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형 30계 토요타 셀시오 슈퍼 라이브 사운드 및 마크 레빈슨 프리미엄 사운드, 일렉트로 멀티비전 옵션 차량 용
페이더와 DSP효과는 일렉트로 멀티비전으로 조작할 수 있으나 앰프의 볼륨은 스티어링 휠 리모컨에 작동되는 기능 설명 페이지을 보면 볼륨 버튼은 사용할 수 없다고하며 설치한 헤드유닛에서 조절하라고 안내하고 있다.[1]이전 생산품인 MVA-23은 스티어링 휠의 볼륨버튼을 쓸수 있었다.
스티어링 휠 리모컨으로는 채널버튼은 페이더, 모드버튼은 외부입력으로 작동하며 볼륨버튼이 작동하지 않는다. MONET, 헬프넷, 헨즈프리 옵션이 있는경우 오작동 할 수 있다고 한다.
TV튜너는 작동하지 않아 외부입력만 가능하다.
안테나 케이블은 트렁크 룸 오른쪽 하단에 위치하고 있으니 설치시 안테나 연장 케이블을 시공할 필요가 있다. 거기다가 순정 증폭기의 출력이 약하기에 별도의 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제품은 국내 수출형 차량엔 장착이 불가능하다. 오르지 일렉트로 멀티비전(품번: 86111-50150)과 카세트 및 MD/CD 및 DVD 헤드유닛(품번: 86120-50590)이 장착된 내수 및 일부국가 수출형 차량만 가능하다.
외부입력은 DVD-C 기능을 이용하며 영상을 뛰우고 싶으면 "영상(映像)"버튼을 눌러야 한다.
전기형 30계 토요타 해리어 JBL 프리미엄 사운드 (11스피커), 기본 오디오 옵션 차량 용.
당연하겠지만 일렉트로 멀티비전 옵션이 있는경우 위의 MVX-82A를 구매해야 한다.
순정 스피커와 앰프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MVX-82A와 마찬가지로 순정 스티어링 휠 리모컨을 사용하기위해서는 SRT1이 필요하다.
출력되는 스피커
트위터
앞문
뒷문
센터
우퍼
○
○
○
○
○
음향효과
페이더
DSP
○
○
[1] 물론 30계 해리어 처럼 설치전 볼륨이 낮으면 소리가 너무 작게 나오는 문제가 생길수 있으니 적당한 볼륨으로 높여놓고 교체하자.[2] 표준형 공조 컨트롤러의 품번이지만 멀티형 공조 컨트롤러도 된다. 단 전기형에 장착할경우 에어컨 조작을 제외한 연비표시 등 그외 기능은 사용이 불가능하다.[3] 디스플레이 하단 "오디오"버튼으로 내비게이션 모드와 TV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4] 순정 헤드유닛의 버튼 구성도 |TV|CD|MD|FM/AM|으로 되어있다. 이때문에 CD등으로 되어있는 상태로 헤드유닛을 교체해버리면 소스를 변경할 방법 따윈 없기 때문에 외부입력 기능이 필요할 때 꽤 난감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