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AKE MONROE |
1. 프로필
| |
NXT | |
링네임 | Blake Monroe Mariah May Mariah Eagan Sexy Dynamite Princess |
본명 | Mariah May Mead 머라이어 메이 미드 |
생년월일 | 1998년 8월 4일 ([age(1998-08-04)]세) |
출신지 |
토트넘 |
키 | 173cm |
체중 | 64kg |
별명 | The Glamour Fighting Princess The Woman from Hell |
유형 | 올라운더 |
피니쉬 무브 | 메이 데이[1] 더블암 임플런트 DDT[2] 떠스트 트랩[3] MMKO[4] 그람비션[5] 트라이앵글 쵸크 리버스 불 |
주요 커리어 | AEW 위민스 월드 챔피언 1회 SMW 위민스 챔피언 1회 갓데스 오브 스타덤 챔피언 1회 AEW 여성부 오웬 하트 컵 토너먼트 우승 (2024) |
테마곡 | Evil Glamour Watch What's Next[6] Dream Over Glamour Is Forever[7] |
SNS | |
2. 개요
영국의 WWE 소속 프로레슬러.
3. 커리어
3.1. 데뷔 초 (2018 ~ 2022)
2018년에 프로레슬러써의 훈련을 받은 후 2019년에 선수로 데뷔하게 되면서 Hustle에서 니나 새뮤얼스와의 경기에서 패한다. 이후로 간곳은 프로그래스였고, 캔디 플로스와 맞붙지만 패하고, 영국의 다른 단체들에서도 싱글 및 태그팀 경기에서도 경험 미달로 패하는 경기만 속출한다.WWE가 NXT UK에서 활동시킬 유명 여성레슬러들을 모집하는 과정에 마리아 메이도 입단테스트에 참가하게 되지만, 입단테스트에는 낙방당했다.
CPW에서 열린 경기에서 마일라 그레이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데뷔 후 첫 승리를 거두고, 단체를 돌며 유명한 레슬러들과도 경기를 가지며 조금씩 유명해지기 시작하고, 영국을 방문한 해외의 강자들과도 경기를 가지는 일이 많아진다.
2021년에 SMW에서 아르미나 릴리, 에코, 라 테일러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SMW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하고, 여전히 실력이 뛰어난 강자들이 넘쳐나는 레슬링계에서 뜨기위해 활동을 계속한다.
2022년부터는 미국에도 진출하며 Battleground에서 베테랑인 레이디 프로스트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고, CZW에도 출연해 조이 스카이와 맞붙지만 실력차이로 패하고, TSW에선 파올라 블레이즈에게 패하고, New Texas Pro에선 레이첼 로즈에게 패하며 여전히 경험많은 선수들에게 지는 일이 벌어진다. 미국 외에도 독일의 DWA에도 출연하며 매디 올 마이티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며 해외에서도 알려지기 시작한다.
다시 영국에서 활동을 하고, 라 테일러와의 대립이 계속되면서 SMW 위민스 챔피언 벨트를 뺏기고, 영국에서 활동을 이어나간다.
3.2. 스타덤 (2022 ~ 2024)
2022년 12월 말에는 일본의 스타덤에 진출하게 된다. 시라카와 미나의 팩션 클럽 비너스에서 활약하면서, 23년 7월에 일본에서의 첫 벨트인 갓데스 오브 스타덤 벨트를 시라카와와 함께 등극했다.2023년 내 스타덤 일정이 끝나면 일본 활동을 마칠 예정이며, WWE와 AEW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11월 8일 다이너마이트를 통해 계약이 발표되었다.
3.3. 올 엘리트 레슬링 (2023 ~ 2025)
RJ 시티와의 데뷔 인터뷰에서 자신이 토니 스톰의 광팬임을 밝혔고, 제자(Protege)가 되고 싶다며 스톰을 항상 쫓아다닌다. 스톰의 개인 집사인 루터는 그런 머라이어를 별로 안 좋게 봤는지, 항상 행동 조심하라는 듯 경고하는 제스처를 취하곤 한다.2024년 1월 3일 다이너마이트에서 퀸 아미나타를 상대로 승리하며 싱글 데뷔전을 치렀다. 경기 후 디오나 퍼라조와 마주치며 머라이어 메이가 디오나 퍼라조의 뺨을 때리자 디오나 퍼라조도 머라이어 메이의 뺨을 때린다.
AEW 레볼루션 2024에서는 토니 스톰이 등장하기에 앞서 토니 스톰의 AEW 데뷔 초 코스튬과 등장음악을 그대로 재현하며 등장해 관객들과 중계진들을 제대로 낚았다. 경기 막판에는 도전자 디오나 퍼라조의 시선을 분산시키며 스톰의 타이틀 방어에 일조했으며, 이를 계기로 정식 제자가 되어 토니 스톰과 태그팀으로 활동하고 다닌다.
