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스피카 Spica | 베타성 자비야바 Zabijava | 감마성 포리마 Porrima | 델타성 미넬라우바 Minelauva | |
엡실론성 빈데미아트릭스 Vindemiatrix | 제타성 히지 Heze | 에타성 자니아 Zaniah | 세타성 처녀자리 세타 θ Vir | |
이오타성 시르마 Syrma | 카파성 캉 Kang | 람다성 캄발리아 Khambalia | 뮤성 리질 알 아와 Rijl al Awwa | |
누성 처녀자리 누 ν Vir | 크시성 처녀자리 크시 ξ Vir | 오미크론성 처녀자리 오미크론 ο Vir | 파이성 처녀자리 파이 π Vir | |
로성 처녀자리 로 ρ Vir | 시그마성 처녀자리 시그마 σ Vir | 타우성 처녀자리 타우 τ Vir | 웁실론성 처녀자리 웁실론 υ Vir | |
피성 엘가파 Elgafar | 카이성 처녀자리 카이 χ Vir | 프시성 처녀자리 프시 ψ Vir | 오메가성 처녀자리 오메가 ω Vir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처녀자리 1 | 처녀자리 2 | 처녀자리 3 | 처녀자리 4 | |
처녀자리 5 | 처녀자리 7 | 처녀자리 8 | 처녀자리 61 | |
그 외 처녀자리에 속한 항성 | ||||
PSR B1257+12 | - | - | - |
}}}
- [ 심원천체 ]
- ||<width=9999><-4><nopad>구상성단||
틀:별자리 · 처녀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처녀자리의 항성 바이어 명명법 | ||||
δ Vir 처녀자리의 적색거성 | ← | ε Vir 처녀자리의 적색거성 | → | ζ Vir 처녀자리의 A형 주계열성 |
ε Vir 빈데미아트릭스 Vindemiatrix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13h 02m 10.59785s |
적위 | +10° 57′ 32.9415″ | |
별자리 | 처녀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적색거성 | |
분광형 | G8 III | |
거리 | 109.6 ±0.5 광년 33.6 ±0.2 파섹 | |
반지름 | 11.98 ±0.07 R⊙ | |
질량 | 2.64 ±0.11 M⊙ | |
평균 온도 | 5,086 K | |
운동 | 시선속도 | -14.96 ± 0.03 km/s |
자전 속도 | 2.37 ± 0.41 km/s | |
나이 | 5억 6000만 ± 9000만 년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2.826 | |
절대 등급 | 0.37 ±0.06 | |
광도 | 77 L⊙ | |
명칭 | ||
빈데미아트릭스, 빈데미아토르, 알무레딘, 프로빈데미아토르, 프로트리게트릭스, 프로트리게토르, 알라라프, 47 Virginis, BD +11°2529, FK5 488, HD 113226, HIP 63608, HR 4932, SAO 100384 |
1. 개요
빈데미아트릭스 / Vindemiatrix처녀자리 엡실론은 처녀자리에 위치한 태양보다 약 10배 큰 적색거성이며, 전통적으로 빈데미아트릭스 혹은 프로빈데미아토르라고 불린다.
2. 상세
처녀자리에서 3번째로 밝은 항성이다.히파르코스 우주선이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빈데미아트릭스는 태양으로부터 약 110광년(34파섹)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질량은 태양의 2.7배이지만, 나이는 7억 년이다. 핵에 있는 수소 에너지가 거의 고갈되었으며, 적색 거성으로 분류된다. 이에 태양의 약 10~12배 정도로 크기가 커졌고 태양보다 약 82배나 밝다. 또한 에너지의 방출로 인해 G형 별의 노란빛을 띤다.
해당 항성의 오른쪽에 처녀자리 은하단을 이루는 많은 은하(M60 등)가 있어 은하를 관측할 때 매우 중요하다.
얇은 원반 모양의 은하에 속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해당 별의 궤도는 은하 평면에서 약 200광년(60파섹) 떨어져 있다.
빈데미아트릭스의 어원은 '포도 수확가'라는 뜻의 그리스어 'vindēmiātrix'에서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