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10:42

선속


1. 개요2. 어원3. 물리량
3.1. 열속3.2. 질량 플럭스3.3. 자속3.4. 광선속

1. 개요

線束 / Flux

물리학에서 어느 면적을 통과하는 시간당 특정 물리량의 흐름에 관해 다룰 때 도입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플럭스는 단위면적당 단위시간당 물리량을 의미한다. 단위는 /m2⋅s 꼴이 된다.

2. 어원

라틴어 fluxus[1]에서 나온 단어로 이는 flow(흐름)를 의미한다. 이후 아이작 뉴턴이 그의 미적분에 관한 저서에서 시간변화율을 설명하며 같은 어원을 둔 fluxion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기도 했다.[2][3]

번역어인 선속線束은 줄(line)과 묶을 (tie)으로 이루어진 단어로 다발이 특정 면적에 묶여있는 이미지를 가진다. 실제로 플럭스를 설명하는 물리교재를 보면 물리량에 해당하는 선(line) 또는 다발(bundle)이 표면을 통과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분야가 으레 그렇듯 일본 번역어를 그대로 도입해서 처음 접했을 때는 한글 단어라도 그 의미가 쉽게 와닿지 않는다. 애초에 fluxus-fluxion-fluent-flux-flow는 모두 같은 어원을 뿌리로 두고 있는 단어이지만 번역에서는 각각에 해당되는 단어가 따로 만들어졌다.

3. 물리량

온도나 압력 등과 같은 물리량과 달리 현실에서 접하기 드물지만 이론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는 개념이다. 따라서 과학과 공학의 각 분야에서는 초반에 플럭스라는 개념이 등장하며 해당 분야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3.1. 열속

Heat flux, thermal flux

열전달에서 등장. 단위는 W/m2 또는 J/m2⋅s

3.2. 질량 플럭스

Mass flux 결국 번역의 한계에 다다름

보통 유체역학에서 등장한다. 단위는 kg/m2⋅s

3.3. 자속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자속'''{{{#!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시스템인 '자기 속성 보정'}}}에 대한 내용은 [[포켓몬스터/타입]]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포켓몬스터/타입#s-2|2]]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포켓몬스터/타입#|]]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시스템인 '자기 속성 보정': }}}[[포켓몬스터/타입]]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포켓몬스터/타입#s-2|2]]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포켓몬스터/타입#|]]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Magnetic Flux /

전자기학에서 등장.

3차원적 세계에서 어느 한 면적×자기장이다. 한 가지 주의할점은 면적과 자기장은 둘다 벡터지만 자속은 벡터가 아니다. 즉, 만약 면적을 구체로 만들고 안에 전하를 두지 않으면 총 자속은 0이 된다.

3.4. 광선속

luminous flux /

어떠한 광원으로부터 뻗어나가는 빛 줄기의 수를 말한다. 단위는 루멘이며, 스테라디안칸델라 값으로 정의한다.
[1] 이 단어에서 따온 동명의 예술가 그룹 플럭서스도 있다.[2] The method of fluxions and infinite series : with its application to the geometry of curve-lines, Newton, Isaac, 1736 https://archive.org/details/methodoffluxions00newt/page/n4/mode/2up[3] 그러나 오늘날의 시각으로 보면 제대로 된 이론이 아니었기 때문에 조지 버클리에게 까였다. 이 오류는 이후 오귀스탱루이 코시카를 바이어슈트라스 등에 의해 보완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