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16:19:09

본사르킥

본 문서는 SCP 재단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문서의 내용은 SCP 재단 위키에 등재된 소설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CCL 호환 문제로 인하여 SCP 재단 위키의 내용을 그대로 등재할 수 없으며, 추가 해석이 포함되어 번역된 사안은 작성이 가능합니다. 작성 양식은 템플릿:SCP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SCP 재단 로고.svg SCP 재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333>하위 · 관련 문서세계관(등급 · MTF · 시설 · 부서) · 등장인물 · 요주의 단체 · 요주의 위치 · 유산 모음 · 경연(EN) · 카논 · 2차 창작 · 사건 사고
SCP 목록001~999 · 1000~1999 · 2000~2999 · 3000~3999 · 4000~4999 · 5000~5999 · 6000~6999 · 7000~7999 · 8000~8999 · 농담 · 해명 · 퇴역 · 삭제 · JP · KO · SPC
지부한국 지부 · 일본 지부
}}}}}}}}} ||


1. 개요2. 교단

1. 개요

Ur-Sakic

칼막타마 제국 시절 이온이 직접 이끌던 최초의 사르킥 교단을 가리키는 말. 칼막타마 제국의 멸망과 함께 대가 끊겼다고 여겨지고 있다.

다에바 제국의 잔혹한 노예제에 저항하는 봉기로 시작되었지만, 결국 다에바처럼 잔혹한 정복제국이 되어 다른 민족을 침략하고 노예로 부리는 모습을 보였다.[1] 때문에 사르킥 신자나 창립자인 이온 본인이 이에 대해 비판하거나 고뇌하는 모습이 나오는 작품들도 존재한다.[2]

육체 전쟁에서 살아남은 일부 교도들은 원사르킥신사르킥이라는 두 종파로 나뉘게 되었다.

일부 문서에서는 본사르킥을 원사르킥에 포함하여 서술하기도 한다.

2. 교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SCP-2095에서 발견된 사르킥 군대의 물자 목록에 천 명이 넘는 노예들이 기록되어 있었다. 이들 역시 노예들을 대규모로 물건 취급하며 부렸던 것이다.[2] 특히 한반도의 세을가는 이온을 성인으로 모시면서도 그가 제국을 세우고 정복 활동을 벌인 건 엄연한 잘못이라고 여기고 있다.