오빠 남자형제가 요절하여 외동딸과 다름없음
취미 바느질, 자수 독서, 작시
건강 큰 이상 없음 병약함
위기 대처법 고지식할 때도 있으나 언제나 침착하게 대처함 유리멘탈에 건강 문제까지 겹쳐서 대처가 안 됨
사태군의 지지 전폭적 지지 임대옥 개인은 아끼지만 성격과 건강 문제로 낙점받지 못함
가보옥에게 바라는 것 입신양명에 관심을 갖길 원함 둘이서 같이 지내는 거 자체로 만족함
습인이 보는 시선 좋음 임대옥 쪽에서는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으나, 습인은 내심 못 미더워함
작중 대외적 평판 좋음 좋지도 나쁘지도 않음

3. 대인관계

4.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4대 가문 중 하나인 설씨 집안의 자녀지만 부친이 일찍이 돌아가시고 친오빠인 설반이 가세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세가 점차 기울자, 이모이자 가보옥의 모친인 왕부인의 권유로 영국부로 들어와 보옥을 포함한 형제자매들과 생활을 시작한다. 본래는 설반의 말에 의하면 궁에 입궐시켜 귀비로 들이기 위해서 금릉까지 올라왔다는데, 이 설정은 판본에 따라서는 그냥 잊혀지는 경우도 많다.[7]

어찌됐든 첫 등장부터 대옥과 비견되면서도 상반되는 매력으로 주변의 이목을 끌었으며, 특유의 둥글한 성격으로 일부 사람독자들에게서는 대옥보다 더 낫다는 말까지 듣는다. 때문에 초반부터 후반까지 대옥에게 견제를 받는 일이 꽤나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정작 보차 본인은 작중에서 적극적으로 보옥에게 어필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데, 이는 보차의 여성관이 전형적인 요조숙녀이자 현모양처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보차의 여성관은 가정과 왕부인을 포함한 많은 영국부의 어른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었고, 왕부인의 조카이자 집안 최고의 수완가인 왕희봉에게도 고평가를 받았다. 마지막에 사태군과 왕부인이 보옥의 배필로 대옥이 아닌 보차를 선택하는 것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

하지만 가보옥과 맺어졌음에도 정작 가보옥이 진정으로 원했던 여성은 설보차가 아닌 임대옥이었고, 그녀의 혼인 생활은 보옥이 출가하자 보옥과의 사이에 난 유복자를 홀로 키우는 신세가 되는 것으로 불행한 끝을 맺게 된다.


[1] 습인과 동갑이며 가보옥보다 2살+@ 연상, 임대옥보다 2살+@ 연상이다.[2] 종반부에 암시만 된다.[3] 보옥에게 이모 겸 장모가 되니 성씨는 왕씨지만, 보옥의 어머니인 왕부인과 자매지간이다 보니 헷갈림 방지를 위해 중국에서부터 호칭을 다르게 구분한다.[4] 금릉의 열두 여인이란 뜻.[5] 다만 어린 시절에는 임대옥과 마찬가지로 꽤나 몸이 좋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던 중 어떤 중에게 '냉향환'이라는 약의 조합법을 듣고, 그 뒤로는 건강하게 되었다. 가끔씩 옛 병이 도지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냉향환 하나면 해결되는 모양.[6] 모티브가 되었을법한 양귀비도 당대에도 풍만한 몸매로 유명했으며, 서시는 가냘프고 양귀비는 통통하다고 비유하기도 했다. 시와 문장 등 다양한 재주가 있고, 눈치가 빠르고 친화력이 좋은 것도 비슷한 점.[7] 이 설정을 유지하는 판본에서는 후일 궁에 입궐까지 했으나, 심사가 완전히 끝나기 직전에 설반이 살인사건을 저지르면서 지위를 박탈당하고 궁에서 내보내 진 것으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