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작
한글판 명칭 | 생명 단축의 패 |
일어판 명칭 | [ruby(命, ruby=いのち)][ruby(削, ruby=けず)]りの[ruby(宝札, ruby=ほうさつ)] |
영어판 명칭 | Card of Demise |
일반 마법 | |
패를 5장이 되도록 드로우한다. 5턴 후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모든 패를 묘지에 둔다. |
패를 5장이 되도록/묘지에 둔다란 말이 이상하지만 실제로 저렇게 쓰여 있다. 일단 영어판 기준으로 하면 「패가 5장이 되도록 카드를 드로우한다. 발동 후 자신의 5번째 스탠바이 페이즈에, 패의 카드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Draw cards until you have 5 cards in your hand. During your 5th Standby Phase after activation, send all cards in your hand to the Graveyard.)」라는 효과.
현 OCG 환경은 말할 것도 없고 듀얼몬스터즈 방영 당시의 환경에서도 정신 나간 사기 카드. 원작판 하늘의 선물과 마찬가지로 마법 / 함정 카드를 최대한 세트해가면서 패를 비운 채 이걸 발동하면 그냥 5장 드로우로 욕망의 항아리쯤은 우습게 보일 정도의 사기를 보여준다. 그런 주제에 무려 5턴이 지나서야 패를 전부 버린다는 게 디메리트랍시고 붙어 있다. 이게 의미가 거의 없는 이유는
- 현재는 이미 5턴이 지나기도 전에 듀얼이 끝나는 환경이 조성된지 오래다. 상황이 괴이하게 꼬이거나 드로우한 5장 때문에 패 말림이 일어나거나, 혹은 드로우한 5장을 모두 써도 패가 남아 엔드 페이즈에 패를 버리지 않는 이상 5턴 내로 이길 수밖에 없다. 카이바 본인부터가 이 카드를 사용했던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배틀 시티 3,4위 결정전에서 카드의 효과를 설명하며 어차피 네놈과의 듀얼이 앞으로 5턴이나 갈 일은 없으니 별로 중요치 않다는 말을 덧붙이기도 했다.
- 위의 '패 말림이 일어나거나 상황이 괴이하게 꼬이는 바람에' 듀얼이 장기전이 돼서 패를 전부 묘지로 보내란 디메리트가 닥쳐와도 윗 문단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패의 마법 / 함정은 최대한 세트하고 몬스터도 마구 깔아놓는 식으로 패를 줄여놓으면 잃는 것도 별로 없다.
- 페널티마저 악용해 패의 카드를 원하는 대로 묘지로 보낼 수 있다. '버린다'가 아니기 때문에 암흑계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지만, 싱크로 - 엑시즈 - 펜듈럼 - 링크 등 온갖 각양각색의 특수 소환이 등장한 현재는 묘지도 하나의 자원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이 페널티를 악용하면 온갖 기묘한 플레이가 가능하다.[1]
- 원작판 하늘의 선물과 달리 자신만 드로우한다.
요컨대 악몽의 신기루와 비슷한 사기성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악몽의 신기루와 달리 꾸준히 드로우할 수는 없지만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까지 카드를 뽑거나 버릴 필요가 없으니, 디메리트만 보면 악몽의 신기루보다 덜한 정도.
실제로 카이바 세토의 역전의 발판을 마련해준 카드 중 하나였고, 원작과 애니 모두 극히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면 사용자는 5턴이 다 지나기도 전에 이기든 지든 듀얼을 끝내버렸다. TVA에선 이 카드 발동 후 5턴이 흘러가서 패를 전부 버린 적이 없었다.
간단한 예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그랑프리 편 195화에서 지크 로이드와 듀얼했을 땐 역대 유희왕 애니메이션을 합쳐 봐도 손에 꼽을 정도의 콤보를 이 카드 1장으로 성립시켜 원턴킬한 적이 있다. 생단패로 5장 드로우[2] → 영혼의 해방으로 묘지의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을 제외 → 마법 재생으로 패의 마법 카드 2장(마법 흡수, 코스트 다운)을 버리고 묘지에서 차원 융합 회수[3] → 차원 융합으로 제외된 푸른 눈의 백룡 3장,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에머랄드 드래곤을 소환[4] → 왈큐레 브륜힐데에게 에머랄드 드래곤과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을 꼬라박고 2장의 푸른 눈의 백룡으로 연속 공격 후 최후의 푸른 눈의 백룡으로 직접 공격해 듀얼에서 이겼다. 그나마 예외도 빛의 피라미드에서 패가 비어있을 때 막 드로우한 스피어 드래곤 1장만 묘지로 보낸 것으로, 푸른 눈의 빛룡의 공격력을 올려주기만 했다.
일러스트에서 잘리고 있는 카드는 카드의 사신. 카드 일러스트도 시기가 지나면서 묘하게 변했는데, 원작 및 초반 애니메이션판 일러스트에선 그림의 사람이 단두대의 구멍으로 손을 뻗어 그 너머에 있는 덱에서 카드를 뽑아가는 위험한 일러스트였다. 아마 원작 만화 초창기의 DEATH T 게임 중 하나를 작가가 스스로 패러디한 듯하다.
2. OC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생명 단축의 패,
일어판 명칭=<ruby>命<rp>(</rp><rt>いのち</rt><rp>)</rp>削<rp>(</rp><rt>けず</rt><rp>)</rp></ruby>りの<ruby>宝札<rp>(</rp><rt>ほうさつ</rt><rp>)</rp></ruby>,
영어판 명칭=Card of Demis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은 패가 3장이 되도록 덱에서 드로우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상대가 받는 모든 데미지는 0이 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자신의 패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리미트 레귤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