슈퍼카드 오브 아너 2024에서 코고 모모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4월 10일에 애나 제이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지만 경기 후 애나 제이가 분풀이로 머라이어 메이에세 퀸 슬레이어를 걸자 머라이어 메이의 스타덤 시절 동료인 시라카와 미나가 등장하면서 애나 제이는 링밖으로 나가고, 시라카와 미나는 샴페인잔 2개를 들고는 머라이어 메이에게 마시게하면서 키스를 하고 서로 샴페인 잔을 들며 즐긴다. 이후로도 시라카와 미나와 같이 다니며 아웃캐스츠와도 대립을 형성한다.
여성부 오원 하트 컵에 참가한 머라이어 메이는 포비든 도어 2024에서 사라야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준결승전에서 시다 히카루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결승전에서 윌로우 나이팅게일까지 꺾어 우승해 올 인 2024에서 토니 스톰과 AEW 위민스 챔피언십 매치로 맞붙게 된다.
그리고 경기 후 토니 스톰과 함께 오웬 하트 컵 우승 시상대로 향했다가 되려 토니 스톰을 오웬 하트 컵 우승 벨트로 얼굴에 출혈까지 나게 할 정도로 무자비하게 공격하였고 말리러 온 매니저인 루터까지 공격하였다. 이후 피로 물들여진 채 울상을 보이던 토니 스톰에게 키스를 하면서 완전히 배신하게 된다. 올 인에서 토니 스톰을 꺾고 새로운 AEW 위민스 챔피언에 등극한다.
부상에서 복귀한 사카자키 유카 앞에 등장하며 둘간의 대립이 형성되면서 9월 25일 그랜드 슬램 특집에서 AEW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고, 경기 후 사카자키 유카에게 벨트 샷을 준비하지만 윌로우 나이팅게일이 등장하고 시라카와 미나가 등장하면서 윌로우 나이팅게일을 공격하고 사카자키 유카가 머라이어 메이를 쫓아가면서 머라이어 메이는 피하조 시라카와 미나가 사카자키 유카를 말린다.
레슬드림 2024에서 윌로우 나이팅게일을 상대로 AEW 위민스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애나 제이와 대립이 형성되면서 배틀 오브 더 벨츠 12에서 논 타이틀 매치로 맞붙지만 패하면서 애나 제이와 챔피언십 매치로 격돌하게 되면서 11월 2일에 방영된 콜리전에서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면서 머라이어 메이가 승리를 거두고, 16일에 방영된 콜리전에서 다시 챔피언십 매치를 벌이면서 No DQ 매치로 맞붙어 승리를 거둬 또 방어했다. 풀 기어 2024에서 세레머니 도중 머라이어 메이가 시라카와 미나를 샴페인으로 공격하려고 들자 시라카와 미나는 이것을 피해 머라이어 메이에게 스피어를 날리며 둘간의 분열이 생긴다. 12월 14일에 시라카와 미나를 상대로 AEW 위민스 챔피언십 매치에서 승리를 거두자 경기 후 본래 기믹으로 돌아간 토니 스톰이 복귀하면서 토니 스톰과 대립을 이어간다.
월즈 엔드 2024에서 썬더 로사와의 AEW 위민스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면서 티후아나 스트리트 파이트 매치로 격돌해 승리를 거둔다.
AEW 그랜드 슬램 2025에서 토니 스톰과의 AEW 위민스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지만 패하면서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챔피언 자리를 잃은 후로도 대립은 이어지면서 머라이어 메이는 토니 스톰을 공격하면서 레볼루션 2025에서 다시 챔피언십 매치가 확정되면서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매치로 맞붙지만 패하면서 챔피언 벨트 탈환에 실패한다.
레볼루션 이후 휴식기를 가지고 있다가 4월 15일, AEW와 재계약을 하지 않고 WWE로 이적할거라는 뉴스가 보도되었다. 이후 5월 14일 AEW 다이너마이트에서 시라카와 미나가 토니 스톰을 상대로 승리하며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 도전권을 따내는 과정에서 메이를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으며 사실상 메이가 AEW를 떠날 것이 유력해졌고[8] 결국 5월 30일, AEW 공식 홈페이지에서 머라이어 메이의 프로필이 삭제가 되어 AEW에서의 커리어를 마무리지었다.
3.4. WWE (2025~)
2025년 6월 3일 NXT에 등장하면서 WWE 무대에 첫 발을 내딛었다. 등장하자마자 자신을 NXT 위민스 챔피언이라고 부르게 될 것이라며 현 챔피언 제이시 제인에게 선전포고를 하였다.
