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3:52:51

사신의 대재해


1. 개요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MalevolentCatastrophe-JP-Manga-DM-color.png
한글판 명칭 사신의 대재해
일어판 명칭 [ruby(邪神,ruby=じゃしん)]の[ruby(大災害,ruby=だいさいがい)]
영어판 명칭 Malevolent Catastrophe
일반 함정
상대의 몬스터가 공격했을 때에 발동. 적 아군을 불문하고 필드 위의 모든 카드를 상대의 묘지에 놓는다.

원작 배틀 시티 결선 편에서 어둠의 마리크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사용. 이 카드와 관장수를 조합해 끝장내려 했지만, 죠노우치 카츠야가 함정 파괴 능력을 가진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를 소환하면서 발동되지 못하고 모조리 쓸려나갔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468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사신의 대재해,
일어판명칭=<ruby>邪神<rp>(</rp><rt>じゃしん</rt><rp>)</rp></ruby>の<ruby>大災害<rp>(</rp><rt>だいさいがい</rt><rp>)</rp></ruby>,
영어판명칭=Malevolent Catastrophe,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태풍의 공격 반응형 함정 버전. 일러스트도 태풍을 의식하고 있다.

태풍에 비하면 속공성은 떨어지지만 대신 기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간단히 말해 마법과 함정의 근본적인 차별점을 노리고 사용해야 하는 카드. 금지인 태풍과는 달리 무제한이므로 마법 / 함정 파괴를 적극적으로 노리는 덱이라면 추가로 집어넣을 만하다. 또한,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라는 발동 조건 상 아티팩트와 높은 시너지를 갖추고 있다. 다만 대부분의 아티팩트는 상대 턴에 터져야 효과를 보기에 오히려 상대 역시 이 카드가 있다면 다 털릴 수도 있다.

단, 공격 반응형이기에 너무 믿고만 있으면 공격 선언 전에 제거당해서 손도 쓰지 못하고 날아가니 주의.

이 카드가 나온 이후 메인 페이즈 2에 세트를 하는 것이 당연해졌다. 물론 배틀 페이즈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몰라 결과에 따라 세트할 카드가 달라지니 그런 것도 있지만.

마법 & 함정 존에서 파괴되면 효력을 발휘하는 아티팩트 테마와 상성이 좋은 편.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4-03-25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M-03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マリク編 -
2007-06-23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13-JP03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巨竜の復活 -
2010-06-19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19-JP039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
2013-12-07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26-JP034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機光竜襲雷 -
2015-06-06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DP16-JP035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決闘都市編 -
2007-10-24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RL-EN032 | RISE OF THE DRAGON LORDS STRUCTURE DECK
2010-10-19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MA-EN035 | STRUCTURE DECK - MARIK -
2012-10-02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LCYW-EN148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2013-10-11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LCJW-EN136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2014-02-07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CR-EN034 | CYBER DRAGON REVOLUTION STRUCTURE DECK
2014-11-21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NKRT-EN033 | NOBLE KNIGHTS OF THE ROUND TABLE BOX SET
2015-06-19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DPBC-EN036 | DUELIST PACK - BATTLE CITY -
2007-09-01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13-KR031 | 스트럭처 덱 - 거대룡의 부활 - 스페셜 에디션
2010-09-07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19-KR039 | 스트럭처 덱 -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 스페셜 에디션
2014-03-04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D26-KR034 | 스트럭처 덱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2016-06-16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DP16-KR035 | 듀얼리스트 팩 - 배틀 시티 편 -

2.3. 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邪神の大災害(LGP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레전드=,
한글판명칭=사신의 대재해,
일어판명칭=<ruby>邪神<rp>(</rp><rt>じゃしん</rt><rp>)</rp></ruby>の<ruby>大災害<rp>(</rp><rt>だいさいがい</rt><rp>)</rp></ruby>,
영어판명칭=Malevolent Catastrophe (미발매),
조건=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서로의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OCG와 마찬가지로 태풍의 공격 반응형 함정 버전. 해당 카드와 비교하자면 장착 마법이나 필드 마법을 파괴해서 그 지원을 받고 있던 몬스터를 상대로 효과적이며, 잘만 하면 그대로 반격해서 어드밴티지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뽑아서 바로 쓸 수 있는 마법 카드보다도 발동 속도가 느린 함정이라 발동 전에 제거되기 쉽다는 무시 못할 단점이 있다.

발동 조건이 겹치는 레전드 함정이라는 점에서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과 경쟁 상대가 될 것이다. 최대 1:3 교환인 해당 카드에 비해 1:4의 교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세해보일지 몰라도,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발동하면서 정작 그 몬스터 자체에 간섭할 수 없다는 점은 크나큰 걸림돌. 특히 LP가 얼마 남지 않아 전투를 막지 못하면 패배로 직결되는 상황에서는 별 도움도 되지 못할 것이다.

전용 서포트 카드인 말레보렌트 셀러는 효과도 좋은 편인데다 이 카드를 재활용하도록 도와주기까지 한다. 그대로 회수했다면 기습성은 떨어지겠지만 대신 상대는 필드 마법이나 장착 마법을 쓰기가 꺼려질 테고, 남은 패를 마법 & 함정 존에 덮어놓은 뒤 다음 턴 일반 드로우 매수를 늘리기도 힘들어질 것이다. 또한 묘지에 다른 레전드 카드가 존재한다면 해당 카드를 재활용해갈 수 있는데, 이게 주요 목적이라면 이 카드의 효과는 덤으로 치고 미리 의도적으로 묘지로 보내두는 전법도 고려해볼 만 하다.

그외에도 OCG와 달리 러시 듀얼은 메인페이즈2가 없기 때문에 사용할 카드는 미리 세트해 두어야 하기 때문에 이득을 벌 확률이 더 높아졌다.

카드 자체 성능만 따지자면 레전드 카드 중에서도 제법 다루기 까다로운 부류에 속하니 다른 카드와의 콤보를 염두에 두고 채용을 고려해봄직이 좋을 것이다.
수록 시리즈
2023-03-04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RD/LGP1-JP028 | レジェンド覚醒パック
2023-06-02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RD/LGP1-KR028 | 레전드 각성 팩

3. 관련 카드

3.1. 말레보렌트 셀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