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21:41:13

부활(하스스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사제(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평가
2.1. 장점2.2. 단점
3. 역사4. 기타5. 둘러보기

1. 개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 사제=, 희귀=, 주문=, 확장팩=검은바위 산,
한글명=부활, 일러명=부활, 영문명=Twilight Whelp,
비용=2, 신성=,
효과=이번 게임에서 죽은 무작위 아군 하수인을 소환합니다.,
플레이버한=던전에 들어간 나는 죽은 모험가를 발견했다. 마지막 순간 그는 온 힘을 짜내어\, 먼지 덮인 벽에 이승에서 남기고 싶은 마지막 말을 썼던 것 같다. 두 마디였다. "부활 좀",
플레이버영=I walked into the dungeon and noticed a slain adventurer. In his final moments\, he had scrawled out a message in the dust on the wall beside him. Two words: "rez plz",
황금획득=제작,
황금링크=https://cards.hearthpwn.com/enUS/webms/BRM_017.webm?219197)]

사제검은바위 산 희귀 카드.

2. 평가

최초로 죽은 하수인과 상호 작용하는 카드로 이번 게임에서 죽은 아군 하수인을 비용에 상관없이 소환한다.

마법사의 불안정한 차원문과 비교되는데, 예측 자체가 어려운 차원문과는 달리 이쪽은 죽은 하수인 중 뭐가 나올지 대략적인 예상이 되니 안정성 면에서 더 좋다. 다만, 상대도 부활각을 예측할 수 있고 대응할 준비를 하는 게 가능하며 일단 하수인 소환이 선행되지 않으면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다 보니 보통 4코 이후에나 제대로 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2.1. 장점

2.2. 단점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제(하스스톤)/덱 일람/부활 사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제(하스스톤)/덱 일람/부활 사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제(하스스톤)/덱 일람/부활 사제#|]][[사제(하스스톤)/덱 일람/부활 사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5. 둘러보기

파일:검은바위 산 로고.png
검은바위 산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중립 카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검은날개 기술병.png
파일:굶주린 용.png
파일:용족 마술사.png
파일:검은날개 타락자.png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검은바위 산#검은날개 기술병|
검은날개 기술병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검은바위 산#굶주린 용|
굶주린 용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검은바위 산#용족 마술사|
용족 마술사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검은바위 산#검은날개 타락자|
검은날개 타락자
]]
파일:용기병 분쇄자.png
파일:화산 비룡.png
파일:용의 알.png
파일:험상궂은 손님.png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검은바위 산#용기병 분쇄자|
용기병 분쇄자
]]
[[하스스톤/카드일람/중립 카드/검은바위 산#화산 비룡|
화산 비룡
]]
[[새끼용(하스스톤)#용의 알|
용의 알
]]
[[험상궂은 손님|
험상궂은 손님
]]
파일:제왕 타우릿산.png
파일:렌드 블랙핸드.png
파일:크로마구스.png
파일:네파리안.png
[[제왕 타우릿산|
제왕 타우릿산
]]
[[렌드 블랙핸드(하스스톤)|
렌드 블랙핸드
]]
[[크로마구스(하스스톤)|
크로마구스
]]
[[네파리안(하스스톤)|
네파리안
]]
파일:청지기 이그젝큐투스.png
[[청지기 이그젝큐투스(하스스톤)|
청지기 이그젝큐투스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직업 카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화염의 드루이드.png
파일:화산의 고대정령.png
파일:신속 사격.png
파일:흉포한 심장부 사냥개.png
[[드루이드(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화염의 드루이드|
화염의 드루이드
]]
[[드루이드(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화산의 고대정령|
화산의 고대정령
]]
[[사냥꾼(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신속 사격|
신속 사격
]]
[[사냥꾼(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흉포한 심장부 사냥개|
흉포한 심장부 사냥개
]]
파일:용의 숨결.png
파일:불꽃꼬리 전사.png
파일:엄숙한 애도.png
파일:용의 배우자.png
[[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용의 숨결|
용의 숨결
]]
[[불꽃꼬리 전사|
불꽃꼬리 전사
]]
[[성기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엄숙한 애도|
엄숙한 애도
]]
[[성기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용의 배우자|
용의 배우자
]]
파일:황혼의 새끼용.png
파일:부활.png
파일:패거리.png
파일:검은무쇠 잠복자.png
[[새끼용(하스스톤)#황혼의 새끼용|
황혼의 새끼용
]]
[[부활(하스스톤)|
부활
]]
[[도적(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패거리|
패거리
]]
[[성기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검은무쇠 잠복자|
검은무쇠 잠복자
]]
파일:파괴의 화염수호정령.png
파일:용암 충격.png
파일:임프 두목.png
[[주술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파괴의 화염수호정령|
파괴의 화염수호정령
]]
[[주술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용암 충격|
용암 충격
]]
[[임프(하스스톤)#임프 두목|
임프 두목
]]
[[흑마법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악마의 격노|
악마의 격노
]]
파일:도끼 투척수.png
파일:복수.png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도끼 투척수|
도끼 투척수
]]
[[전사(하스스톤)/카드일람/2015년#복수|
복수
]]
}}}
}}}
}}} ||

[1] 특히 주술사의 사술은 비용도 3코라 검귀-부활 콤보를 완벽하게 박살내며 이 경우 멀리건으로 검귀, 부활, 부활을 쥐는 게 오히려 독이 되고 무난하게 지기 쉽다.[2] 어느 직업이나 이런 경우는 있지만 유독 사제는 하수인은 물론, 특히 주문 면에서 이렇게 연계 의존성이 심해서 잘 풀리면 좋은데 안 풀리면 아예 사용 자체가 무의미해지는 경우가 많다. 잘 풀리면 사기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못할 때 명치를 버티기 위한 초반 핸드가 더 꼬일 확률을 높여서 애물단지가 되거나 현실과 타협해서 카드를 소모해도 결국 명치가 터지는 식. 타 직업은 무난하게 초중반에 홀로 설만한 효율 좋은 하수인 또는 단독으로도 초중반 효율적인 전장 정리와 후반 본체딜 모두에 유효한 무기나 피해 주문이 존재한다.[3] Zetalot만 봐도 결국 2015년 3월 전설덱에서 스니드까지 다 덜어냈다.[4] 개요 부분에도 서술된 내용이지만 유독 사제가 이런 과대평가와 설레발이 심한 건 베타부터 지금까지 변함이 없다. 무과금 최강자에 최고의 사기라고 평가받던 천정내열, 감정적인 이유로 최하위 승률인 상황에서도 정배가 하향당한다거나, 희대의 OP라고 우기던 축소술사 등. 그나마 낙스 죽메덱이 사정이 나았으나 이것도 당당히 1티어라고 우기던 아만보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달달이 거품이 빠지고 파워 랭킹과 승률 통계는 2~3티어임을 보였다. 그렇게 OP라고 무조건 2장이라고 추앙하던 이교도도 장의사 너프 이후 빼는 추세인 것만 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