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서로 없는 물건을 빌려주는 것. 도서관에서 주로 쓰인다.도서 구입비로 내려오는 예산과 서가의 공간은 언제나 한계가 있으므로, 도서관의 성격에 따라 중요하지 않은 자료는 구입 순위가 밀려나서 결국 구매하지 못하게 된다.
이럴 때 해당 자료를 가지고 있는 다른 도서관의 책을 땡겨서 받아보는 것이 상호대차이며, 공공도서관보다 대학도서관이나 전문도서관에서 주로 사용한다. 물론 공공도서관 역시 전산통합을 통해 상호대차를 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2. 유형
2.1. 국가 단위 (책바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시행하는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반드시 한 군데의 공공도서관에는 회원으로 등록이 되어 있어야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장애인의 경우 배달료가 면제되나, 이 경우는 대체로 자택에서 수령 가능한 책나래 서비스를 이용하는 편이다. 책바다 항목 참조.
이용자나 직원 모두 다음 단락의 지역 단위 상호대차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특정 지역에서 지역 단위 상호대차에 참여하지 않는 도서관의 경우, 지역 단위 상호대차에 대한 질문에 직원들이 이골이 나 있을 확률이 높아 책바다 이용 문의에도 자칫 퇴짜를 당할 확률이 높다.
2.2. 지역 단위 (책두레 등)
운영 주체가 동일한 지역 도서관끼리 시행하는 상호대차 서비스. 통일된 명칭은 없지만, 대체로 '책두레'라는 명칭을 사용한다.보통 같은 지역 내에서 가능하며, 본인이 보고 싶은 책이 지역 내 A도서관에 있지만 본인의 집에서 더 가까운 B도서관이 있다면 B도서관에서 A도서관의 책을 대출하거나 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꼭 책이음 회원이 아니라도 지역 단위로 회원 DB가 공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하나의 도서관만 가입해도 다른 도서관의 책들을 대출할 수 있다.[1]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높은 확률로 지하철역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대출반납기('스마트 도서관'류의 키오스크)와도 연동되어 있어, 출퇴근 시에 바로 대출/반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상호대차와 달리 별도의 배달료가 부과되지 않는다.
2.3. 대학도서관
대학도서관끼리 협정을 맺어 타 도서관의 자료를 대출해주는 서비스.학교에 따라서는 택배비의 일부 혹은 전부를 지원해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