이후 여러 소식통을 통해 밝혀진 바로 리키 세인츠처럼 WWE에선 기존의 머라이어 메이가 아닌 다른 링네임으로 활동할 것임이 밝혀졌다. 다만 기존 AEW에서 쓰이던 별칭인 "글래머"는 유지하고 있다. #
그리고 6월 10일 NXT에서 "블레이크 먼로"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할 것임이 확정되었다.[9] 17일에 벌어진 정식 활동 계약식에 페이탈 인플루언스가 나타나 시비를 걸면서 머릿수에 당하고, 팰런 헨리 & 제이시 제인이 블레이크 먼로를 잡고 테이블쪽을 향해 더블 쵸크슬램을 날린다.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2025에서는 조르딘 그레이스와 같이 페이탈 인플루언스의 팰런 헨리 & 제이시 제인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WWE 에볼루션(2025)에서 조르딘 그레이스의 세컨드로 나오나 NXT 위민스 챔피언 벨트로 조르딘의 등을 향해 벨트 샷을 날려 패하게 만들며 턴힐해버린다.
조르딘 그레이스와의 대립이 형성된 가운데 7월 22일에는 렌 싱클레어와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경기 후 조르딘 그레이스가 관중석에서 나타나 블레이크 먼로에게 다가가지만 안전요원들에 의해 쉽게 접근하지 못했고, 안전요원들을 뿌리치지만 블레이크 먼로의 헤드벗에 당해 블레이크 먼로는 조르딘 그레이스를 철제의자쪽을 향해 DDT를 날린다.
29일에 블레이크 먼로는 조르딘 그레이스가 체중감량하기 이전의 사진들을 공개하면서 비꼬자 켈라니 조던이 등장해 블레이크 먼로의 행동을 비판하고, 롤라 바이스 & 제이다 파커까지 등장하자 블레이크 먼로는 제이다 파커와 같이 롤라 바이스 & 켈라니 조던을 공격하지만 거꾸로 당하며 제이다 파커와 같이 링밖으로 쫓겨난다. 8월 5일에 켈라니 조던와의 경기가 확정되지만 블레이크 먼로때문에 분노로 가득찬 조르딘 그레이스가 등장하자 블레이크 먼로는 도망가면서 카운트아웃으로 패하고, NXT 히트웨이브 2025에서 조르딘 그레이스와의 경기가 확정되면서 승리를 거둔다.
26일에 켈라니 조던과의 경기가 다시 벌어지지만 아직까지 조르딘 그레이스와의 대립은 끝나지 않았고, 블레이크 먼로는 조르딘 그레이스가 나타나자 피하지만 이번엔 켈라니 조던에게 핀을 당해 패한다. NXT 노 머시 2025에서 조르딘 그레이스와의 웨포나이즈드 스틸 케이지 매치가 확정되지만 패한다.
4. 기타
- 고등학교 시절 육상 경기와 크로스 카운트에서 활동했다.
- 아스날 FC의 팬이기도 하다.
- 링네임이 머라이어 메이이던 시절에는 국내 팬들에게 '머메이'라는 줄임말로도 불렸었다.
- 트리플 H의 광팬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도 트리플 H의 포스터와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며 그를 GOAT라고 칭할 정도다. * 그리고 WWE로 입성하여 퍼포먼스 센터에서 드디어 트리플 H와 만났는데, 반짝이는 눈으로 얼어있는 소녀팬 같은 모습을 보였다. #
- WWE에 입성한 뒤로 등장씬에 변화가 생겼다. 먼로라는 이름에 걸맞게 화장대에서 등장씬이 시작되는데 우아한 외모와 맞물려서 평가가 매우 좋다. 또한, 검지를 깨물며 짓는 표정은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다.
5. 둘러보기
시라카와 미나 | 츠키야마 와카 |
{{{#!folding 【 전 멤버 】 | 자야 브룩사이드 | 제나 | 제시 | 머라이어 메이 |
| ||||
줄리아 하트 (2023) | → | 머라이어 메이 (2024) | → | - (2025) |
위민스 레슬링 팬 어워드 선정 올해의 대립 | |||||
베키 린치 vs 트리쉬 스트래터스 (2023) | → | 머라이어 메이 vs 토니 스톰 (2024) | → | - (2025) | |
위민스 레슬링 팬 어워드 선정 획기적인 레슬러 | |||||
티파니 스트랫턴 (2023) | → | 머라이어 메이 (2024) | → | - (2025) |
| ||||
LA 나이트 (2023) | → | 머라이어 메이 (2024) | → | - (2025) |
| ||||
2025년 3월 9일 | AEW 레볼루션 | AEW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 _토니 스톰_(C) vs 머라이어 메이 |
[1] 사모안 드라이버, AEW 시절 피니쉬 무브였다.[2] WWE 이적 후 사용하고 있는 피니쉬 무브. 존 목슬리의 패러다임 시프트와 동형기이다.[3] 옥토퍼스 홀드[4] TKO[5] 다이빙 크로스바디[6] 토니 스톰의 코스튬을 시작하면서 토니 스톰이 이전에 사용하던 등장음악과 그래픽을 똑같이 사용하고 있다.[7] WWE 입성 후 사용하고있는 테마곡이다.[8] 토니 스톰이 챔피언에 등극하는 과정에서 메이와의 대립은 빼놓을 수 없는 서사임에도 언급하지 않았다.[9] 블레이크는 자신의 조카 이름에서, 먼로는 마릴린 먼로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